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3차원 광학 스캐너와 Cone-Beam CT에서 생성된 디지털 모형들 간의 비교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권혁진

Advisor
김각균
Major
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Issue Date
2016-02
Publisher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Keywords
Digital Model3D Optical ScannerCone-Beam CTCastComparis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 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2016. 2. 김각균.
Abstract
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실제 환자의 석고모형의 CBCT 이미지로 디지털 모델을 제작하고 이 디지털 모델을 동일한 석고모형을 3차원 광학 스캐너로 스캔하여 얻은 디지털 모델과 비교하였다.

2. 방법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 및 원내생의 석고모형을 무작위로 선출하였다. 이 중 모델의 상태가 불량한 것을 제외 하고 총 22개(상악 11개, 하악 11개)의 석고모형을 연구 대상으로 선택 하였다. CBCT 촬영장치(Carestream CS9300, Carestream Health, NY, USA)를 이용하여 촬영 하였다. 이 CT 이미지를 이용하여 디지털 모델을 만들고 다시 3차원 광학 스캐너 (Identica-Blue, Medit, Seoul, Korea)를 사용 하여 석고모형의 디지털 모델을 제작하였다.
각 석고모형에 대하여 CBCT와 3차원 광학 스캐너를 이용하여 만든 디지털 모델을 한 쌍으로 묶어 22개의 비교 쌍을 구성하고 각 쌍에 대하여 차이점을 분석 하였다. 비교는 Geomagic Studio 12(Geomagic, Geomagic, SC, USA) 프로그램을 이용 하였다. 두 모델이 3차원의 특정 지점에서 어느 정도의 차이를 가지는지는 색상으로 표현하였으며 각 지점에서의 평균 오차와 최대오차와 같은 통계 수치를 표로 정리 하였다. (SPSS Version 22.0)

3. 결과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석고 석고모형의 CBCT 영상을 이용하여 디지털 모델을 구성 하였다. 그 후 이 디지털 모델을 같은 석고모형의 3차원 광학 스캐너를 통해 얻은 디지털 모델과 비교하여 상호간 차이를 분석하였고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석고모형의 CBCT 영상으로부터 구성된 디지털 모델은 3차원 광학 스캐너로부터 얻어진 영상과 비교할 때 양의 오차의 경우 최대 오차의 범위는 0.866-3.564 mm 범위 내에서 얻어 졌으며 평균값은 0.059-0.117 mm의 값을 가졌다. 이와는 반대로 CBCT를 이용한 모델이 3차원 광학 스캐너의 모델 보다 같은 지점에서 낮은 값을 가지게 된 것을 의미하는 음의 오차는 최대값이 1.283-3.840 mm 범위에서 얻어 졌으며 평균값은 0.066-0.146 mm 범위 안에 존재 했다.
위의 결과로부터 석고모형의 CBCT 영상으로부터 구성된 디지털 모델은 교정 진단 과정, 보철 수복 시 임시수복물 제작에 활용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084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