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merican Feminism as Seen Through the Lens of Korean Drama Fandom : 미국의 한류 드라마 팬덤에 나타난 여성주의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Hook, Marilyn

Advisor
조선정
Major
사회과학대학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Issue Date
2016-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U.S. feminismHallyuaudience study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2016. 2. 조선정.
Abstract
최근 몇 년 간 미국 사회 내에서 여성주의와 한류는 각기 주목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런데 한류 콘텐츠들 가운데서도 한국 드라마(K-dramas)의 미국 내 수용에 있어서, 여성주의와의 갈등과 긴장을 언급하는 기존 연구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착안하여 한국 드라마가 미국에서 비-서구(non-Western) 국가의 여성주의적이지 않은(unfeminist) 미디어로서 수용되는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미국 내 여성주의에 관한 대중적 인식을 살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자신을 여성주의자 혹은 비-여성주의자(non-feminists)로 정체화하는 미국의 한국 드라마 팬들에 관한 수용자 연구를 수행했다. 본 연구의 문제의식과 방법론은 미디어 수용자들 사이의 여성주의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참조한 것임은 물론, 더 넓게는 여성주의 수용자 연구의 전통에 기대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다른 국가들에서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는 수용자들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연구자가 가설을 수립하고 미국 내 한류에 관한 기존의 이해를 확장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연구자는 또한 인터뷰 자료 해석에 있어 구성주의적 접근의 도움을 받았다. 구성주의적 접근은 인터뷰를 통해 여성주의자이거나 여성주의자가 아닌 미국인들이 한국 드라마 팬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과정을 분석하는 데 유용했을 뿐 아니라, 이를 문화적 맥락과의 연관 속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했다.
본 연구는 인터뷰를 통해 만난 연구 참여자들이 여성주의와 젠더 이슈에 관해 가지고 있는 의견들을 살피는 것에서부터 출발했다. 연구자는 우선 여성주의자와 비-여성주의자 간의 젠더 이슈를 둘러싼 의견에 있어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고 이것이 미국 여성주의에 가지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논했다. 그리고 젠더 이슈에 관한 연구 참여자들의 의견이 한국 드라마 속 젠더 재현에 관한 이들의 입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혔다. 여성주의자들은 한국 드라마에 대해 비-여성주의자들과 대체로 비슷한 반응을 보이면서도 다르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들이 접하는 온라인상 한국 드라마 팬 커뮤니티나 로맨스 미디어데 대한 기존 여성주의의 논의 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의 여성주의에 관한 입장과 그들의 팬 정체성 사이의 관계를 살핌으로써 이들이 여성주의를 어떻게 의미화고 있는지를 논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부분 한국 드라마와 여성주의가 대척점에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일부 참여자들은 한국 드라마가 여성주의에 유용하거나 친화적일 수 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연구자는 이러한 입장이 한국 드라마에 대한 미국 내 비평장 내에서 보다 가시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미국에서 한국 드라마는 여성주의적이지 않은 드라마임과 동시에 비서구 국가인 한국에서 생산된 문화 콘텐츠로서 인식된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이 이야기하는 한국적임(Koreanness), 즉 한국 드라마와 한국의 현실 사이의 관련성에 관한 이들의 언급을 분석함으로써, 미국 내 한국 드라마 팬들이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는 자신들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매커니즘을 밝혔다. 이는 주로 다문화주의와 사회 진보론과 관련되는데, 한국에 대한 미국의 우월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될 수 있다. 연구자는 이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젠더 이외에도 문화 차이와 같은 차이의 이슈를 다루는 데 민감하고 적합한 여성주의 이론들이 기여할 수 있으리라고 보고, 이러한 여성주의의 이론적 자원의 대중화가 필요하리라고 본다.
Both feminism and Hallyu (or the Korean Wave) have enjoyed high amounts of visibility in the United States in the past few years.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one branch of Hallyu contents, television series (K-dramas), are described by fans and researchers as causing tension with feminist beliefs. This study takes advantage of this situation to explore popular American feminism by examining the ways it discusses K-dramas as unfeminist media from a foreign, non-Western country. An audience study, comprising interviews with Americans who self-identify as K-drama fans and feminists or non-feminists, is conducted to accomplish this. In its focus and methodology, this study draws on the few examples of previous research into feminism among media audiences, as well as the larger tradition of feminist studies of audiences. At the same time, earlier studies of K-drama viewers in the U.S. and other countries provide perspective for my findings and make it possible to expand on existing understandings of American Hallyu.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data interpretation allows me both to examine how feminist and non-feminist K-drama fan identities are built in the space of the interview and to connect this to the larger cultural context.
I begin by investigating the contents of participants discussions of feminism and gender issues in general. I conside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feminist and non-feminists in this area, an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U.S. feminism. The descriptions of participants beliefs about gender issues, which largely center around gender equality, are then connected with their ways of discussing representations of gender in K-dramas. While much of feminist and non-feminist talk in this area is similar, and thus can be seen as representing a general American reaction to K-dramas, it is also possible to distinguish particularly feminist approaches. I point out the relationships these approaches have to factors like the online K-drama fan community and feminisms history with romance media. Then, by investigating participant answers to an explicit question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ir feminist/non-feminist identity and their fandom, I determine the meaning of modern feminism for K-drama fans. After confirming that it is seen even by feminists as almost exclusively negative towards dramas, I argue for the adoption of more positive attitudes which also point out the ways that media such as dramas are useful or even friendly to feminism.
Finally, I explore how feminism deals with the fact that dramas are not just supposedly-unfeminist media, but unfeminist media from the non-Western country of South Korea. After examining participant descriptions of dramas Koreanness, 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shows and the real country of South Korea, I focus on how Koreanness is used by feminists and some non-feminists to justify watching K-dramas despite their portrayal of the shows as in conflict with their beliefs on gender issues. The two ways that this is done, which relate to multiculturalism and a narrative of social progress, are criticized for their tendency to imply American superiority over South Korea. I point out that greater knowledge of forms of feminism sensitive to divisions besides that of gender, which are often better suited to deal with culture differences, would make it possible to avoid such problems. Noting that both these forms and the media-positive ones mentioned above are widespread in academic feminism, I conclude that action must be taken to make such alternative beliefs better-known outside of the academy.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3403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