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의정부시의 도시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 의정부시 비보이 사업을 중심으로 -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도빈-
dc.contributor.author박재민-
dc.date.accessioned2017-07-19T08:00:00Z-
dc.date.available2017-07-19T08:00:00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other00000014276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0487-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정책학과, 2017. 2. 임도빈.-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변혁의 과정을 맞이하고 있는 의정부시가 도시정체성 확립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사업과정과 그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의정부시는 그 동안 군사분계선 접경지역이라는 지역적 특색과 이로 인한 미군부대의 장기간 주둔, 군사도시라는 이미지 때문에 시민들의 도시정체성이 낮은 대표적인 도시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미군부대의 철수와 공여지 반환, 각종 문화 콘텐츠 투자 및 개발 등으로 지역 주민들의 도시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비보이 콘텐츠 사업이다. 하지만 이러한 비보이 콘텐츠 사업의 효과에 대해 시민들의 직접적인 의견과 경험을 분석하고 있는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민들을 직접 대면하여 비보이 콘텐츠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으며, 실제로 이러한 사업을 통하여 의정부 시민들이 겪는 도시정체성의 변화를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정부시민들은 연령이 높고 거주기간이 길수록 의정부시에 대한 이미지가 부정적이고 비보이 콘텐츠에 대한 기대감과 만족감이 컸다. 반대로 연령이 낮고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의정부시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이었으며 비보이 콘텐츠에 대한 이미지가 부정적이었다. 즉, 의정부시에 대한 도시정체성이 보다 더 긍정적으로 확립이 되어있을수록 비보이 콘텐츠에 대한 필요성과 기대감, 만족감이 낮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의정부시에 대한 도시정체성이 부정적으로 확립이 되어있을수록 비보이 콘텐츠에 대한 필요성과 기대감, 만족감이 크게 나타난 것이다. 이와 같이 비보이 콘텐츠의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그 사업의 대상자들에 관한 명확한 이해가 부족하며 그 효과가 부정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비보이 콘텐츠는 한국관광공사에서 한국의 대표 문화 콘텐츠로 선정이 될 만큼 그 가치가 높게 평가되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했다. 때문에 본 연구는 비보이 콘텐츠에 대한 그 효과를 분석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특히 의정부시에서 시책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비보이 콘텐츠 사업에 대한 시민들의 의견을 직접 듣고 지역적 특색에 비보이 콘텐츠가 어떠한 효과를 갖고 있는지 분석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정부시의 비보이 콘테츠 사업의 시민들의 기대감과 만족감을 비보이 콘텐츠 노출 이전과 이후로 나눠 그 차이를 비교분석하지 못했다는 것은 본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또한 의정부시민들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 못하고 제한된 숫자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기에 의정부시의 비보이 콘텐츠 사업에 관한 보다 더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1
제 2 절 연구의 대상과 범위 4
제2장 이론적 배경 5
제 1 절 지역 정체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 5
1. 선행연구 5
(1) 도시의 개념 6
(2) 장소성 7
(3) 장소애착 7
1. 의정부시의 특성 8
제 2 절 문화정책이 지역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10
1. 문화정책이 지역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10
2. 비보이 사업의 개념 및 특징 14
(1) 비보이의 개념 14
(2) 의정부시 비보이 사업 17
제3장 연구의 방법 18
제 1 절 질적 연구의 필요성 18
제 2 절 연구문제의 발견과 구체화 과정 19
제 3 절 연구 참여자의 선정과 자료 수집 방법 21
제 4 절 질적 연구방법론 24
제 5 절 자료분석과정 27
제4장 분석 결과 29
제 1 절 의정부시의 비보이 콘텐츠 29
(1) 예산 편성 29
(2) 집행자의 증언 33
제 2 절 인터뷰 범주화 40
(1) 의정부시민의 공통적 의식 40
(2) 의정부시민들의 연령대별 의식 차이 52
(3) 의정부시민들의 거주기간별 의식 차이 63
(4) 비보이 사업과의 물리적 거리에 따른 의식 차이 69
(5) 비보이 사업이 가져온 변화 75
(6) 젊음에 대한 의식 차이 80
제5장 논의 95
제 1 절 도시 경쟁력 95
제 2 절 비보이 콘텐츠 96
제 3 절 도시 브랜드 97
제6장 결론 및 정책 시사점 98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98
제 2 절 연구의 이론적 함의와 한계성 101
제 3 절 정책적 제언 103
참고문헌 104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4909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의정부시 도시정체성 비보이-
dc.subject.ddc350-
dc.title의정부시의 도시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 의정부시 비보이 사업을 중심으로 --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05-
dc.contributor.affiliation행정대학원 정책학과-
dc.date.awarded2017-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