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명대 속문학에 드러난 개고기의 상징성 : 明代俗文學中狗肉的象徵意義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Olivia Milburn-
dc.contributor.author황만죽-
dc.date.accessioned2017-07-19T09:42:27Z-
dc.date.available2017-07-19T09:42:27Z-
dc.date.issued2016-08-
dc.identifier.other00000013664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1867-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문학전공, 2016. 8. Olivia Milburn.-
dc.description.abstract明代에는 白話文學이 발전하고, 문인들도 俗文學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활발하게 창작을 하였으며, 인쇄 및 출판의 발달로 인하여 독자 계층이 다양화되었다. 이에 따라 명대에는 속문학이 발전하게 되었고, 당시 사회의 모습은 문학에 반영되었다. 그래서 명대 속문학에는 문인 및 일반 백성들까지, 그들의 생활과 사상 경향이 드러나곤 한다. 동시에 당시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형성된 인식이 나타나게 된다.
본고는 바로 이러한 인식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대상으로 음식을 선정하였다. 음식은 사람의 식(食)문화로서, 그 사람의 각종 배경을 알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러 학문 분야에서는 음식과 관련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었고, 중국 문학 방면에서도 그것에 나타난 음식에 관한 학술 논문과 저서가 비교적 많았다. 그러나 음식 연구의 대상이 일부 음식에 지나지 않아 연구 범위가 협소한 측면이 있었고, 그 시대의 보편적인 사회적 인식을 살펴볼 수 있는 구체적인 음식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였다. 그래서 본고는 문학에서 소재로 쓰이는 음식 중 개고기를 선정하였으니, 개고기가 등장하는 장면은 명대 속문학에 집중된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개고기가 명대 속문학에서 특수한 상징성을 가진 음식임을 증명하는 요소가 된다. 따라서 본고는 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개고기라는 특수한 예를 통해 음식이 어떤 문학적 상징성을 가지고 있는지, 이러한 상징성이 작품 전체의 맥락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그 방법으로서 기호학을 사용하였다. 기호학에 따르면, 문학에 등장한 음식은 사회 문화적인 의미와 결합하여 문학 텍스트 속에서 특정 의미를 가진 기호가 된다. 즉, 기호학의 연구 방법을 이용하면 음식의 현실적인 의미와 문학적인 의미를 연결하여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명대 속문학 안에서 특수한 상징성을 가진 개고기를 통하여 당시 사람들의 인식을 알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고는 이러한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개고기의 상징성을 분석할 수 있었다.
먼저 개고기 및 속문학과 관련한 사회 문화 배경에 대해 다루었다. 이를 통해 개고기는 역사적으로 볼 때 그 지위에 변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선진시기에 귀족과 평민 모두가 개고기를 즐겨 먹었던 반면 수당시기부터 점점 하층민과 가까워지게 되어 송대 이후부터는 일반적으로 비천한 음식으로 여겨진 것이다. 따라서 개고기의 사회 문화적인 함의가 문학에 반영되어, 그 결과로 특수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게 되는 배경을 형성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속문학 중에서도 개고기가 등장하는 명대 속문학 작품들을 크게 白話小說과 戲曲으로 분류하여 다루었다. 또한 그 안에서 개고기와 관련된 인물이 등장하는 장면을 분석함과 더불어 각각의 작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부가하여 본고의 논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는 속문학 작품에 나타난 개고기를 먹는 승려와 개고기를 먹는 도사, 개를 도살하는 백정 등의 경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개고기와 관련된 묘사가 인물의 형상화에 작용하는 양상과 그것이 기호화됨으로써 갖게 된 상징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그것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정리되었다. 먼저, 개고기는 세속성을 상징한다. 개고기는 비천한 음식이었기 때문에 개고기를 먹는 장면을 삽입함으로써 해당 인물의 낮은 사회적 신분을 드러냈다. 또한 소설과 희곡에 나타난 인물들은 이러한 상징성에 의해 입체화되었으니, 일반적으로 고상하거나 개고기를 먹어서는 안 된다고 여겨지는 인물들이 세속성을 띠게 되면서 입체적이고 다면성이 있는 인물이 된 것이다. 둘째로 개고기는 사회 규칙에 대한 파격을 상징한다. 개고기를 먹는 승려 또는 도사는 이러한 반역을 통해서 계율에 대한 집착을 타파하고 계율을 초월한 선행을 강조하였다. 또한 개를 훔쳐 잡아먹거나 파는 영웅호걸들은 사회 규칙을 위반했지만, 개고기의 파격적인 상징성을 통해 세속에 얽매이지 않는 그들의 의협심을 드러냈다. 셋째로 개고기는 본성과 욕망을 상징한다. 개고기는 다른 육류와 비교할 때 그 뛰어난 맛으로 인하여 인간들의 미식에 대한 본능적인 추구에 적합하였다. 승려와 도사들이 개고기를 먹는 것을 통해 본성과 욕망이 계율을 이긴 것을 상징하고, 일반 인물들이 개고기를 훔쳐 잡아먹거나 파는 것을 통해 그들이 사회 규범에 구애받지 않는 호방한 성격임을 드러낸 것이다.
개고기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 기호로서 텍스트 내에서 활발하게 문학적인 의미를 구축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통해 명대 속문학에서 보이는 개고기의 상징성을 분석함으로써 명대 속문학의 감상과 이해에 도움을 주는 데 의미가 있으리라 본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 동기 및 목적 1
1.2 선행 연구 검토 3
1.3 연구 방법 및 범위 7

2. 사회 문화 배경 10
2.1 개고기 식용의 문화적 배경 10
2.2 중국 역사상 개고기의 지위 변화 17
2.3 명대 사회 및 속문학 25

3. 연구 대상 분석 29
3.1 연구 대상 개황 29
3.2 백화소설 31
3.3 희곡 38

4. 명대 속문학 속 개고기와 인물 48
4.1 백화소설 속 개고기와 인물 48
4.2 희곡 속 개고기와 인물 70
4.3 소결 91

5. 개고기의 상징성 분석 95
5.1 문학 배경의 세속화 95
5.2 사회 규칙에 대한 파격 98
5.3 본성과 욕망의 지향 102

6. 결론 106

참고 문헌 109

中文摘要 11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95532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명대 속문학-
dc.subject음식-
dc.subject백화소설-
dc.subject희곡-
dc.subject개고기-
dc.subject상징성-
dc.subject기호학-
dc.subject.ddc895-
dc.title명대 속문학에 드러난 개고기의 상징성-
dc.title.alternative明代俗文學中狗肉的象徵意義-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uang Wanzhu-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19-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dc.date.awarded2016-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