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나혜석 문학에 나타난 주체구상 양상 연구 : Aspects of Identity Construction in the Work of Na Hye-seok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종욱-
dc.contributor.author빅토리아 커들-
dc.date.accessioned2017-07-19T09:59:30Z-
dc.date.available2017-07-19T09:59:30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other00000014220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218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7. 2. 김종욱.-
dc.description.abstract나혜석은 이제까지 시와 소설로 주목받고 연구되어 왔지만 오히려 나혜석 문학세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자전적 글쓰기(life-writing)이며, 그 중 여행과 관련된 텍스트가 상당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혜석의 자전적 글쓰기, 여행문을 총체적으로 고찰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자전적 글쓰기와 함께 고려해야 할 사항은 예술에 대한 나혜석의 자의식이다. 나혜석은 문학이든, 미술이든 하나의 예술적 창작행위로 받아들였고, 이러한 인식으로 인해 나혜석의 문학과 미술은 분리되어 연구될 것이 아니라 함께 연구되어야만 한다. 나혜석은 자기 주체의 여러 양상을 글쓰기를 통해서만 보여주지 않았으므로 그녀의 그림에서도 자기 주체를 어떻게 표현했는지가 중요해진다.
본고는 나혜석이 쓴 글이 대부분 자전적인 것이라는 점에서 그녀의 작품세계에서 나혜석이라는 공적 자아(public self)를 매우 중요한 텍스트적 양상으로 본다. 그리고 그 공적 자아는 나혜석의 자전적 글쓰기라는 발표 매체에 국한되어 나타나지 않고, 그림에서도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아울러 본고는 나혜석의 활동기간을 세 시기로 구분하고 그에 따라 작품에서 구상된 주체의 변모양상에 주목할 것이다.
본고는 나혜석을 모델로 삼은 당대 남성작가의 작품을 보면서 나혜석이 자전적 글쓰기, 예술활동을 통해 자신의 공적 자아를 구상하는 과정이 그녀에게 왜 필수적인 것이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동시대에 문학활동을 지낸 남성 작가 세 명의 작품을 보며 그들이 나혜석을 어떻게 포착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한다. 이광수의 「어린 벗에게」(1917), 민태원의 「음악회」(1921), 그리고 염상섭의 「해바라기」(1923)에 나타나는 나혜석을 모델로 삼은 등장인물을 살펴보므로 남이 공적으로 보여주는 나혜석의 이미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본고는 나혜석의 자전적 행위 분석을 통해 나혜석의 변모하는 주체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시도니 스미스(Sidonie Smith)와 줄리아 왓슨(Julia Watson)의 자전적 글쓰기 독법에 따라 나혜석의 수필을 자세히 검토하여 저자의 의도와 심리상태를 분석할 것이다. 그들이 추천하는 독법은 자전적 글쓰기를 포괄적으로 보고 텍스트 외에도 내포독자, 발표매체 등까지 고려하는 것이다. 그들은 텍스트의 내용을 중요하게 보는데 그 텍스트의 공연적 요소도 인정함으로써 작가의 의도, 그리고 작가의 자기의식과 독자의식을 드러내려고 한다.
자전적 글쓰기와 유사하게 자화상을 그리는 것은 화가가 자기 자신을 그림의 주체인 동시에 객체로서 발표하는 자전적 행위다. 자전적 글쓰기와 자화상의 궁극적인 목적은 공적 자아를 창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옷, 보석, 학력 등 사회적 상징을 골라서 공적 자아를 설정하는 것은 자기꾸미기(self-fashioning)라는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고는 나혜석도 자기 문학과 미술작품을 통해 비슷한 과정을 운용한다고 제시한다. 그렇지만 나혜석의 경우에는 완성된 하나의 주체를 꾸미지 않았으나 때에 따라 주체의 여러 양상을 부각 혹은 약화하는, 즉 발표하는 작품에 따라 자기 주체를 구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본고는 이 과정을 자기꾸미기(self-fashioning)보다 자기구상(具象)하기(self-curation)로 본다. 나혜석은 예술가로써 글과 그림을 함께 생각하여 그림을 구상하는 것처럼 글 속 자기 주체를 구상한 것으로 보인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studies the aspects of identity construction as seen in the works of Na Hye-seok While most research on Na Hye-seok has been focused on her short stories and poetry, in reality the greater part of her extant work would be considered life-writing, of which a large portion are texts related to travel. In spite of this, there is a conspicuous lack of research on both Nas life-writing and travel writing in previous research.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Na Hye-seoks artistic consciousness when discussing her life-writing. Na did not distinguish between writing and painting in terms of her artistic expression, and it is this holistic view of Art which makes it makes it mandatory for her literary and artistic works to be researched in conjunction with one another. When discussing the aspects of identity as found it Na Hye-seoks literature, the fact that certain aspects of her identity were only expressed through the medium of painting and how they were expressed becomes crucial to understanding the identity Na Hye-seok wished to present.
