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저항의례를 통해 본 카탈루냐 독립운동 : 참여주체의 확장과 운동의 일상화 : A Study on the Catalan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Rituals of Resistance: from expansion in types of participant to everyday activism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윤희-
dc.contributor.author권가람-
dc.date.accessioned2017-07-19T12:13:25Z-
dc.date.available2017-07-19T12:13:25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other00000005696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4232-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류학과, 2015. 8. 강윤희.-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2013년 스페인 카탈루냐주(州)에서 일고 있는 독립운동을 참여자들이 행하는 저항의례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참여주체가 확장되고 운동이 일상화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카탈루냐 독립운동을 다룬 기존의 연구들은 운동의 성공 혹은 실패 요인에 대한 분석, 운동 참여 단체들에 대한 구조적인 부분에 집중함으로써 운동에 참여하는 주체들의 인식세계를 밝히는데 소홀한 측면이 있으며, 그 결과 운동참여자들은 하나의 슬로건 아래 일원화된 집단으로 그려진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비판을 바탕으로 하여 본 논문은 행위자의 입장에서 운동을 기술하고, 특히 운동참여자들의 내부적 갈등에 주목함으로써 카탈루냐 독립운동의 정치적 역동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갈등에도 불구하고 운동이 지속될 수 있는 이유를 밝히기 위해, 운동참여자들이 연1회 추모의 날에 행하는 저항의례를 어떻게 경험하여, 그것이 의례가 종료된 일상에서 어떻게 의미화 되는지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어떠한 계기로 최근 카탈루냐의 독립운동이 확대되었는지 이해하기 위해, 독립을 위한 정치적 움직임이 본격적으로 확대되기 시작한 2010년까지, 새로운 카탈루냐 국가 건설에 대해 민족주의자들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는지 우선적으로 고찰하였다. 카탈루냐 민족은 독자적 언어, 정치체제를 기반으로 한 자신들의 민족정체성을 역사속에서 주장해왔지만, 그것이 언제나 독립에 대한 열망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1939년 스페인 내전 종료 이후 40여년간 지속된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독재 정권이 붕괴되자 스페인에는 소위 민주정이 들어서게 된다. 이에 따라 카탈루냐 민족은 권위주의 정부하에서 억압되었던 자신들의 민족정체성 회복을 위해 힘쓴다. 곧, 스페인에 민주정이 도래한 이후 카탈루냐 민족주의자들은 국가로부터의 완전한 독립을 주장하기보다는 민족의 언어를 보전하고 자치권을 확대하기 위한 민족운동을 펼쳐왔다.
그러나 2010년 이후 카탈루냐인들이 스페인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주장하게 된 이유는 2000년대 후반 스페인의 내부 및 외적인 정치적 상황의 변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첫째, 자치주 헌법 개정을 통해 카탈루냐 민족의 권리를 신장시키고자 했던 시도가 스페인 헌법재판소의 2010년 판결에 의해 무산된다. 둘째, 2008년부터 심화된 유로존 전반의 경제위기가 스페인 정부의 긴축정책으로 이어지고, 이에 카탈루냐 주정부에 대한 재정적 압박 또한 심화된다. 이는 카탈루냐 민족주의자들에게 있어서 중앙정부의 합리적인 판단이라기 보다는 중앙정부의 카탈루냐 민족에 대한 구조화된 차별로 인식된다. 민족운동에 참여해 온 전통적인 민족주의자들에게 이와 같은 상황적 변화는 조직적인 운동전개를 통해 카탈루냐의 독립을 성취할 수 있는 계기로 인식되며, 그 결과 이들은 고학력 및 중산층으로 한정되어있던 독립운동의 참여주체를 광범위하게 확대시키고자 새로운 운동 기제를 발명한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운동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마을단위로 운동을 조직함으로써 주민들이 쉽고 가까운 곳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진 것이다.
