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박경리 문학에 나타난 상호주관성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지혜

Advisor
손유경
Major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상호주관성주관성주체인격언어분신죄책감사랑연민공감고통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7. 2. 손유경.
Abstract
본고는 박경리 초기 소설에 나타나는 주관적 자아와, 중기 소설의 사랑이라는 주제, 그리고 후기 소설의 공동체에 대한 모색이 상호주관성이라는 관점에서 일관되게 이해될 수 있음을 보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아와 타아의 관계인 상호주관성은 사랑의 주제와 언어적 소통이라는 문제를 복합적으로 함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특히 주관주의적 입장의 상호주관성 이론을 활용하여, 박경리 문학의 내적 논리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유비로서의 공감이라는 핵심에서 주관성의 차원과 생명 사상에 통일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
등단작 「계산」은 자신의 삶에 있어서 주체성을 강하게 고수하는 주관적 자아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그들이 주체성을 상실하게 하는 현실을 비판한 소설이다. 등단작에서부터, 박경리 소설에 나타나는 주체성이란 곧 인격성으로서 각자가 자신의 삶의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견지될 수 있는 것이다. 초기와 중기 여러 작품들에서 박경리는 인격으로 성립하지 않은 자가 다른 이를 사랑할 수 없는 것으로 서사화함으로써, 인격성이 인간성의 과제라는 점을 강조한다.
「벽지」, 「회오의 바다」, 『파시』는 인격으로 성립한다는 것이 의미하는 바를 제시하고 있다. 즉 그것은 궁극적인 자기 성찰을 통해 자신의 삶을 통일적으로 표상함으로써 자신의 존재 의미를 견지하는 것이고, 또한 자신의 삶에 대한 일관된 이해에 상응하여 세계의 의미를 정합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암흑의 사자』, 『재혼의 조건』, 『가을에 온 여인』에서는 허무한 자를 포함해, 인격으로 성립하지 않은 자가 결과적으로 실패를 반복하면서도 사랑을 추구하는 이유가 설명된다. 그들은 자기 성찰을 통해 인격성을 견지해야 한다는 자신의 과제와 다른 이와의 사랑 사이의 조건 관계와 순서를 혼동한 결과, 스스로 찾지 못한 자신의 삶의 의미를 다른 이를 소유함으로써 얻고자 헛된 시도를 한다는 것이다. 이에 사랑의 추구와 실패를 반복하는 것은 그들에게 일종의 죽음과 무의미한 삶 사이의 진동이라는 양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복수의 인격들 간의 소통 가능성에 대해 박경리는 가장 소통하고자 하는 바는 언어를 통해 전달되기 어렵고, 또한 서로 경험이 동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매개체와는 별개로 온전한 소통이 가능하지 않다고 보았다. 이상적인 소통에 대한 그의 이해는 『가을에 온 여인』과 『죄인들의 숙제』에서 중심적으로 표현된다. 이에 따르면 복수의 자아가 동질적인 경험을 가질 경우 그들은 분신과 같은 관계로서, 서로의 세계가 합치될 수 있으며 왜곡 없이 서로를 이해하는 일이 가능하다. 박경리 문학에서 이러한 분신 간의 소통은 언어에 의존하지 않으며, 특히 상대방이 자신과 상동적인 존재라는 점에서 자신으로부터 유비적으로 이해하는 공감의 방식으로 온전한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노을진 들녘』, 『녹지대』, 『타인들』, 「쌍두아」, 『창』, 『단층』에서는 인격성을 잃고 소통 불가능의 상태에 놓인 자로서 죄책감을 가진 자가 중심적으로 형상화되며, 이를 통해 소통과 공동 세계의 형성에 있어 절대적인 가능성이 사랑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제시된다. 박경리 문학에서 사랑이란 복수의 개체가 합일을 이루는 관계를 지칭한다. 그것은 현실적인 것이기보다는 인간 근원의 고독을 말살할 수 있는 관계로서 이념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시장과 전장』의 가화는 사랑을 성격적 차원에서 체화한 인물로, 그를 통해 공동 세계를 형성함에 있어 사랑의 한 가능성이 제시된다.
분신적 관계에서 이상적인 소통이 가능하다면, 내면적인 고통이 있는 이들은 최소한 서로를 인격적 존재로 인식하며 서로 간에 세계의 접촉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난다. 박경리 문학에서 유비를 통해 이루어지는 공감의 지평이 곧 상호주관성의 지평이므로, 공감이 이루어지는 범위가 넓을수록 공동 세계의 영역도 확장된다. 인간을 포함해 유정물 간에 공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에서 더 나아가, 박경리는 무정물에 대해서도 유정물의 마음이 투사됨으로써 우주적인 범위의 상호주관적 세계가 구성될 수 있다는 입장을 표명한다. 이에 따라 『단층』에서는 바위조차 내면적 고통이 있는 것으로 느끼는 인물이 형상화되고, 『창』에서는 인간이 가지는 태도에 따라서 기계에도 마음이 불어넣어질 수 있는 것으로 서술된다. 반면, 작가는 내면적으로 무감각한 비인격적 인간들은 상호주관적 세계를 구성하는 공동 주체가 될 수 없다고 강조한다.
