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파트 키즈의 아파트 단지에 대한 장소애착과 기억 - 둔촌 주공아파트 사례를 중심으로 - : Place Attachment and Memory of Apartment Kids to an Apartment Complex - A Case Study of Dunchon Jugong Apartment Complex -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광중-
dc.contributor.author임준하-
dc.date.accessioned2017-07-19T07:30:32Z-
dc.date.available2017-07-19T07:30:32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other00000014184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0007-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계획학과, 2017. 2. 김광중.-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 정도가 도시공간을 가득 채운 엇비슷한 아파트 단지들 안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한다. 아파트는 보편적인 주거유형이자 중산층으로서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척도가 되었다. 동시에 아파트 주거에 대한 우리 사회와 전문분야의 인식은 애증이 엇갈리는 양가적인(ambivalent)인 것이었다. 이기적이고 배타적인 삶의 방식을 조장한다는 아파트 단지에 대한 비판론을 보면 오랫동안 살며 뿌리를 내리고, 애착을 가질 수 있는 장소로서의 아파트를 상상하기 어렵게 만든다. 아파트 단지를 인간성의 소외로 인해 도시민과의 정서적 유대가 약하고 고향으로서의 장소성이 부재한 공간으로 간주하는 것은 타당해 보인다. 그러나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들인 아파트 키즈(apartment kids)가 주도하고 있는 『안녕, 둔촌 주공아파트』 프로젝트를 비추어보면 아파트라는 주거공간에서도 거주자가 장소에 대한 소속감과 장소와의 깊은 일체감을 느낀다는 가정을 세울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재건축 사업을 앞두고 이로 인한 고향상실을 현실적으로 수용할 수밖에 없는 아파트 키즈가 애착을 갖는 장소들의 기억을 복원하면서 아파트 공동체의 과거사를 기념하고자 하는 활동이다. 이들의 활동은 아파트 키즈가 인지하는 아파트 단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이미지와 일상생활에서의 경험들을 매개하는 장소기억을 해석하면서 장소애착 형성에 기여하는 물리적‧행태적‧심리적 요소들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여기서 재현된 기억들이 왜곡되거나 기억들 간의 경합과 배제가 일어나는 현상을 해석하면 아파트 주거문화에 대응하는 아파트 키즈의 집단적 특성을 도출할 수 있다. 『안녕, 둔촌 주공아파트』 프로젝트는 아파트에서 자란 아파트 키즈에게 아파트란 어떤 장소인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연구자는 둔촌 주공아파트에 대한 아파트 키즈의 장소애착 정도와 그것을 표출하는 과정에서 복원되는 장소기억을 수집하여 아파트 단지라는 주거환경이 거주자에게 어떠한 감정을 유발하면서 장소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도록 하는지 분석했다. 본 연구는 단일사례연구로서 둔촌 주공아파트라는 특수한 대상지와 아파트 키즈가 장소애착을 표출하는 현상을 다루며 현상학적 분석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초점집단인터뷰, 보행 인터뷰, 참여관찰과 같은 질적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수집되는 자료는 엄밀한 범주화가 되어있지 않아 거주자의 장소애착과 장소기억에 대한 통합적인 해석에 활용될 수 있도록 코딩 작업을 진행하였다. 범주화된 자료는 애착이 있는 장소들과 장소기억을 매핑을 통해 시각적인 이미지로 재현하고, 기존 이론과 새로운 시각에서의 해석을 통해 연구 목적에 부합하도록 재구성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장소애착의 다각적인 측면에 주목하여 둔촌 주공아파트 거주자에게 특별한 의미를 갖는 장소들의 종류를 확인하고, 이러한 장소들을 중심으로 자신의 삶과 의미를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단지의 공간구조를 비롯한 물리적 환경, 집단기억이나 공동체 의식이 수행하는 역할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상생활 속에서 개인이나 집단의 중층적인 경험을 매개해 주는 기억들을 복원하고, 이를 해석하여 장소애착 형성에 기여하는 아파트 단지의 공간적 구조와 물리적 요소들을 도출해냈다. 