In this paper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Na Hye-seoks texts are to be considered self-writing is seen as integral to understanding the public self that she curated. Na Hye-seoks creation of a public self is not limited to just the medium of literature, but aspects of her identity are also to be found in her paintings. Therefore, by dividing her works into three periods the changes in how she curated her identity can be clearly seen.
Before discussing how Na Hye-seok curates her identit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y she felt such action was necessary. In this paper, I analyze portrayals of Na Hye-seok as constructed by male authors through the characters they modeled after her. Through close reading of the characters modeled after Na Hye-seok in Yi Gwang-sus (1917), Min Tae-wons (1921), and Yom Sang-seops (1923) I intend to understand the image of Na Hye-seok curated by the Other.
This paper follows the guidelines for reading self-writing as proposed by Sidonie Smith and Julia Watson in order to pin-point the changes in aspects of Na Hye-seoks identity as expressed through her autobiographical texts and paintings. In analyzing Na Hye-seoks self-referential texts according to Smith and Watsons guidelines, it is possible to study the intention of the author and their psychological condition. Smith and Watsons technique for reading self-writing is all-encompassing and takes into account the intended reader of the text, medium of presentation and other aspects influential to fully comprehending the context and content of the text. They believe in that the content of the text is important, but through also acknowledging the performative aspects of self-writing, allow for deeper understanding of the authors self-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of the reader.
Self-portraiture is congruent with self-writing in that it is a self-referential action in which the artist is at once presented as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a work. One can understand that the mutual ultimate goal of self-writing and self-portraiture is to create a public self. The concept of self-fashioning is understood to be selecting social symbols such as clothes, jewels, education in the creation of a public self and this paper proposes that Na Hye-seok used a similar strategy in her literary and artistic works to create her public self. However in the case of Na Hye-seok, this public self is not one cohesive identity, but one which she chooses to highlight or hide aspects of. I believe that through each different literary or artistic work she curates a slightly different identity. It is this conscious artistic process found in Na Hye-seoks work which deserves to be called not self-fashioning, but self-curation. This paper proposes that as an artist, Na Hye-seok did not separate writing from painting in her artistic mind-set and curated her identity in similar ways through both forms of self-express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1
1.2 연구의 시각 5
2. 남성 작가의 시선에 포착된 나혜석 11
2.1 이광수 - 어린 벗에게 11
2.2 민태원 - 음악회 16
2.3 염상섭 - 해바라기 20
3. 글쓰기를 통한 이미지 조절법 27
3.1 신여성으로서의 자의식과 고뇌: 1914-1927 28
3.2 대중적 관심과 공적 자아의 재구상 : 1930-1938 45
4. 그림에 나타난 자기구상적 주체 69
4.1 자기표현의 두 가지 방식(으로서의 글쓰기와 그림) 69
4.2 자화상 및 초상화 분석 72
5. 결론 87
참고문헌 90
Abstract 94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7137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Na Hye-seok-
dc.subjectNa Hye-sŏk-
dc.subjectSelf-writing-
dc.subjectIdentity Construction-
dc.subjectSelf-Portraiture-
dc.subjectNew Woman-
dc.subjectSpectacle-
dc.subject나혜석-
dc.subject자전적 글쓰기-
dc.subject주체구성-
dc.subject자화상-
dc.subject신여성-
dc.subject스펙터클-
dc.subject.ddc810-
dc.title나혜석 문학에 나타난 주체구상 양상 연구-
dc.title.alternativeAspects of Identity Construction in the Work of Na Hye-seok-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Victoria Caudle-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01-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7-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