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파트 마을공동체의 변화과정과 주민의 참여구조에 대한 사례연구 : A Case of an apartment Village community under transformation and its resident participation structur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광중-
dc.contributor.author김혜빈-
dc.date.accessioned2017-07-19T07:27:25Z-
dc.date.available2017-07-19T07:27:25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other00000013338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9965-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도시및지역계획 전공, 2016. 2. 김광중.-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공동체의 해체, 도시 문제의 발생, 전통적 도시 관리 방식의 변화 등의 대안으로 등장한 마을공동체를 다룬다. 마을공동체는 그 것이 가진 기대효과와 결과적인 측면에서 주목받아왔다. 반면 마을공동체가 이루어지는 과정은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해왔다. 그러나 마을공동체는 그 자체가 결과이기 보다는 이루어지는 과정이 자연스럽게 결과를 수반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풀잎시의 소나무마을공동체를 사례로 마을공동체의 시간별 전개과정과 현재 활동에서 드러나는 참여의 형태와 특징, 그리고 구조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덧붙여 현재의 소나무 마을공동체가 어떠한 도시 계획적 함의를 제시하는 지 발견해보려고 한다.
먼저 소나무마을공동체 주민 집단 구성의 변화가 시기와 관계없이 마을에 개입하는 정책의 변화로 이어짐을 발견하여 이를 중심으로 전개과정을 기술하였다. 1기에는 평생학습시범마을 사업선정을 통해 중간지원단체가 마을공동체를 형성을 추진했다. 일부 마을 주민이 리더로서 마을지도자로 육성된다. 2기는 사업 지원이 종료되어 1기의 주축으로 참여한 주민이 모두 활동을 그만두는 대신 마을 강사 주민 몇몇을 중심으로 활동이 이루어 졌다. 정책의 지원은 없었다. 3기는 2기에 참여한 주민의 활동이 어려움에 봉착하여 1기에 참여한 마을 지도자 주민 그룹의 일부가 복귀하였다. 이들은 적극적으로 마을 사업공모에 지원하여 마을공동체 활동을 지속하려고 한다. 4기는 지원 사업을 통해 형성된 주민 소모임이 기존의 마을공동체 참여 집단에 합류하게 되어 마을공동체의 규모가 확장된 시기이다.
다음으로는 마을회의와 축제, 에너지 소등행사를 관찰하고 기술하였으며, 마을 주민의 참여에 대한 세 가지 특징을 분석하였다. 먼저 마을공동체는 마을에서 정책의 지원으로 마을 환경 개선 활동을 하는 혹은 그에 관심이 있는, 일부의 주민이 참여하는 마을 소집단이다. 마을공동체가 본래 뜻하는 바와 달리 마을 범위의 주민 전체를 포괄하지 않는다고 보인다. 그러므로 소나무 아파트의 거주민은 마을공동체 활동을 하는 마을공동체 구성원과 그렇지 않은 주민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두 번째 마을공동체 활동을 관찰한 결과 하나의 행사에서 구성원들은 개별적으로 다른 역할을 맡고 있었고, 이러한 역할은 다른 행사에서도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활동에서 집단 내부 역할 분담이 있다고 보였으나, 명시적으로 정해진 것은 아니다. 이는 일의 완수를 위하여 구성원 간 역할이 분화(分化)됨을 의미한다. 세 번째 마을공동체 구성원은 마을공동체에서 하위집단을 구성하고 있다. 본 하위집단은 역할, 특징, 의사결정에의 영향력이 모두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연구자는 마을공동체 활동에서 주민의 참여가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남에 주목하였다. 행위가 두드러지게 구분되어 나타난 주민을 대상으로 이들의 참여를 이해하고자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특정한 역할을 하는 개인이 마을공동체 활동 참여에 부여하는 의미는 모두 달랐는데, 이는 마을공동체의 참여정도 및 내부의 역할과 관계가 있다고 보였다. 그럼에도 마을공동체의 구성원은 공통적으로 마을활동에의 참여를 봉사로서 생각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위와 같이 마을 활동과 심층 면담에서 도출된 특징을 바탕으로 주민의 참여를 새롭게 구조화하였다. 마을공동체 참여행위와 맡은 역할을 기준으로 삼아 주민 집단을 대표자, 실무자, 옹호자, 이용자, 비참여자의 다섯 층위로 구분했다. 대표자는 마을학교장, 에너지절약마을위원장으로 초기 단계 마을 활동을 제안 및 발의하며,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린다. 실무자는 코디네이터와 분과장으로 제안된 사업을 바탕으로 실제 활동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집단으로 실무를 담당한다. 옹호자는 봉사자와 마을강사로 봉사활동을 통해 노동력을 제공하며, 실무자 집단의 활동을 지지한다. 이용자는 일회적으로 마을공동체 활동에 참가하거나, 마을공동체에 의해 기획된 활동을 이용하는 아파트 거주민이다. 각 집단은 구성원 수, 마을공동체에서의 역할,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 실제 행위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편 정책에서 마을공동체는 다양한 의미를 포괄한다. 크게 본래적 의미인 구성원의 호혜관계 추구뿐만 아니라 마을 환경 개선을 뜻하는 마을만들기와 상향식의 도시 관리 및 주민참여 거버넌스를 뜻하는 의미로서도 사용된다. 그러므로 현재 마을공동체 사업의 예산 지원 대상이 되는 마을공동체의 활성화를 논하기 위해서는 그 것이 포괄하는 의미를 구분하여 각각에 맞는 목적이 달성되는 지 확인함이 필요하다.
마을에서 마을공동체의 활성화는 호혜관계 형성과 마을만들기 달성의 측면에서 세 가지로 개념화하여 살펴보려고 한다. 첫 번째는 공동체 내부에서의 활성화, 두 번째는 공동체 규모의 확장을 통한 활성화, 세 번째는 비구성원 거주민 집단에서의 달성을 통한 활성화이다.
호혜관계 측면에서 마을공동체는 구성원 사이의 호혜성을 형성한다. 그러나 규모의 확장을 통한 호혜성의 활성화는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비구성원의 경우 이벤트성 일회적 참가로 참여가 기획된다는 점에서 호혜관계 형성의 어려움을 겪는다.
이제 마을 문제 해결의 측면에서 보자. 마을공동체의 구성원은 마을만들기를 한다. 기존에는 마을만들기의 활성화에 대해 대개 마을 활동에서 리더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마을에서는 리더뿐만 아니라 리더의 지도를 따르는 실무자와 옹호자 집단의 팔로워십이 마을공동체 활동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었다. 한편 마을공동체 규모의 확장을 통한 마을만들기 활성화는 앞선 사례처럼 쉽게 달성되지 않는다. 비구성원의 변화를 통한 마을만들기 활성화 또한 일회적 참가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아 달성되기 어렵다고 보인다.
마지막으로 주민 참여를 이루는 거버넌스의 축으로서 마을공동체가 지속하고 성장하는 지 현재 상황을 바탕으로 이해하려고 한다. 마을공동체가 자발적으로 활동하는 주민을, 주민의 시민성 향상을 이루어내는가. 마을 주민은 마을공동체활동 참여를 봉사로서 인식한다. 봉사는 그 것의 대상이 존재할 때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마을 주민은 마을 사업을 수반한 마을공동체 활동을 마을을 위한 희생, 헌신의 관점에서 이해한다고 보인다. 다시 말하면 봉사의 대상으로서 예산 지원이 종료될 경우 주민의 활동은 자연스럽게 끝을 맺기도 한다. 소나무마을에서는 마을 내 갈등, 역량의 부족 등 도드라지는 분명한 문제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활동의 종료는 자연스러운 수순으로 이해되었다. 그럼에도 마을공동체 활동이 지속되는 동인은 마을공동체 활동이 참여자의 개인적 성장과 이해관계에 많은 영향을 줄 때라고 보인다.
나아가 본 연구는 마을공동체는 의미가 명료하게 구분되어 이해될 필요가 있으며, 마을공동체 활동에서 주민의 지속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일회적 성격의 참가는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점을 말한다. 또한 마을공동체 리더 외 실무자·옹호자 등 리더가 아닌 주민의 역할과 그들의 중요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밝힌다. 더불어 주민의 마을공동체 활동 중단은 특정한 계기에 기인하지 않고 지원 사업 기간에 맞춘 자연스러운 행동이라는 점을 다룬 데서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대상지 3
1) 소나무아파트 3
2) 소나무마을공동체 6
3. 연구의 방법 10
1) 참여관찰 10
2) 심층면담 12