후기 소설을 중심으로 박경리는 내면적 무감각을 조장하는 현실을 직설적으로 비판하는 한편, 『죄인들의 숙제』와 『단층』에서는 순교자 서사의 전략을 채택하여, 인간성의 과제로서 인격성을 추구하는 일을 본격적으로 독자들에게 설득하고자 했다. 순교자적 인물로 형상화된 희련과 윤희의 내면적 고통에 독자들이 공감하도록 이끄는 데 그 전략의 성패가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는데, 기실 고통의 공감은 세계관의 설득을 목표로 하는 모든 서사 전략의 핵심이다. 박경리 문학은 그 초기 소설에서 증오의 수사학을 통해 주인공에게서 주체성을 박탈하는 현실을 고발했을 뿐만 아니라, 후기 소설에서도 인격적 주체로 성립해야 한다는 과제를 동일하게 강조하고 고통의 공감 또한 서사 전략으로서 유지한 것이다. 특히 순교자 서사에서 순교자적 지위를 부여 받은 인물이 초기 소설의 주관적 자아와 확연히 동질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박경리 문학의 주관적 차원은 후기에서도 일관되게 옹호되었으며 상호주관적 공동 세계라는 그의 이념 또한 그의 문학에 특징적인 주관성에 기반을 두어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주요어: 상호주관성, 주관성, 주체, 인격, 언어, 분신, 죄책감, 사랑, 연민, 공감, 고통
A Study on the Intersubjectivity in the Works of Park Kyung Ri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at the subjective self in her early period, the theme of love in her middle period, and the search for the community in her late period can be consistently understood on the subject of intersubjectivity. The intersubjectivity, 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s, contains a complex mixture of the theme of love and the problem of verbal communication. Especially, using the theory of intersubjectivity which sees the subjectivity as a basis of objectivity, one can approach the level of subjectivity and 'life ideology' in that sense of empathy as a wisdom, in the context of the empathy of an analogy, in a unified way while not undermining the inner logic of Park Kyung Ri literature.
In her first novel "Calculation", she writes about subjective selves who strongly adheres to the subjectivity in their life, and criticizes the reality causing them to lose their subjectivity. In Park Kyung Ri literature, subjectivity is personality, and each one can be understood b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one's life. In many novels of her early and middle period Park emphasizes that personality is the task of humanity by symbolizing that those who have not been formed as a personality cannot love others.
"The wild", "Sea of regret", and "Fish market" suggest the meaning of being formed as a personality. It is to maintain the meaning of one's existence by representing the life of the individual in unifying manner through ultimate self-reflection, and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world in a consistent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consistent understanding of life. "The envoy of darkness," "The condition of remarriage," and "The woman who came in Fall" explains why those who have not been formed as a personality, including nihilists, continue to pursue love while repeating failures. It is a result of confusion between the conditional relationship and the order between love and personal challenge to maintain personality through self-reflection, and it is a attempt in vain to grasp the meaning of one's own life by owning another person. Repeated pursuits and failures of love are presented as a vibration between death and meaningless life for them.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ng among plural personalities, Park sees that the most important point of communication is difficult to be delivered through language, and that perfect communication cannot be achieved unless the experiences are made homogeneously, regardless of the medium. Her understanding of the ideal communication is expressed in "The woman who came in Fall" and "The homework of sinners" According to them, if plural selves have homogeneous experiences, they can communicate without distortion as they are 'alter egos' of each other, and their worlds can be coincide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se 'alter egos' does not depend on the language, and in the sense that the other person is a person who is identical with himself, complete communication can be achieved by the way of 'empathy' which one understands in manner of analogy from oneself. In "The field of the sunset", "The green zone", "The others", "The child with two heads", "Window", and "Fault", those who are mainly expressed includes those who feel remorse as the people who have lost personality and cannot communicate. Through this, it is suggested that the absolut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and composition of the common world lies in the relationship of love. In Park Kyung Ri's literature, love refers to the relation that plural individuals form 'oneness', and it is ideological rather than realistic, and is a relationship that can eliminate the loneliness of human origin. The person made in the possibility of love is Gawha in "The market and the battlefield".
If the ideal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ter egos', those with inner pain can at least recognize each other as the beings with personalities, and it is suggested that some degree of communication and 'contact' of each other's world is possible. Because the horizon of empathy made through analogy in Park Kyung Ri's literature is the horizon of intersubjectivity, the broader the scope of empathy is, the wider the scope of the common world will be.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empathize with the beings with emotions including human, Park argues that the universal intersubjective world can be constituted by 'projecting' the minds of the beings with emotions to the beings without emotions. Accordingly, in "Fault", a character feels that a rock has internal pain, and in "window", it is described that the mind can be infused into the machine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he human being. However, even though the beings without emotions can be included in the horizon of empathy, Park emphasizes that non-personified humans who are internally insensitive cannot be collective subjects constituting a mutually subjective world.
In the late novels, Park criticizes the reality that encourages internal insensitivity, and in "The homework of sinners" and "Fault" she adopted the strategy of the narrator of the martyrs, and tried to show pursuing personality as a goal of humanity. The success of the strategy depends on the success of the readers' empathy with the inner pain of Hy-ryun and Yoon-hee who are represented as martyrs. In fact empathy of suffering is the core of all narrative strategies aiming at persuading the world view. In early novels, Park Kyung Ri's literature accused the reality of depriving independence from the main character through the rhetoric of hate. On top of that, in later novels the goal of being formed as a personality is stressed equally, and empathy of suffering is still main narrative strategy. Especially, in the sense that in the martyrdom narrative a character who has martyrdom status is clearly represented in the same way as the subjective self of her early novel, the subjective dimension of Park Kyung Ri literature was consistently defended in later periods, and the common world of intersubjectivity is also based on subjectivity.

Keywords: intersubjectivity, subjectivity, personality, subject, language, double, communication, remorse, love, pity, empathy, pai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1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