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활용한 참여형 공원관리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Vitalization of Participatory Monitoring and Management Program for Park using User Generated Content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유미-
dc.contributor.author안도영-
dc.date.accessioned2017-07-19T07:13:01Z-
dc.date.available2017-07-19T07:13:01Z-
dc.date.issued2016-08-
dc.identifier.other00000013731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9769-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조경학과, 2016. 8. 이유미.-
dc.description.abstract현재 시민참여의 시도는 공원 조성 및 계획에서 더 나아가 운영 및 관리에까지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과 민간단체에서 공원 돌보미, 공원의 친구들 같은 제도를 운영하며 시민들의 참여를 지속적으로 촉구하고 있으나, 2015년 한해 등록된 자원봉사자 중 공원에 관련된 봉사자의 비율은 약 7% 수준으로 실질적인 시민들의 공원관리 참여활동 자체는 적은 편이며 연 1회 이상 활동한 실인원의 비율 또한 낮아 개선이 필요한 상태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시민참여형 공원관리를 활성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자 생성 콘텐츠(User Generated Contents)를 이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스마트폰이 보편화되면서 콘텐츠의 생성과 공유가 간편해지자 이를 활용해 사람들이 직접 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유도하여 공원서비스에 이용하려는 것이다. 해외에서는 그 가능성을 확인하고 도시 및 자연환경 분야에서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활용하는 시도가 활발하지만, 국내에서는 국립공원 관리공단, 산림청, 서초구가 공원관리에 이를 시도중에 있으나 이용빈도가 매우 낮아 효과가 저조한 편이다. 따라서 사용자 생성 콘텐츠의 장점을 살려 공원관리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를 위해 먼저 참여형 공원관리 및 사용자 생성 콘텐츠의 개념과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국내외 사례를 통해 그 둘을 적절히 연결했을때 공원 관리 주체와 공원 이용자의 측면에서 기대할 수 있는 효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 생성 콘텐츠가 공원 관리적 측면에서 가지는 가능성을 알아보고, 현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활용한 공원관리 현황을 국립공원 관리공단, 산림청, 서초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실증연구단계에서 사용자 생성 콘텐츠에 대한 실제 공원 이용자들의 의존도와 주된 이용행태 파악을 위해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한 뒤, 이용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의 형태와 관리주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대상지인 서초구의 청계산 공원, 양재 시민의 숲에서 현장답사를 진행하고, 관리 운영 주체 관계자와 공원 이용객 일부를 대상으로 한 설문 및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다음 이를 통해 얻어진 문제점을 기반으로 실질적인 공원관리를 위한 사용자 생성 콘텐츠 활용 방안을 구상해보았다. 공원 이용자들이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기부한다는 가정 하에 구상된 활용 방안은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가장 많이 사용된 사용자 생성 콘텐츠와 대상지를 바탕으로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 이용관리적 측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관리 방안을 분야별로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현행되고 있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활용한 공원관리 방안은 서초구의 서초맵 어플리케이션이 가장 잘 구현한 사례로 꼽혔다. 하지만 대상지 설문조사 결과 서초맵의 효용성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 특정 어플리케이션이라는 한정된 플랫폼과 타겟 이용자층에 대한 선행 고찰의 미흡, 부족한 홍보 등의 이유로 제대로 된 참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적용방안 연구에서는 앞 장의 조사결과 사람들이 평소 가장 많아 사용하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로 포털 블로그를 선정하여 분석 대상으로 삼았고, 적용 대상지는 양재 시민의 숲으로 하였다. 그 결과 공원 관리의 종류 중 이용관리적 측면에서 이를 가장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통해 가장 선호되는 시기, 활동, 시설을 선정하여 이용관리시 참고할 수 있는 형태의 관리안을 도출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활용한 참여형 공원 관리를 활성화하기위한 제언으로 먼저 제도적 측면에서 1)교육 및 홍보, 2)체계적인 운영 계획, 3)참여 동기 고취의 보완점을, 기술적 측면에서 1)통합 구축된 플랫폼, 지속적인 사후지원 및 유지보수를 들었다. 또한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동기부여 방법으로 게이미피케이션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조경 관련 연구에 있어 가상공간의 산물인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공원 관리방안에 접목하여 급변하는 스마트 시대 속에서 공원 관리주체와 공원 이용자간의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과 공원이 갖고 있는 가치를 최대한 발굴하고, 그것을 효과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도구로서 활용해보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하지만 실제 조사 가능 사례의 수가 많지 않고 모범사례로 볼 수 있는 서비스가 존재치 않아 일반화를 위한 근거가 다소 부족하며, 방안 연구에 있어서 효율적인 수집·분석 시스템을 구현치 못하고 실제 참여를 이끌어내 적용해보진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조경 이외의 타 분야와 협력하여 제도·기술적인 보완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조경 분야에서도 발전된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와의 접점을 찾아나가는 논의의 초석이 되길 바란다.
-
dc.description.abstractCurrently, citizen participation is not only being applied to park planning, but also to park monitoring and management phase. To vitalize participatory monitoring and management program for park,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organizations are offering various participation programs such as Seoul Adopt-Greens and Friends of Parks, however, the number of volunteer workers for urban park service is still very low.
In this situation, the attempt that is trying to apply user generated contents to participatory monitoring and management program for park is appearing. Because increased mobile internet usage rate since the smartphone revolution has made generating online contents more comfortably, public institutions are trying to encourage people to generate spatial information in the park to enhance citizen participation rate in park monitoring and management programs. In Korea, National Parks Authority, Forest Service, and Seocho-gu Office have offered it by smartphone application, but still program usage rates are insufficient to assess its value.
This research is a theoretical approach for the vitalization of participatory monitoring and management program for park using User Generated Contents(UGC). Utilizing user generated contents in participatory monitoring and management for park seems to revitalize public involvement as information provider group. For this approach, theoretical study about citizen participation in park management and user generated contents, in-depth surveys, case studies, and virtual UGS utilizing for park management method planning would be us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current UGC utilizing program by public institutions were not work as much as the park operators expected. Even though the most effective tool was Seochomap application by Seocho-gu Office, apps usage rate was very low and provided UGCs in the app were too few. According to analyzed result, there are three reasons
-
dc.description.abstractlimited access to the app, insufficient consideration about target users information like age or familiarity to new technology, lack of advertisement about the app.
To reduce those weaknesses, this research conceived virtual UGS utilizing for park management method. In virtual method, web blog and Yangjae Citizens Forest were chosen as target UGC and area. After filtering keywords in UGCs by word cloud technique, the method found peoples favorite place in park, favorite activities, and favorite facilities in Yangjae Citizens Forest. Those elements were considered to virtual park management plans basis, and consequently, the plan could reflect peoples microscopic demand more than Seochomap app.
After all those process, this research proposed five elements that are required to UGC utilization for park management: Educ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UGC utilization process, systematic operating plan, encouragement for motivated participation, integrated platform to collect UGC, and continuous system support plan.