무엇보다 단지의 거대한 규모, 자연친화적인 경관이미지, 그리고 단지 내 다양한 시설물에 대한 추억과 기억들은 둔촌 주공아파트에 대한 특별한 애착을 유발한다. 본래 장소기억은 불완전하지만 기억하는 주체들의 과거를 장소를 매개로 재구성한 결과, 가시적인 경관에 대한 총체적인 심상성(imageability), 내밀한 공간인 집에서의 장소기억, 옥외공간에서 일상생활성과 장소기억, 근린생활시설에 대한 장소기억들이 종합되면서 장소로서의 고유한 의미가 드러났다. 장소애착은 계획자의 설계의도에 부합하는 거주자의 수동적인 행태나 물리적 환경과 공간구조에 대 거주자의 능동적이고도 감각적인 체험이 얼마나 다양한 장소적 의미를 부여하느냐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거주자의 장소애착은 계획된 아파트 단지의 경관을 비롯한 물리적 요소들과 거주자의 주체적인 경험을 의미하는 장소-내-경험(experience-in-place)에 의존하여 자신의 과거사나 추억과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둔촌 주공아파트 단지에서 재건축 사업에 대한 논의는 장소기억의 변천과 공동체에 대한 애착 형성을 촉발시킨 계기가 되었다. 재건축 사업은 단순히 둔춘 주공아파트에 존재하는 기억의 장소와 일생생활의 경관을 제거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논의 자체만으로도 기존의 아파트 공동체를 허약하게 만들었다. 아파트 키즈는 집단적‧사회적 차원에서 애착을 갖는 장소들의 기억을 복원하면서 과거를 기념하고자 하였는데, 이 때 반드시 아파트 단지 거주자들이 재건축 논의 이전부터 공유하고 있던 고유의 정서를 언급한다. 이에 연관되어 재현된 기억들은 희박해져 버린 공동체의식을 복원하면서 아파트 키즈로서의 정체성과 아파트 단지에 대한 애착을 강화한다. 또한 타 지역의 또래 집단이나 베이비 부머 세대와의 아파트 공동체에 대한 기억 간에 경합이 일어나는 과정 속에서 진정한 장소성을 둘러싼 기억의 정치와 장소의 정치가 서로 만나는 양상이 나타난다.
이 연구는 삭막한 환경으로 비판받는 아파트에서도 내부자들인 주민들에 의해 부단히 만들어진 장소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재건축사업은 과거로의 다리 역할을 수행해오던 수많은 장소들을 순식간에 소멸시킨다. 대상지인 둔촌 주공아파트의 아파트 키즈는 추억이 많지만 곧 재건축 사업으로 사라져버릴 장소를 직접 대면하고 다시 체험하면서 장소에 대한 기억을 선명하게 재현했다. 이처럼 주민과 지역공동체가 아파트 단지에서 연결고리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장소기억을 매개로 재현할 수 있다는 점, 이를 통해 장소애착의 형성요인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도시공간에서의 장소와 인간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아파트 키즈로 한정함에 따라 실증적인 측면에서 보편성이 부족하고 연구설계의 엄밀성의 또한 미흡한 것도 사실이다. 아파트 키드라는 속성으로 묶여있는 집단의 편향성은 학력, 젠더, 세대, 거주지 등에 따른 엄밀한 대조군의 부재로 적절한 비교연구가 수행되지 못하였고, 인터뷰 중 질의응답 내용이 수집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왜곡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연구자가 이를 포착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심층적·현상학적인 인터뷰를 통해 장소와 사람과의 관계가 인지되는 과정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아파트 주거문화를 공간정치적 시선에서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기존의 통념을 넘어서고자 아파트 단지에서 성장한 사회적 집단에 초점을 두고 그들의 장소감과 일상성을 도출해내면서 주거문화의 기억을 담지하는 도시 내 장소로서의 아파트의 가능성을 가늠하고자 노력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한계와 시사점이 관련연구의 확장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5
2. 연구의 범위 6
1) 공간적 범위 6
2) 내용적 범위 7