운동참여자의 범위가 다양해지면서 그 내부자들간의 갈등은 심화된다. 본 논문에서는 세대, 민족, 출신지역의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행위자들의 갈등을 살펴보았다. 첫째, 세대간 갈등의 중심에는 저항의 레퍼토리 생성에 있어서 집단기억을 어떻게 해석하는가의 문제가 자리한다. 독재정 시절 저항의 기억을 강력히 간직한 기성세대에게 있어서 당시의 노래 및 가수는 저항의 아이콘이 되었고, 2013년에 전개되는 카탈루냐 독립운동에 차용될 만큼 그 의미가 여전히 강력하다. 반면, 청년운동가들은 과거의 상징을 통해 운동을 표상하는 것이 카탈루냐 독립 이후의 미래를 중요시하는 청년들에게 호소력을 가지지 못한다고 보고, 새로운 저항의 상징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성세대 운동참여자들에 의해 이와 같은 제안은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민족간 갈등의 중심에는 민족상징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의 질문이 놓여있으며, 카탈루냐에서 나고 자란 뼛속까지 카탈루냐인들과 스페인 이민자 1세대 출신 운동가가 갈등하는 요인이 된다. 운동참여자들 사이에어 독립의 대상인 스페인을 상징하는 각종 상징물은 조롱과 훼손의 대상이 되는데, 이는 자신을 스페인 사람으로 정의하는 이민자 1세대 운동가들이 운동전개에 있어서 소외감을 느끼는 이유가 되었다.
셋째, 출신지역이 다른 운동가들이 겪는 갈등의 중심에는 근대 국민국가의 경계와 민족의 경계가 일치하지 않는 현실이 자리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카탈루냐 국가체에 속하는 마요르카 주 출신의 카탈루냐 독립운동가들은 카탈루냐 주의 독립을 향한 움직임이 활발해지자 마요르카의 독립 또한 꿈꾸게 되며, 이 지역으로까지 독립운동을 확장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마요르카 출신 운동가들의 요구는 유럽의 국민국가 내부에 존재하는 주권없는 민족들의 독립을 위한 정치적 움직임을 촉발시키게 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따라, 카탈루냐 독립운동에 대한 유럽국가들의 지지를 우선시 하는 운동지도부에 의해 마요르카 출신 운동가들의 목소리는 배제된다.
이처럼 사회운동 참여자들간의 내부적 단결은 때때로 운동을 통해 정치적 목표를 이루어내는 것보다 더 치열한 운동의 현실이기도 하다. 카탈루냐의 독립이라는 동일한 슬로건 하에서 운동가들은 끊임없이 상호 갈등하며 그 연대가 흔들리기도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동이 지속되는 이유를 고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운동참여자들이 연1회 행하는 저항의례를 어떻게 경험하고 의미화 하는지 살펴보았다. 연대의 흔들림 속에서도 카탈루냐 독립운동이 지속되는 것은 운동참여자들이 저항의례를 실천함으로써 서로간의 갈등을 일시적으로 잊고, 집합열광(collective effervescence)을 통해 의례의 공동체로서 하나됨을 느끼기 때문이었다. 매년 9월 11일 열리던 추모의 날(la Diada) 의례는 최근까지 카탈루냐인들에게 휴식의 날로 인식되었지만, 독립운동이 본격화 된 2010년부터 매년 독립주의자들이 집결하여 스페인 중앙정부의 카탈루냐 민족에 대한 부당한 처우에 항의하는 동시에, 평소에 흩어져 있던 카탈루냐인들이 집결하여 하나됨을 느끼는 날이 되었다. 의례 시 행해지는 각종 연행은 의례참여자의 감정적 고양을 극대화하여 운동을 지속시킬 수 있는 에너지가 되었다.
본 연구는 행위자들이 의례에 참여하는 경험이 의례가 종료된 일상적 시공간에서 어떻게 의미화 되는지에 대해 주목함으로써 의례와 일상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백오십만여명이 참여한 2013년 카탈루냐의 길이 종료된 이후, 운동가들은 비의례적 시공간에서도 의례시의 강렬한 감정적 경험을 지속적으로 떠올리게 되면서 일상에서도 자신들의 정치적 의견을 표출하기 시작한다. 운동가들은 카탈루냐 독립기와 같은 민족주의적 상징을 의복, 장신구 등의 형태로 가공하여 일상적으로 착용하며, 발코니에도 독립기를 항시적으로 내걸게 되면서 이들의 일상적 공간은 점차 정치적 공간으로 탈바꿈 한다. 또한, 카탈루냐 독립에 대한 정치적 의견 표출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운동가들은 직장 동료 및 이웃과의 관계가 변화됨을 경험하기도 한다. 이처럼 2013년에 치러진 저항의례를 통해 행위자들이 경험한 강력한 감정적 고양은 이들이 카탈루냐 독립운동을 일상속에서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스페인에 민주정이 도래한지 40년만에 독립을 향한 카탈루냐인들의 열망은 일상적으로 표출되고 있었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nalyses the Catalan independence movement in 2013, focusing on activists perspectives and their use of 'rituals of resistance', an annual demonstration on Catalonia's National Day (La Diada). In this way, the study tries to examine how ritual experience unites activists from different backgrounds and ideologies, and how they make sense of that ritual experience in their daily lives to continue their resistance. Previous research tended to question the reasons for a movement's success or failure and its organisational structure, thereby neglecting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is political process and considering them as an entity of unified opinion. Taking account of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looks at the Catalan independence movement from the activists' viewpoints, and particularly highlights their conflicts, to understand the political dynamics of the movement itself.
