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로표지 안내지명의 연계성 평가 방법론 연구: 도시부 시설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ology for Connectivity of Road Sign: Focused on the Urban Faciliti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다해

Advisor
이영인
Major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도로표지도로표지 안내지명도로표지 연계성연계성 평가지표Road SignGuiding PointConnectivityEvaluation Index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계획학과, 2014. 8. 이영인.
Abstract
도로표지는 안내지명, 방향 등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능을 한다. 도로표지가 기능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시인성, 정확성, 신뢰성, 연계성 등이 요구된다. 특히 도로표지가 목적지까지의 접근성을 높이고,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도로표지 안내지명의 연계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도로표지 안내지명의 연계성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관련 선행연구는 미미했으며, 연계성 확보를 판단할 수 있는 도로표지 안내지명의 연계성 평가 방법이 구체적으로 제시된 사례가 없었다. 따라서 도로표지 안내지명의 연계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표지의 연계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여 도시부 시설물의 연계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속국도나 일반국도에서 선정되는 도로표지의 안내지명은 행정구역명을 중심으로 안내지명 선정방법이나 설치기준이 명확해서 연계성을 확보하고 있는 반면에, 도시 내 위치한 시설물을 안내지명으로 선정하는 도시부는 관련 선정방법이나 설치기준이 구체적이지 않아 연계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부 시설물을 안내지명으로 선정하고 있는 도시부 도로표지 안내지명의 연계성 평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도시부 도로표지 안내지명의 연계성에 대한 개념을 구체화하고 둘째, 도로표지 안내지명의 연계성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셋째, 연계성 평가 지표를 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도시부 도로표지 안내지명의 연계성은 안내시점에서 시설물까지 도로표지의 안내지명을 연걸되어 있는 정도라고 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로표지 안내시점부터 도로표지 정보만을 이용하여 시설물까지 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계 유·무와 합리적인 경로를 제시하고 있는지에 대한 최단경로와의 경로 비를 고려하여 도로표지별 연계성 평가 지표와 시설물의 연계성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계성 평가 지표를 산정하는 방법론을 세 단계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평가 대상 도로표지 경로 선정 및 탐색단계이다. 시설물 정보를 포함한 도로표지를 추출한 다음 추출된 도로표지의 설치위치부터 시설물까지의 경로 집합을 설정한다. 중복된 경로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평가 대상 도로표지 경로를 선정한다. 두 번째는 도로표지별 연계성 지표 산정 단계이다. 선정된 경로의 길이를 산출하고, 안내시점부터 시설물까지의 최단경로 길이를 산출하여 도로표지별 연계성 지표를 산정한다. 세 번째는 시설물의 연계성 지표 산정 단계이다. 산정된 도로표지별 연계성 지표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시설물의 연계성 지표를 산정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경상남도 창원시의 5개 구청(마산합포구청, 마산회원구청, 진해구청, 성산구청, 의창구청)을 대상으로 적용해보았다. 산정된 시설물의 연계성 지표를 이용하여 해당 시설물의 연계성에 대한 절대적인 평가는 어려웠다. 그래서 5개 구청에 대하여 상대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 연계가 되어 있지 않은 경로의 수를 고려한 후 두 번째로 시설물의 연계성 평가 지표 값을 고려하였다. 그 결과 마산합포구청의 연계성이 가장 좋았고, 마산회원구청의 연계성이 가장 좋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은 도로표지의 연계성 지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도로표지 정보를 이용한 경로탐색에 대한 이용자의 특성과 경로 상의 도로표지 개수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산정된 연계성 평가지표를 이용하여 절대적인 해석은 불가능하며, 같은 특성을 지닌 시설물을 분류하여 상대적으로 연계성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도로표지 연계성 평가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도로표지 설치 현황에 대한 연계성을 진단하고, 연계성 확보의 기준 마련에 기반이 되는 연구로써 그 의의가 있다.
Road signs aid drivers to reach their respective destinations by providing information such as guiding points and the direction. Visibility, accuracy, reliability, and connectivity are necessary for road signs to function properly. In particular,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the connectivity of guiding points on road signs for road signs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destinations and to present efficient and rational paths.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connectivity of guiding points on road signs, related previous studies were but few, and none specifically presented methods for evaluating the connectivity of guiding points on road signs, which can be used to judge the securement of connectivity.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thodologies by which the connectivity of guiding points on road signs can be evaluat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establishing a basis for evaluating the connectivity of urban facilities by developing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connectivity of road signs. As for guiding points on road signs selected for national expressways and national highways, with a focus on the name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selection methods or installation standards for guiding points are clear and thus secure connectivity. On the contrary, urban facilities are selected as guiding points on road signs in cities,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connectivity because the relevant selection methods or installation standards are not specific.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evaluation of the connectivity of road signs in cities that select urban facilities as guiding points.
The present study performed the following: first, it concretized the concept of the connectivity of guiding points on road signs in cities
second, it developed a connectivity evaluation index for guiding points on road signs
and, third, it presented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connectivity evaluation index. The connectivity of guiding points on road signs in cities was defined as the degree to which guiding points on road signs are connected from the guidance starting point to facilities. Based on this, a connectivity evaluation index for road signs and a connectivity evaluation index for facilities wer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nectivity regarding whether it was possible to reach facilities by using only road sign information from the guidance starting point of road signs and the path ratio with the shortest path regarding whether rational paths were presented.
This study presented in three stages a methodology for calculating the connectivity evaluation index. The first stage consisted of selecting and searching for the paths of the road signs to be evaluated. After extracting road signs including facility information, a path set from the installation locations of the road signs extracted to facilities was established. With the exclusion of overlapping paths, the road sign paths to be evaluated were finally selected. The second stage consisted of the calculation of connectivity indices for road signs. The connectivity index for each road sign wa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length of the path selected and the length of the shortest path from the guidance starting point to facilities. The third stage consisted of the calculation of connectivity indices for facilities. By using the connectivity indices for road signs thus calculated, the connectivity indices for facilities were finally calculated.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e present study was applied to five gu (ward) offices in Changwon (Masan Happo-gu Office, Masan Hoewon-gu Office, Jinhae-gu Office, Seongsan-gu Office, and Euichang-gu Office). It was difficult to perform absolute evaluation of the connectivity of the facilities in question by using the connectivity indices of the facilities calculated. Consequently, relative evaluation of the five gu offices was performed. First, the number of paths not connected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second, the facilities connectivity evaluation index value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a result, connectivity was the highest for Masan Happo-gu Office and the lowest for Masan Hoewon-gu Office.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users characteristics and the number of road signs on paths in terms of path search using road sign information that can affect the connectivity index of road signs. In addition, the connectivity evaluation index calculated is limited in that it cannot be used for absolute analysis and that relative evaluation of connectivity is possible by classifying facilities with the same characteristics. Nevertheless, it is significant as a study that, by presenting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connectivity of road signs, diagnoses the connectivity of currently installed road signs and serves as a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securing connectivity.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988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