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업장별 화학물질배출량 공개가 지역별․업종별 화학물질배출량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Information Disclosure on the workplace pollutant release : focused on the regional and industrial pollutant releas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상인-
dc.contributor.author이화실-
dc.date.accessioned2017-07-19T07:59:09Z-
dc.date.available2017-07-19T07:59:09Z-
dc.date.issued2014-08-
dc.identifier.other00000002081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047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정책학과, 2014. 8. 박상인.-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사업장별로 화학물질배출량을 공개하는 것이 지역별·업종별 화학물질배출량을 감소시켰는가에 관한 연구이다. Kraft, Stepha and Abel(2011)은 화학물질배출량이 공개되면 지역주민의 정보획득비용이 낮아지고, 사업자는 배출량의 보고를 통해 배출한 화학물질이 지역주민에게 미치는 환경적 위해성을 비용으로 인식하게 되는 등의 과정을 통해 지역주민과 사업자 등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미국에서 TRI는 이러한 원리에 의하여 배출량 감소에 기여하였다고 설명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탈러·선스타인(2009)은 정보를 공개한다는 사실 자체보다 정보공개의 방법이 중요하다고 지적하면서 정보를 제공받는 사람이 알기 쉬운 형태로 정보가 제공되어야 행위자들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사업장별로 화학물질배출량을 공개하는 것이 우리나라에서도 화학물질배출량 감축에 기여하였는지와 화학물질의 유해성 및 배출량의 규모에 따라 공개의 효과가 달라졌는지를 알아보고 제도의 운영방향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송종대(2012)가 제시한 모델을 기초로 패널 선형회귀방정식을 만들고 이를 검증하였다. 우선, 본 연구는 15개 광역시·도와 제조업 중분류 19개 업종으로 구분된 화학물질배출량을 종속변수로 이용하였다. 또한, 유해성에 따라 공개의 효과가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화학물질을 1그룹/2그룹, 유독물/비유독물, 발암물질/비발암물질로 구분하여 종속변수로 이용하였다.
사업장별 정보공개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기간(2004년부터 2007년)을 연구의 비교집단으로 삼고 사업장별 정보공개가 결정되고 자발적으로 원하는 사업장만 정보를 공개하기 시작한 기간(2008년부터 2011년)과 실제로 사업장별로 정보가 공개되는 기간(2010년, 2011년)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이 때 배출량의 규모가 공개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배출량이 많은 상위 25% 업종(19개 중 5개)과 배출량이 많은 상위 25% 지역*업종(279개 중 70개)에 대하여 별도로 공개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정보의 공개 외에 화학물질배출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을 통제하기 위하여 매출액, 종업원 수, 연구개발비, 규제율, 적발율, 환경단체 수와 선거율을 통제변수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평균집단의 총배출량은 2008년에 감소하였다가 2010년에는 다시 증가하여 원 상태로 회복되는 추세를 보여준다. 둘째, 평균집단에서 유해한 화학물질군인 1그룹, 유독물, 발암물질의 배출량이 덜 유해한 화학물질군인 2그룹, 비유독물, 비발암물질의 배출량보다 2008년에 더 감소하고 2010년에 덜 증가하였다. 이는 사업장별 화학물질배출량 정보공개 사실의 결정 및 공표로 배출량이 감소했지만 사실상 정보공개가 이루어지자 다시 증가하는 등 배출량 정보공개의 영향이 크지 않음을 보여준다. 다만, 유해한 화학물질군이 화학물질출량 정보공개 사실의 결정 및 공표에 보다 영향을 받았다. 이와 같이 정보공개의 효과가 크지 않은 것은 현행의 배출량 정보가 사람들이 이용하기에 쉬운 형태로 제공되지 않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상위 업종은 2008년 1그룹을 제외하고는 배출량이 증가하고 2010년에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상위 지역*업종은 2008년과 2010년 모두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평균 지역*업종보다 작은 계수 값을 가진다. 즉, 상위 업종의 1그룹을 제외하고는 상위 집단에서 유해한 화학물질이 더 감소하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상위 업종과 평균 업종의 배출량 저감으로 인한 한계편익이 같다고 가정할 때, 상위 업종의 배출량 감소 효과가 더 적게 나타났다는 것은 상위 업종의 배출량 저감 한계비용이 평균 업종보다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므로 상위 업종의 배출량 저감 비용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런데 상위 지역*업종에서는 상위 업종과 달리 배출량이 증가하지 않아 상위 업종의 배출량 증가효과가 지역의 효과로 상쇄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재의 사업장별 정보공개가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에 기대한 만큼 영향을 주지는 않았고 그 영향은 상위 집단에서 더 작았다. 특히, 유해한 화학물질이 더 감소하는 효과는 평균 집단에서만 나타났다. 그러나 상위집단의 계수 값 변화, 상위 업종과 상위 지역*업종의 차이, 상위 업종에서 1그룹의 변화 등을 고려하면 정보의 공개방식을 개선하고, 지역 주민 등이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면 공개의 효과가 달라질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gional and industrial effect of the disclose information about the pollutant emission quantity on each workplace.

According to Kraft, Stepha and Abel(2011), once the pollutant information released, community residents are able to be in advantageous position of obtaining information with a low cost and negotiating with businesses located in neighborhood. They argue that most businesses will change their business policies because public awareness is recognized as a consequence after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However, Thaler & Sunstein(2009) put more emphasis in the method of disclosure given that industries are malleable to change only when the information is accessibly provided to community.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information disclosure of pollutant emission contributes to pollutant reduction. It is also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pollutant maleficence, emission quantity, and the effect of information disclosure, and ultimately to present implication on the current disclose system.