To understand the momentum for the movements expansion, the study examines Catalan nationalists' independentist sentiment up to 2010, before which the Catalan independence movement had not yet advanced on a large scale. Catalan people see themselves as a nation with their own language, culture, and a unique system of government, but this fact has not always led them to hope for independence from Spain. When Francisco Franco's 40-year-long dictatorship ended in 1978, the Spanish went through the 'transition-to-democracy' period, whereby the political system was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democratic one. Following this change, the Catalan people concentrated their efforts on reinvigorating Catalan culture and identity. During this period, the primary concern for Catalan nationalists was to revive their language and secure their autonomy, not to establish an independent country.
Meanwhile, it seems that several changes in the political circumstances surrounding Spain during the late 2000s, influenc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talan independence movement. First, the Spanish Supreme Court rejected the modified version of the Catalan autonomous constitution in which recognition of Catalonia as a nation and its broader rights to self-rule were stipulated. Second, as the eurozone crisis started to have an effect on Spain, the central government's fiscal austerity measures squeezed Catalonia in particular. For the Catalans, these attempts were not considered the rational judgements of the Spanish state, but deliberate discrimination against them. For those who have always been a part of the Catalan independence movement, these two events were regarded as an opportunity to make public their will to be independent from Spain. At the same time, activists tried to broaden the type of participants by facilitating engagement with the movement. By employing slogans such as 'movement for everybody' and carrying out activities within neighbourhoods, long-time participants hoped to convince Catalan citizens from all walks of life to become involv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which had previously been led by highly educated middle-class people.
As the range of participants widened, conflicts between activists intensified. This study explores these conflicts at three levels: generation, nation, and place of origin. First, intergenerational discord stemmed from the way in which collective memory should be interpreted to create a resistance repertoire: for the older generation, who still remembered the resistance during Franco's dictatorship, the songs of the Catalan 60s singer-songwriters remained the icons of resistance and so were still very influential. In contrast, the younger generation cast doubt on the effectiveness of using past symbols to persuade young people who would want to hear more about the vision for the future. Consequently, younger activists attempted to introduce new symbols of resistance, only for them to be disregarded by the older activists.
Second, strife between different nations originated in the use of national symbols. Activists usually mocked and damaged Spanish symbols to express their antagonism towards the Spanish state. However, those activists of Spanish origin, who supported Catalan independence for practical reasons yet still considered themselves to be Spaniards, were often uncomfortable with these incidents. As a result, they felt alienated from the activists who claimed to be 'Catalan at heart'.
Third, conflicts between activists from different regions arose from the fact that modern nation-state borders do not reflect the territorial distribution of nations. Mallorca constitutes part the 'Catalan Countries' and people from this island strongly maintain their Catalan identity. As the Catalan independence movement expanded across the Autonomous Community of Catalonia, some Mallorcans joined the movement hoping to expand it to include the island. Fearing that Mallorcan activists could provoke a series of independence movements across Europe and harm the Catalan independence movement,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were reluctant to establish an official relationship with Mallorca.
