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CT를 이용한 한국 여성에서 정중구개봉합의 폐쇄정도에 관한 분석 : Analysis of midpalatal suture maturation in Korean female with computed tomograph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영민

Advisor
김태우
Major
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Issue Date
2015-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CT정중구개봉합골성봉합 폐쇄교정용 미니임플란트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 치의학과, 2015. 2. 김태우.
Abstract
1. 목 적

정중구개부는 치근, 신경 등의 주의해야 할 해부학적인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고 수직적인 골 높이가 충분하여 미니임플란트의 식립이 용이한 부위이다. 그러나 일부 환자에서는 성장이 완료된 후에도 정중구개봉합이 완전히 폐쇄되지 않아 미니임플란트 식립시 충분한 골 두께의 확보가 어려워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6세 이상의 여성 환자에서 computed tomography(CT) 영상을 이용하여 정중구개봉합 폐쇄 형태를 분류하고 폐쇄 정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정중구개부 미니임플란트 식립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 방 법

서울대학교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정중구개부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MDCT) 자료가 있는 여성 40명을 선정하였다. 이 때 악교정 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거나, 상악 구개 확장의 경험이 있거나, 악안면 기형을 가진 환자를 제외하였다. 환자의 정중구개봉합 상에 절치공(incisive foramen)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후방으로 12mm, 18mm, 24mm 떨어진 3개의 계측지점을 설정하였다. 이 계측지점에서 CT의 관상면(coronal plane) 영상에서 정중구개봉합의 폐쇄 양상에 따라 4개의 형태로 분류하였다. Type I은 정중구개봉합 하방에 구(groove)가 전혀 없는 형태이다. Type II는 정중구개봉합 하방에 음푹 들어간 구가 있는 것이 특징이며 구 상방에 다른 방사선투과성 상이 없는 형태이다. Type III는 Type II의 형태에서 구 상방에 방사선투과성 상이 추가된 형태이다. 마지막으로 Type IV는 정중구개봉합의 하연부터 상연까지 방사선투과성 상이 연결된 형태의 띠로 나타난 형태를 의미한다. 정중구개봉합의 폐쇄 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골성봉합이 되지 않은 구의 깊이를 측정하였다. 구의 깊이 측정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Dahlberg's test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연령의 증가에 따른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16-18세(20명), 19-30세(20명)의 두 군으로 나누고 Student's t-test를 시행하여 두 군 간의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였다.

3. 결 과

군별 정중구개봉합 폐쇄 양상의 분류 결과 16세-18세에서는 Type IV(27회) > III(20회) > II(10회) > I(1회) 의 순으로 많이 관찰되었으며, 19세-30세에서는 Type II(25회) > IV(20회) > III(9회) > I(5회) 의 순으로 관찰되었다. 두 연령군을 비교하였을 때에는 Type III, IV는 16세-18세에서 19세-30세보다 더 많이 관찰되었고 Type I, II는 19세-30세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관찰되었다. 19세-30세 여성 20명 중 11명에서 세 개의 계측지점 중 하나 이상에서 Type IV 형태가 관찰되었고, 특히 3명에서는 모든 계측지점에서 Type IV 형태가 관찰되었다.
계측지점에서 정중구개봉합 구의 깊이를 측정한 결과 16-18세는 평균 2.6mm, 19-30세는 평균 2.3mm의 깊이를 보여, 어린 연령에서 구의 깊이가 평균적으로 0.3mm 깊었다. 통계처리를 위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p value는 0.164(>0.05)로, 유의성을 입증하지 못하였다. 측정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대상 중 무작위 10명에 대한 Dahlberg's test를 실시하여 0.227의 결과값을 얻을 수 있었다.

4. 결 론

16-18세 여성 20명과 19-30세 여성 20명을 CT영상의 관상면 상에서 비교한 결과 더 어린 16-18세에서 골성봉합이 적은 형태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관찰되었다. 유의성을 입증하지는 못했지만, 정량적으로 구의 깊이를 측정하였을 때에도 어린 연령군의 구의 깊이가 평균적으로 0.3mm가량 더 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어린 연령에서 정중구개봉합의 폐쇄가 상대적으로 덜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19-30세에서도 몇몇 환자들에서는 폐쇄가 불완전한 정중구개봉합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임상가들은 미니 임플란트 식립시 어린 환자일수록 CT 영상을 통해 특히 더 주의 깊게 살펴야 하며 성인 환자에서도 봉합이 불완전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CT 영상을 확인하는 것이 미니 임플란트 식립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082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