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후기내피전구세포의 바이오마커 발굴 및 Hedgehog Interacting Protein 의 후기내피전구세포에서의 혈관 신생능 역할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봄내린

Advisor
조제열
Major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Issue Date
2016-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후기내피전구세포혈관신생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수의학과, 2016. 8. 조제열.
Abstract
후기내피전구세포는 내피전구세포의 일종으로 단핵구로부터 유래하며 혈관을 신생하는 성체줄기세포의 일종이다. 순환중인 후기내피전구세포는 혈관에 상처나 허혈이 생겼을 떄 직접적으로 혈관에 부착하여 혈관형성을 돕고 내피세포로 분화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단핵구, 후기내피전구세포, 내피세포간의 전사체분석과 프로테오믹스 분석을 통해 줄기세포 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후기내피전구세포의 특징적인 마커를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Hedgehog Interacting Protein (HIP) 이 후기내피전구세포에 특징적으로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Hedgehog Interacting Protein (HIP)은 세포 표면 단백질로 Hedgehog signal을 제한하는 유일한 표면 길항 단백질이다. Lentivirus를 이용해 HIP 발현을 억제시켜 후기내피전구세포에서의 역할을 살펴본 결과, HIP은 후기내피전구세포에서 혈관신생과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저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내피전구세포의 다른 일종인 초기내피전구세포에서 HIP의 발현을 유도시켰을 때는 초기내피전구세포의 특징적인 간접적인 혈관신생 촉진 기능이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들은 성숙한 혈관세포에서와 다르게 canonical Hedgehog signal을 저해함으로써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HIP의 발현은 Matrigel 위해서 후기내피전구세포의 혈관신생이 유도되었을 때나, VEGF, FGF2와 같은 혈관신생을 촉진하는 cytokine을 주입했을 때 확연히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HIP의 기능은 혈관신생이 직접적인 cytokine과 같은 촉발제가 없는 일반적인 생리 상황에서 혈관신생이 시작되지 않도록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75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