As can be seen, sometimes achieving solidarity between activists in the same social movement is more difficult than attaining the political goal of the movement itself. Despite having the same goal of independence for Catalonia, participants were often in conflict with one another, making their solidarity unstable
-
dc.description.abstractnevertheless, the movement continued. This study therefore tries to discover the reasons behind its continuance by analysing how activists experience their own rituals of resistance on Catalonia's National Day (La Diada) and ascribe meanings to their experience. Despite continuous disagreements between activists, their strong emotional experience ? namely the collective effervescence, as Durkheim called it ? in the middle of the ritual makes them temporarily forget their conflicts and feel a sense of community. The performative qualities of the ritual, achieved by means of songs, slogans, and various cultural activities,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each participant and to regenerate the energy to continue with the movement.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ritual experience and the activists' everyday life beyond the ritualistic time and space. Activists ritual experience influenced their daily lives and encouraged them to engage in everyday activism. After the celebrations, activists started to express their thoughts on Catalan independence with confidence, by recalling the moment of collective effervescence. They started to wear nationalist symbols in the form of clothing, accessories, and so on, on a regular basis, and to hang flags from their balconies
-
dc.description.abstractsymbols that became the means by which ritual memory and the sense of solidarity could be recalled. These omnipresent symbols converted activists' private spaces into political spaces, and they experienced this change of social relationship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As these examples demonstrate, strong emotional experiences during rituals influence non-ritual time and space. Forty years after the advent of democracy in Spain, the Catalans desire to become an independent country is now manifested in everyday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 4
1) 사회운동 연구의 행위자중심 접근 ·········· 4
2) 사회운동과 의례 ·················· 8
3. 민족지적 배경 및 연구방법············· 13
1) 카탈루냐 개관 및 독립주장의 이유········· 13
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18

II. 독립운동의 확대: 민족운동에서 독립운동으로···· 23
1. 스페인의 민주화와 민족운동의 전개········· 23
1) 기대와 공포의 스페인 민주화············ 23
2) 명망가와 고학력 중산층 중심의 민족운동······ 29
3) 민주화 이후 독립운동의 전개와 과격주의자로의 낙인· 33
2. 민족운동에서 독립운동으로 ············ 35
1) 그들이 돌아왔다: 보수당의 재집권과 카탈루냐 자치주 헌법 개정안에 대한 위헌판결 ············· 36
2) 경제적 위기에 대한 인식과 민족차별의 구조화···· 43
3. 운동의 새로운 담론 및 형식과 참여자의 확대 ···· 47
1)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운동의 발명과 운동의 확대 47
2) 새로운 운동의 형식: 마을 중심의 운동 ······· 55

III. 운동주체의 확장과 경합 ············· 59
1. 청년운동가의 등장과 기성세대 운동가의 경합 59
1) 운동업무의 배분과 운동방식의 차이로 인한 청년운동가의 소외 ························ 62
2) 상징의 선택을 둘러싼 세대간의 갈등 ······· 68
2. 스페인 이민자 1세대의 운동참여와 민족감정으로 인한 경합 ························· 80
1) 스페인 이민자 1세대의 참여 및 민족 초월 운동의 표상 ············· ············81
2) 민족감정으로 인한 갈등 ··············84
3. 카탈루냐 국가체의 독립과 마요르카 출신 운동가들의 소외 ························ 91
1) 마요르카에서의 일상적 국가경험 및 독립운동에의 참여 ··························· 91
2) 위기에 처한 민족의 표상과 독립의 현실가능성에 따른 마요르카인들의 소외 ·············· 95

IV. 저항의례를 통한 운동의 지속과 일상화 ······ 104
1. 저항의례의 실천 ················ 104
1) 카탈루냐 추모일과 그 의미변화·········· 104
2) 의례의 준비: 결집의 시기로의 돌입······ 112
3) 저항의례의 연행과 집합열광의 경험 ······· 117
(1) 카탈루냐 민족으로서 하나됨의 경험 ······· 120
(2) 웃음과 풍자의 확대 ·············· 124
(3) 의례공동체와 집합열광의 경험········ 126
2. 저항의례의 의미화 ··············· 131
1) 운동가로서의 책임감, 독립지지 의사를 공표할 수 있는 자신감 ······················· 131
2) 독립운동의 일상화 ··············· 135
(1) 사적 공간의 정치화 ·············· 135
(2) 독립운동의 체현 ················ 138
(3) 언어 태도의 변화 ················ 143
3) 집단기억의 재구성: 연대의 민족과 비극적 영웅의 탄생 ······················· 147

V. 결론 ······················ 151

참고문헌 ····················· 158
Abstract ····················· 17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11544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카탈루냐-
dc.subject스페인-
dc.subject바르셀로나-
dc.subject유럽의 민족주의-
dc.subject주권분리-
dc.subject카탈루냐 독립운동-
dc.subject사회운동-
dc.subject저항의례-
dc.subject집합열광-
dc.subject.ddc301-
dc.title저항의례를 통해 본 카탈루냐 독립운동 : 참여주체의 확장과 운동의 일상화-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Catalan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Rituals of Resistance: from expansion in types of participant to everyday activism-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Garam, Kwo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 179-
dc.contributor.affiliation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dc.date.awarded2015-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