To encourage citizens participation in park management and enhance its efficiency, this study used virtual contents. This shows schema of technology application for park management to discuss future plan, and it can be considered as significances of this research. However, few case studies and lack of actual applicate plan were limitation of this study. To solve this limitation, cooperation with other disciplines is requir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2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1. 연구의 범위 4
2. 연구의 방법 4
3절. 선행연구 7
1. 참여형 공원관리 관련 선행연구 7
2. 사용자 생성 콘텐츠 관련 선행연구 8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0

제2장 이론적 고찰 12
1절. 공원 관리와 시민참여 12
1. 시민참여의 개념 12
2. 공원 관리와 시민참여 13
3. 참여형 공원관리의 시행 사례 17
2절. 사용자 생성 콘텐츠 19
1. 사용자 생성 콘텐츠의 개념 19
2. 사용자 생성 콘텐츠의 특징 24
3. 사용자 생성 콘텐츠의 활용 사례 26
3절.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활용한 참여형 공원관리의 가능성 31
1. 현행 참여형 공원관리의 한계 31
2.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활용한 참여형 공원관리의 가능성 32
3.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활용한 참여형 공원관리 현황 33
4. 소결 46

제3장 공원에서의 사용자 생성 콘텐츠 활용 현황 48
1절. 조사분석 개요 48
1. 분석의 틀 48
2. 설문조사 대상지 선정 49
3. 대상지 개요 50
2절. 공원 이용객들의 사용자 생성 콘텐츠 활용 행태 분석 51
1. 인터넷 커뮤니티 대상 사전 설문조사 51
2. 대상지 설문조사 58
3. 관계자 인터뷰 68
3절. 소결 72

제4장 공원관리를 위한 사용자 생성 콘텐츠 활용 방안 구상 및 적용 75
1절. 방안 구상 과정 및 기본 전제 75
1. 방안 구상 과정 75
2. 적용안의 기본 전제 77
2절. 구상 방안의 적용 79
1. 키워드 검색 결과 79
2. 워드 클라우드 분석 82
3. 관리상에서의 활용 가능 콘텐츠의 가상 적용안 86
3절. 소결 및 제언 90
1. 소결 90
2. 구체화를 위한 제언 91
3. 제도적 사례 96

제5장 결론 98

참고 문헌 101

부록 106

Abstract 115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085868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dc.subject사용자생성콘텐츠-
dc.subject참여-
dc.subject공원관리-
dc.subjectUGC(User Generated Contents)-
dc.subject.ddc712-
dc.title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활용한 참여형 공원관리 활성화 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Vitalization of Participatory Monitoring and Management Program for Park using User Generated Content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Doyoung Ah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16-
dc.contributor.affiliation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dc.date.awarded2016-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