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10~20년대 조선의 관립전문학교 학제 형성과 운영 : The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 System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in Korea during 1910s~1920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權泰檍-
dc.contributor.author조은진-
dc.date.accessioned2017-07-19T10:00:56Z-
dc.date.available2017-07-19T10:00:56Z-
dc.date.issued2015-02-
dc.identifier.other00000002676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221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사학과, 2015. 2. 權泰檍.-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기존 식민지기 교육사 연구에서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전문학교에 주목하였다. 특히 1910~20년대 조선에서 관립전문학교 학제가 형성되는 과정을 정리하고, 이를 통하여 일제 식민지기 조선에서 관립전문학교가 지니던 성격 및 역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1915년에 경성전수학교가 관립전문학교로 지정되면서 조선에서 전문교육이 시작되었다. 당시 총독부에서는 기독교 사립재단에서 독자적으로 고등교육기관을 설치하려는 움직임을 견제하는 한편 재조일본인의 고등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선에서 전문학교 제도를 시행하였다. 1910년대 조선 내 관립전문학교는 조선에서만 전문학교 단계로 인정받았기 때문에, 조선인 학생과 재조일본인 학생이 주로 입학하는 곳이었다.
1922년 제2차 조선교육령이 공포되면서 관립전문학교 제도 또한 크게 변화하였다. 제2차 조선교육령의 가장 큰 특징인 조선과 일본의 학제연장은, 조선 내 관립전문학교에서 그 모습이 가장 뚜렷하게 드러났다. 교육령 개정 전후로 관련 법령이 정비되면서 관립전문학교를 중심으로 하여 조선의 전문학교는 일본의 전문학교와 동일한 학제로 인정받게 되었던 것이다.
학제 변경은 곧 입학 자격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제1차 교육령 하에서는 보통학교 4년, 고등보통학교 4년의 과정을 거친 후 전문학교에 입학할 수 있었는데 제2차 교육령에서는 보통학교 6년, 고등보통학교 5년의 과정을 거쳐야 전문학교에 입학할 수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고등보통학교 졸업자가 전문학교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격이 필요하였으며, 이를 보충하기 위하여 임시로 전문학교입학자검정시험 제도가 이용되었다. 이와 더불어 조선에 중등교육기관이 증가하면서, 학생들이 전문학교 입학 자격을 부여받을 수 있는 기회가 점차 확대되었다.
또한 관립전문학교를 졸업하면 조선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자격을 얻게 되었다. 의사자격을 예로 들면, 경성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한 학생이 취득하게 되는 의사자격은 1910년대에는 조선 내에서만 적용되었으나, 1920년대에는 일본에까지 그 적용법위가 확대되었다. 즉 식민지 내에서만 통용되던 특수한 자격이, 점차 일본 제국 내에서 보편적으로 인정받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러나 자격이 적용되는 범위가 확대되면서, 실제적으로 혜택을 받는 것은 일본인 학생이었다. 일본인 학생들은 자격을 취득한 후 다시 일본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아서, 관립전문학교가 조선에서 활동할 고급 인력을 배출하는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였다. 더군다나 총독부에서는 1930년대 말까지 관립전문학교를 신설하거나 입학정원을 늘리지 않아, 조선인 학생들의 진학을 축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1920년대 관립전문학교에서는 보통교육 단계에서 시행되지 않았던 조선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 간의 공학이 전면적으로 시행되었다. 관립전문학교에서는 內鮮融和나 一視同仁과 같은 표면적인 구호를 굳이 내걸지 않아도, 조선 내 관립전문학교를 졸업하여도 일본의 전문학교 졸업과 같은 정도의 자격이 주어진다는 점으로 인하여 공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던 것이다. 조선인 지원자뿐만 아니라, 일본 내 입시 경쟁을 피하여 조선으로 오는 일본인 학생이 늘어나면서 관립전문학교 입학난은 가중되었다.