Ⅱ. 선행연구 검토 14
1. 마을공동체 개념의 혼란 14
1) 공동체는 무엇인가 15
2) 마을은 무엇인가 18
3) 마을공동체의 의미 19
2. 현 정책에서의 마을공동체 20
1) 호혜관계의 형성 20
2) 마을만들기 22
3) 주민참여거버넌스 24
3. 참여와 봉사의 개념 25
1) 참여의 개념과 구분 25
2) 봉사의 개념 27

Ⅲ. 소나무 마을공동체의 전개과정 29
1. 소나무 마을공동체의 전개과정 31
1) 1기 : 정부 주도의 마을공동체 육성과 마을지도자 주민 31
2) 2기 : 자발적 마을학교 운영과 마을강사 주민 38
3) 3기 : 마을지도자 주민의 복귀와 지원사업 공모 44
4) 4기 : 새로운 주민 집단의 형성과 참여 49

Ⅳ. 소나무 마을공동체 주민의 참여 행위 58
1-1. 소나무 마을공동체의 참여 58
1) 마을 회의의 참여 58
2) 마을 축제의 참여 60
3) 에너지 소등행사의 참여 65
1-2. 소나무 마을공동체 주민의 참여 68
1) 에너지절약마을위원장마을학교 교장 왕대표 68
2) 마을학교 코디네이터 홍코디 72
3) 에너지절약마을 코디네이터 정신입 77
4) 북카페 봉사자 김도서 81
5) 마을학교 프로그램 수강자 박서림 86
2. 소나무 마을에서의 참여구조 89
1) 소나무 마을공동체 활동의 특징 89
2) 주민의 참여구조 95

Ⅴ. 소나무마을 주민의 참여 해석 99
1. 정책에서의 소나무 마을공동체 99
1) 호혜관계 형성 99
2) 커뮤니티 환경의 개선 104
3) 주민참여 거버넌스 109

Ⅵ. 결론 111
1. 연구의 요약 및 결론 111

참고문헌 115

Abstract 11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7500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dc.subject마을공동체-
dc.subject마을공동체 전개과정-
dc.subject주민참여구조-
dc.subject주민참여-
dc.subject마을공동체사업-
dc.subject공동체-
dc.subject마을만들기-
dc.subject.ddc711-
dc.title아파트 마을공동체의 변화과정과 주민의 참여구조에 대한 사례연구-
dc.title.alternativeA Case of an apartment Village community under transformation and its resident participation structure-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Hyebi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22-
dc.contributor.affiliation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dc.date.awarded2016-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