Ⅱ. 아파트 비판과 고향으로서의 아파트 8
1. 아파트 단지에 대한 비판적 고찰 8
1) 장소성이 없는아파트 단지 공화국 8
2) 사회적 관점에서의 아파트 단지 비판 9
3) 현대사회의 고향상실 10
2.『안녕, 둔촌주공아파트』 프로젝트 11
1) 아파트 키즈의 개념과 정의 12
2) 아파트 키즈와 고향으로서의 아파트 단지 13
3. 대상지 개관 20
1) 둔춘동의 유래와 연혁 20
2) 둔촌 주공아파트의 개발 배경 21
3) 둔촌 주공아파트 현황 24
4. 대상지의 공간구조와 단지계획적 특징 31
1) 근린주구론의 도입과 보편적 계획관행의 정착기 32
2) 둔촌 주공아파트에서의 계획기법의 진전 34
3) 소결 41

Ⅲ. 장소애착과 장소기억 43
1. 장소성의 개념과 정의 43
2. 장소애착의 개념과 정의 45
3. 장소기억의 개념과 정의 48
4. 장소애착 관련 연구 고찰 52
5. 장소기억 관련 연구 고찰 57

Ⅳ. 분석의 틀 59
1. 연구의 방법 59
1) 초점집단인터뷰 60
2) 보행 인터뷰 61
2. 표본의 선정 63
1) 표본 선정의 방법 63
2) 표본집단의 특성 64
3. 자료의 수집과 분석 65
1) 자료의 수집 65
2) 자료의 분석 69

Ⅴ. 아파트 단지에서의 장소애착과 기억 분석 72
1. 공간구조와 물리적 환경에 대한 거주자의 심상성 72
1) 단지 내 공간구조의 거대함와 복잡함 73
2) 쇠락한 아파트 단지의 이국적인 이미지 76
3) 주거지의 물리적 경관과 보행로의 다양성 78
4) 주거환경의 쾌적함과 아파트 숲의 이미지 83
5) 소결 85
2. 주거공간에서의 거주자의 경험과 장소기억 86
1) 거주자 C: 뒷동산이 있던 즐거운 집 87
2) 거주자 G: 산수유나무의 추억이 서린 집 93
3) 거주자 G: 청년시절을 보낸 예쁜 집 98
4) 소결 101
3. 장소애착을 형성하는 옥외공간의 장소들 103
1) 놀이터에 대한 아파트 장소기억 105
2) 아파트 숲'에 대한 장소기억 112
3) 보행자의 기억저장소로서의 '길' 115
4) 전유하는 장소로서의 옥외공간 124
5) 소결 129
4. 근린생활시설에서의 거주자의 경험과 장소기억 130
1) 근린생활시설에서의 장소경험과 동네의 인지 130
2) 단지 외부의 상업시설에서의 경험과 장소기억 134
3) 소결 135

Ⅵ. 아파트 단지를 둘러싼 기억의 경합 138
1. 아파트 공동체에 대한 아파트 키즈의 기억 138
1) 둔촌축제를 둘러싼 기억들 139
2) 이웃관계의 경합과 느슨한 공동체의식 143
3) 도로를 불법으로 점거한 주민들 147
4) 보수적남성중심적 중산층의 재생산 공간 148
5) 공간적 위계에 따른 차별의 집단적 기억 150
6) 재건축에 대한 아파트 키즈의 대응 154
7) 소결 158
2. 장소기억에서의 세대 간의 경합과 재현 159
1) 환경보존운동과 재건축 사업 간의 갈등 159
2) 포섭과 배제가 경합하는 아파트 기억공동체의 한계 161
3) 소결 166

Ⅶ. 결론 167

참고문헌 173

별침 185

Abstract 193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894263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아파트-
dc.subject아파트 단지-
dc.subject아파트 키즈-
dc.subject장소성-
dc.subject장소애착-
dc.subject장소기억-
dc.subject재건축-
dc.subject둔촌주공아파트-
dc.subject.ddc711-
dc.title아파트 키즈의 아파트 단지에 대한 장소애착과 기억 - 둔촌 주공아파트 사례를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Place Attachment and Memory of Apartment Kids to an Apartment Complex - A Case Study of Dunchon Jugong Apartment Complex --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Rhim, Junha-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97-
dc.contributor.affiliation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dc.date.awarded2017-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