이처럼 조선 내 관립전문학교는 총독부 당국 및 조선인 학생, 일본인 학생 각자가 지닌 서로 다른 의도가 부딪히는 곳이었다. 관립전문학교 학제가 정비되면서 점차 조선인 학생들은 배제되었으며, 관립전문학교는 식민지 교육기관으로서의 성격을 드러내게 되었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focused on the Specialized School(專門學校), which earlier studies on colonial period education paid little attention to. Especially this article described how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 system was established in Korea during 1910s~1920s, with the purpose of studying aspects and roles of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 in Korea.
In 1915, Keijo Specialized School of Law was appointed as the first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 beginning specialized education in colonial Korea. At that tim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established specialized school system to keep Christian foundations from founding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dependently and to solve higher education issue of Japanese residents in Korea. In 1910s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in Korea were not recognized as legitimat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in Japan, so students of these schools were mainly composed of Koreans and Japanese residents in Korea.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 system changed a lot after declaration of the second Korean educational decree in 1922.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e decree was introduction of educational system of mainland Japan to Korea, and it was most notable in government schools in Korea. Particularly, with legislation of relevant regulations accompanied by the second educational decree, specialized schools in Korea, especially government schools, became recognized as equal to specialized schools in Japan.
Change of school system accompanied modification of qualification for enrolling specialized schools. Under the first educational decree, applicants had to study 4 years in elementary school and 4 years in secondary school. The second educational decree, however, regulated 6-year-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5-year-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to enlist in specialized school. As a result, graduates of earlier secondary schools had to acquire another qualification to enter specialized schools. Temporarily,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specialized school was utilized to give them proper condition for enrollment. With increasing of secondary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more and more applicants got the chance to be qualified to enter specialized schools.
Moreover, graduates of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acquired licenses which were vali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mainland Japan. For example, doctors license, which was given to graduates of Keijo Specialized School of Medical, held good just in Korea during 1910s. However, from 1920s, students of the medical school could work as doctors in both Korea and Japan. In other words, licenses that had been once valid only in colonial Korean, increasingly became recognized in Japanese Empire universally. Nevertheless, in reality, Japanese students received benefits of changed situation. Thus,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could not fulfill their role of producing educated workforce who would work in Korea, because many Japanese students tended to return to Japan after they got needed licenses. Furthermore, it was not until late 1930s that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founded new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or increased enrollment quota. Consequently, scale of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were controlled and the number of Korean students in the schools diminished.
In 1920s,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co-educated Koreans with Japanese students totally, which was not the case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Momentum of the coeducation was not slogans like unification of interior Japan and Korea(內鮮融和) or equal and fair treatment(一視同仁), but actual condition that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gave Japanese graduates licenses equal to those in mainland Japan. For this reason, competition to enter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in Korea maintained very high every year. In addition to Korean applicants, more and more Japanese students came to Korea to avert higher competition in Japan, so it became increasingly harder to enlist in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In conclusion,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in Korea were the sphere where different thoughts of Government General of Korea, Korean students, and Japanese students intertwined. However, in the process of their management, incrementally Korean students became excluded, revealing their feature as colonial educational institut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머리말 1
一. 전문학교 제도의 형성과 관립전문학교 7
1. 1910년대 전문학교 제도 형성 7
2. 조선교육령 개정과 관립전문학교 체제 성립 19
二. 1920년대 전문학교 제도 변경과 자격 문제 27
1. 관립전문학교 관련 법령 정비와 입학 자격 문제 27
2. 관립전문학교 졸업 후 취득 자격과 입학 경쟁 40
三. 1920년대 관립전문학교의 內鮮共學 48
맺음말 61
【參考文獻】 65
【Abstract】 70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88688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전문학교-
dc.subject관립전문학교-
dc.subject입학자격-
dc.subject전문학교입학자검정시험-
dc.subject內鮮共學-
dc.subject고등교육-
dc.subject.ddc951-
dc.title1910~20년대 조선의 관립전문학교 학제 형성과 운영-
dc.title.alternativeThe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 System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in Korea during 1910s~1920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 Eunji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ⅴ, 73-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국사학과-
dc.date.awarded2015-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