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스테로이드 외용제의 자발적 부작용 보고사례 양상 분석 : Patterns of Korean Spontaneous Reports of Topical Corticosteroid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상원

Advisor
신완균
Major
약학대학 약학과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스테로이드스테로이드 외용제약물이상반응자발적부작용보고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약학과, 2017. 2. 신완균.
Abstract
스테로이드 외용제는 1950년대에 처음 소개되어 다양한 피부과적 상태에서 사용해온 약제이다. 많은 종류의 성분과 제형이 나와 있으며, 그만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약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이 넓다. 그만큼 스테로이드 외용제에 대한 약물이상반응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임상에서의 연구는 아직 미비한 편이다. 본 연구는 국내 스테로이드 외용제에 대한 자발적 부작용 보고사례의 양상을 분석하여 스테로이드 외용제 약물이상반응의 특성을 알아보고, 스테로이드 성분, 제형, 역가에 따른 약물이상반응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후향적 관찰연구로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2009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보고된 급여 스테로이드 외용제(530품목)의 의약품부작용보고원시자료를 WHO Adverse Reaction Terminology(WHO-ART)092 ver.의 우선 용어(preferred term, PT)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중 WHO-UMC causality assessment를 기준으로 확실함(certain), 거의 확실함(probable) 그리고 가능함(possible)으로 평가한 약물이상반응 사례를 분석에 이용하였고 기술통계를 사용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관리총괄과에서 제공하는 의약품 생산/수입 실적을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매 해 성분/제형별로 건강보험공단에 청구되는 약물의 사용량을 반영하여 발표하는 주성분별 가중평균가로 나누어 생산량 추정값, 연구에서 생산수치라 부르는 값을 참고하여 사용하였다. 보고 양상 분석으로 전체 PT와 의심 코르티코스테로이드별 보고량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ATC분류 3단계에 따라 약물의 효능군별 보고량 분석을 하였다. 또한, 성분, 함량, 제형에 따라 결정되는 스테로이드 역가를 미국피부과학회에서 제안한 바에 따라 분류하여 보고량 분석을 수행했다. 총 6개년의 연구기간 중에 262건의 보고가 있었고, 426건의 약물-이상반응조합이 있었다. 부작용 분류별로 피부가 260건(61.0%)으로 주로 보고되었다. 피부 외는 165건(38.7%) 보고되었고, 그 중 스테로이드 성분 때문에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은 26건(6.1%)이 보고되었다. 생산수치 대비 보고건이 많은 성분으로는 betamethasone 0.064% 겔(24건, 5.6%, 생산수치 43위), methylprednisolone 0.1% 연고(27건, 6.3%, 생산수치 31위)가 있었다. ATC 코드 3단계 즉, 치료적/약물학적 하위그룹에 따른 분류로 보면, 국소사용 건선치료제가 생산수치 대비 가장 많은 보고를 보였다. 제형 분류로 보면 겔과 연고가 생산수치 대비 가장 많은 보고를 보였고, 로션, 크림, 액상 순서로 보고가 이루어졌다. 역가와 생산수치 대비 보고건수에는 일정한 패턴을 찾을 수 없었다.
스테로이드 외용제의 부작용 발생양상은 정리하자면 복합성분을 포함해 약제를 사용하는 적응증과 약제의 제형에 따라 달라졌다. 예상하는 바와 달리 스테로이드 역가와 부작용 발생양상 간에는 일정한 패턴을 보이지 않았다.
보고된 약물이상반응 중 61.1%가 피부 약물이상반응이, 37.8%가 피부 외 약물이상반응이었고 피부 외 중 가능함으로 판별된 것이 82.4%이었다. 피부 외 약물이상반응 중 26건만이 부종이나 식욕증가 등과 같은 스테로이드로 인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진 약물이상반응이었다. 스테로이드 외용제의 부작용은 스테로이드 성분을 비롯하여 외용제의 제형, 복합성분 및 사용부위에 따라 보고양상이 상이했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66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