To do this, I make hypothesis
-
dc.description.abstractPollutant would be declined when the government disclosed information about the pollutant emission quantity on each workplace or had determined to do it-
dc.description.abstractmaleficent pollutant would be declined more than the other-
dc.description.abstractPollutant which produced by group that emits more pollutant would be declined more than the other.

I verify the hypothesis setting up the panel linear regression model with fixed effects based on paris-winstern estimation initiated by Song(2012). First, the emission quantities of 15 provinces * 19 mid-levels of manufacturing business a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to see the effect of information release according to pollutant harmfulness, pollutants are to be sorted in two groups such as 1group vs. 2group, toxicant vs. no-toxicant, carcinogens vs. no-carcinogens.

In this model,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dissected into the three periods, based on different method of information disclosure
-
dc.description.abstractvoluntariness and forcibleness. For the past 10 years, there were crucial junctures with the method about opening information. In brief, from 2004 to 2007, no national-wide public information law existed and only specific regional and industries were regulated to release information. In 2008, the government determined policy about the compulsory information release of pollutant with period of suspension, 2years. So, during 2008 and 2010, only the information from voluntary workplace went public. In 2010, the grace period expiring, every workplace faced the duty to open its pollutant emission information. So, the period of 2004-2007 is used as the comparative period and two periods, 2008-2011 and 2010-2011(current) are analyzed as two dummy variables. Furthermore, the top 25% industry (5 out of 19) and the top 25% province*industry (70 out of 278) in the released quantity order are chosen differently to go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emission quantity and the effect of disclose. For control variables, the total sales, the number of employee, research and development cost, regulation rate, monitoring rate, the number of environment group and turnout of provincial governor are considered.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total release quantity of pollutant was at average found declined in 2008 and increased again in 2010. So total release went back to their emission pattern at 2010.
Secondly, the hazardous pollutant group such as 1group, toxicant, and carcinogens is averagely significantly decreased in 2008 and slowly increased in 2010 in comparison with the rest group.
This shows that businesses are more sensitive to the policy decision impact and its official announcement than to the information disclosure itself. Interestingly, this policy decision impact more enormously stands forth on toxic pollutant. But, the influence itself is not much noticeable, and it presumably stems from the low availability of the information presented to community.

Thirdly, the top 25% industry in the released quantity, except 1group, is seen to emit more in 2008 and to hold this emission pattern until 2010 while the emission quantity of the average industry reduced in 2008 and increased in 2010.
This implies that the pollution abatement cost of the top industry is way higher than the average industry considering the marginal pollution abatement benefit of top industry is not different from the average industry, more detailed examination is needed on the emission reduction cost of the top industry.

Forth, the change of emission pattern from the top 25% region*industry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2008 and in 2010. However, the top region*industry has smaller coefficient than the average region*industry.
This shows the top region*industry is less affected on the emission reduction by the regulation of the opening information. Additionally, in the accordance with the data that the top region*industry emission doesnt increase unlike the top industry group, it is assumed that the region factor plays a role in offset the emission quantity.

To conclude, the regulation impact of the current workplace pollutant release is less significant than expected and the top emission group was not sensitive as the average emission group.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pollutant maleficence and the effect of information disclosure is observed only in the average emission group.
However, in respecting the top emission groups smaller coefficient, difference between top industry and top region*industry and the change of 1group emission pattern, the profound impact is to be made with improvement in the disclosure method and with maximizing this opening information system by more region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제 2 절 연구의 대상 및 방법 3
1. 연구의 대상 3
2. 연구 방법 4

제 2 장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5
제 1 절 정보제공에 대한 이론적 논의 5
1. 정보제공에 대한 개념적 정의 5
2. 정보제공의 특성 5
3. 정보제공의 효과 및 선행 연구 7
제 2 절 화학물질배출량 보고제도에 대한 이론적 논의 9
1. 화학물질배출량 보고제도의 개념 및 목적 9
2. 화학물질배출량 공개제도의 도입 10
3. 화학물질배출량 공개제도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 13
4. 주체별 화학물질배출량 공개제도의 활용 14
5. 화학물질배출량 공개제도에 관한 선행연구 16


제 3 장 연구 설계 및 분석 방법 19
제 1 절 가설 설정 19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21
1. 종속변수의 조작적 정의 21
2. 설명변수의 조작적 정의 24
3. 분석의 틀 29
제 3 절 분석 기법 31

제 4 장 결과 및 해석 33
제 1 절 기초 통계량 분석 33
1. 종속변수 : 화학물질배출량 33
2. 독립변수와 통제변수 64
제 2 절 회귀 분석 결과 67
1. 화학물질 유형별 분석결과 67
2. 공개 효과 요약 및 시사점 80

제 5 장 결론 88
제 1 절 요약 88
제 2 절 연구의 의의와 한계 90

참고문헌 92
Abstract 95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94759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화학물질배출량 정보공개제도-
dc.subject사업장별 정보공개-
dc.subject공개의 방식-
dc.subject유해성-
dc.subject정보공개 효과-
dc.subjectpollutant release transfer and register system-
dc.subjectinformation disclosure-
dc.subjectworkplace pollutant-
dc.subjectmaleficience-
dc.subjectdisclosure method-
dc.subject.ddc350-
dc.title사업장별 화학물질배출량 공개가 지역별․업종별 화학물질배출량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f the effect of Information Disclosure on the workplace pollutant release : focused on the regional and industrial pollutant release-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Hwasil-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ⅷ, 99-
dc.contributor.affiliation행정대학원 정책학과-
dc.date.awarded2014-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