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해식 작곡 <달 춤> 분석 : An Analysis of by Lee, Hae-sik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지영-
dc.contributor.author황나리-
dc.date.accessioned2017-07-19T10:46:13Z-
dc.date.available2017-07-19T10:46:13Z-
dc.date.issued2014-02-
dc.identifier.other00000001710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3063-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과(국악기악전공), 2014. 2. 이지영.-
dc.description.abstract국 문 초 록

작곡가 이해식은 전통음악의 요소와 서양음악의 기법을 넘나들며 자신만의 스타일을 추구하는 작곡가이다. 그는 춤이 모든 예술 중의 가장 근본이라고 생각했으며 작곡가로서 그의 정체성을 구현해내는데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그는 모든 동작과 몸짓이 춤의 근원이라 보았는데 움직임, 심장박동, 맥박, 호흡 등이 한 박자가 되고 생명의 리듬이 된다고 말하였다. 그가 작곡한 다수의 춤에 관한 작품 중, 「달춤」은 이러한 춤의 의미를 리듬의 화려함으로 표현한 곡이라고 할 수 있다. 분석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달춤」은 헤미올라 리듬이 곡의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세밀하고 구조적인 리듬분할이 중심을 이루며 선율의 흐름과 더불어 리듬의 구조를 통해 전개가 바뀐다. Balkan리듬, 의도적인 악센트의 파괴로 인한 리듬의 다양성과 당김음의 다채로운 변화의 형식을 통해 춤의 역동성이 표현되며, 이는 작품의 전체적인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달춤」은 시작음이 E음으로 시작하여 e음으로 종지하는 E phrysian 선법 중심의 작품이다. 따라서 조성이 중심이 되는 작품과는 독특하게, E phrysian 선법의 사용이 선율의 더욱 자유로운 진행을 돕는다. 음계에서 등장하는 반음의 반복적 사용을 통해 달이 가지고 있는 음의 속성을 표현한다.
마지막으로, 전반적으로 클라리넷과 25현금의 두 성부가 매우 교차적인 진행을 보이는 동시에, 크게는 A-B-A′의 형식으로 구성이 뚜렷하게 나누어져 있다. [A]단락에서 [I]까지 9개의 단락 중 [A]는 곡의 제시부인 A부분, [B]단락에서 [H]까지는 발전부인 B부분이며 [I]단락은 재현부의 A′부분이다. 곡 진행의 의미적 구조는 달의 뜨고 지고, 차고 기우는 대립을 나타내며, A-B-A′의 전체 구성은 달의 원형적인 순환을 뜻한다.
-
dc.description.abstractAn Analysis of by Lee Hae-sik

Lee Hae-sik is a composer who seeks to invent his own style by embracing elements of Korean music as well as techniques of Western music. He uses western technique, but has traditional korean sentiment inside his musical piece. He believes Dance is basis thing in every work of art and also the most essential source to identify his composing life. He also thinks all motions and gestures form the basis for dance, elaborating that each move, heartbeat, pulse, and breath form one beat, and ultimately a turns into rhythm of life. Among his numerous compositions about dance, 「Moon Dance」 in particular expresses the meanings of dance through rhythmic splendor.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of this analysis:

Hemiolas appear throughout the piece. Minutely structured rhythmic divisions prevail and the piece moves on as rhythmic structure varies along with melodic progression. The piece expresses the dynamism of dance through the use of Balkan rhythms and rhythmic variety stemming from the deliberate de-stressing of notes and various syncopations such as using different syncopation in every bar.
The piece is in the mode of E-Phrygian as it begins on E and ends on e. The mode enables the piece to flow more freely than does tonal music
-
dc.description.abstractthe repetition of semitones of the mode is meant to describe the yin-like nature of the moon.
On the whole, the clarinet and the 25-stringed gayageum cross over each other, while at the same time the piece has a clear form of A-B-A′, each of the three letters representing a section. From section [A] to [I], [A] is exposition part A, [B] through [H] is development part B, and [I] is recapitulation part A′. The semantic structure of progress signifies opposition between moon rise and set, wax and wane. And the whole A-B-A′ construction means the circulation of the mo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국문초록......................................................................ⅰ
목 차 ......................................................................ⅲ
표 목 차 ......................................................................ⅳ
악보목차 .....................................................................ⅴ

Ⅰ. 서 론 ......................................................................1
1. 연구목적 .................................................................1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2

Ⅱ. 본론 ........................................................................4
1. 이해식의 작품세계 ....................................................4
가. 배경 ...................................................................4
나. 작품경향...............................................................7
2. 「달춤」의 의미와 구조 ............................................13
가. 달, 춤의 상징적 의미 ............................................13
나. 악곡 개관 및 구조 ................................................15
3. 악곡 분석 ...............................................................20

Ⅲ. 결론 ......................................................................54

참고문헌 ..................................................................57
첨부악보 ..................................................................59
Abstract ...................................................................66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857388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
dc.subject-
dc.subjecthemiola-
dc.subjectbalkan 리듬-
dc.subjectphrysian 선법-
dc.subject.ddc780-
dc.title이해식 작곡 분석-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f by Lee, Hae-sik-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ⅵ, 67-
dc.contributor.affiliation음악대학 음악과-
dc.date.awarded2014-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