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기장수형 부대각 설화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현설-
dc.contributor.author김규래-
dc.date.accessioned2017-07-19T09:54:45Z-
dc.date.available2017-07-19T09:54:45Z-
dc.date.issued2014-08-
dc.identifier.other00000002220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2119-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4. 8. 조현설.-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아기장수형 부대각 설화가 지니는 전승현장의 성격 및 서사문학적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이 설화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아기장수형 부대각 설화는 제주도의 부대각이라는 장수에 관한 설화로서 아기장수 설화의 독특한 변이형에 해당되는 작품이다.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부대각 설화의 양상을 총괄하여 분류하였다. 연구자가 채록한 새 자료 10편을 합하여 총 38편의 부대각 설화를 정리하고 그 중 아기장수 유형 22편을 연구 대상으로 확정하였다.
Ⅱ장에서는 아기장수형 부대각 설화가 전승되는 전승현장의 특성을 전승자 집단의 양상과 전승자 집단의 의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아기장수형 부대각 설화는 본풀이와 전설의 두 가지 갈래로 나뉘어 전승되는데, 본풀이는 심방과 집안 공동체의 전승이며 전설은 구좌읍(舊左邑)의 마을 공동체 및 제주부씨(濟州夫氏)라는 가문 공동체의 전승이다. 심방은 본풀이의 전문적인 연행자로서 계보 및 소속 지역, 개인적 특성에 의하여 보유한 사설이 달라진다. 집안 공동체는 지역을 기반으로 한 씨족 집단으로, 생활공동체의 성격을 지니며 여성 중심적이고 조상신에 대한 신앙을 공유한다. 한편 마을 공동체와 가문 공동체는 남성 중심적이며 집단의 대표가 전승을 이끌어나간다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전승 집단들은 모두 역사 전수 의식을 강하게 지니며 부대각 설화를 통하여 전승 집단의 정체성을 구성하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아기장수형 부대각 설화의 서사문학적 특성을 인물 ․ 구조 ․ 갈래의 세 가지 층위에서 분석해 보았다. 1절에서는 인물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먼저 아기장수가 살해된 아기장수, 살아남은 아기장수, 달아난 아기장수, 영웅이 된 아기장수의 네 가지 형상으로 다변화되어 있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다양한 형상은 상보적인 역할을 하면서 전승자들이 구체적인 맥락에서 현실을 사유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 다음으로 부대각의 적대자가 중앙 권력으로 일원화되어 있음을 밝혔다. 중앙 권력은 폭력적인 국가 체제이자 제주도의 무속 신앙을 거부하는 유교식 통치 체제를 상징한다. 따라서 부대각은 폭력적인 국가에 항거하는 제주도의 영웅이자 무속 신앙으로 대변되는 제주도의 정신적 뿌리를 상징하게 된다.
2절에서는 구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부대각 설화에서는 영웅의 일대기 구조가 제주와 한양을 왕복하는 공간 이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밝혔다. 이 과정에서 제주는 탄생과 죽음의 공간으로, 한양은 성취의 공간으로 형상화되는데, 이를 통하여 지배체제의 속성 및 주변부로서의 제주의 한계가 드러나게 된다. 한편, 부대각은 공격 대상을 한양의 조정이 아니라 대국으로 간접화시키고 있는데, 이를 통하여 중층화된 대립 구조가 형성된다. 여기에는 대국에 맞서는 한양의 욕망을 대리해 성취시켜 주면서 동시에 제주가 지닌 한양 극복의 욕망을 우회적으로 성취하려는 구조적 전략이 내재되어 있다.
3절에서는 갈래의 특성을 논하였다. 먼저 부대각 신화와 부대각 전설의 상호성을 살펴보았다. 부대각 신화는 전설의 신화화를 보여주는 사례로서 자아와 세계의 역설적 관계를 통하여 신화적 성격을 획득한다. 그리고 이러한 신화적 성격은 다시 부대각 전설에 영향을 준다. 다음으로 부대각 설화가 송당계 본풀이로 대표되는 제주도 당신화와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양상을 살폈다. 이를 통하여 부대각 설화는 송당계 본풀이와 영웅적 형상 및 무쇠석갑 화소를 공유하면서도 이를 변형하여 창조적인 해결책을 보여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1. 연구목적 및 연구사 1
2. 연구자료 5
Ⅱ. 아기장수형 부대각 설화의 전승현장 14
1. 전승자 집단의 양상 14
2. 전승자 집단의 의식 21
Ⅲ. 아기장수형 부대각 설화의 서사문학적 특성 29
1. 인물의 특성 29
1) 네 가지 형상의 아기장수 30
2) 중앙 권력과 대립하는 아기장수 37
2. 구조의 특성 43
1) 공간 이동과 결부된 영웅의 일대기 구조 43
2) 중층화된 대립 구조 53
3. 갈래의 특성 57
1) 부대각 신화와 전설의 상호성 57
2) 부대각 설화와 당신화의 상호성 63
Ⅵ. 결 론 69

* 부록: 부대각 설화 채록본 72
* 참고문헌 92
* 영문초록(Abstract) 98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86916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부대각 설화-
dc.subject아기장수-
dc.subject제주 영웅-
dc.subject민중영웅-
dc.subject조상신본풀이-
dc.subject.ddc810-
dc.title아기장수형 부대각 설화 연구-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ⅲ, 100-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4-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