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비당사자 사회운동에서의 관계 감정과 감정 관리 - '팔레스타인평화연대'의 사례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승은

Advisor
권숙인
Major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Issue Date
2016-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국제 연대사회운동팔레스타인이스라엘점령관계 감정감정 관리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류학과, 2016. 2. 권숙인.
Abstract
이 논문은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을 하는 활동가들의 감정 경험에 관한 연구이다. 팔레스타인평화연대에 소속된 활동가들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이 종식되고 땅에 대한 팔레스타인인들의 권리가 실현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국에서 팔레스타인인들의 권리를 옹호하고 지지하는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팔레스타인의 정치적 상황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한국에서도 팔레스타인평화연대는 자신들의 운동을 확장하는 데 실패해 왔다. 그럼에도 활동가들이 희망과 투쟁을 이어가고 있는 지금의 상황은 이들의 운동을 합리적인 행동 모델로는 설명할 수 없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이 연구는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의 구조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서로서 활동가들의 감정 경험에 주목한다.
첫째, 팔레스타인인들과 이스라엘인들에 대한 활동가들의 관계 감정 구성을 연대 운동 형성의 설명 요인으로서 살펴본다. 공통적으로 활동가들은 팔레스타인인들의 고통이 묘사된 사진을 우연히 보았을 때 느낀 감정적 동요가 자신이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에 참여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밝혔다. 활동가들의 이러한 감정적 계기는 팔레스타인 현실을 점령의 문제로 인식하고 해석하는 인지적 프레임과 융합한다. 이른바 점령 프레임을 통해 활동가들은 팔레스타인인들을 점령 피해자으로 규정하고 또 연민 대상에 머물러서는 안 되는 인간적인 집단으로 재현하게 된다. 반면 이스라엘인들은 혐오하거나 경멸하기보다는 차라리 기피하는 편이 나은 점령자 집단이자 비인간적 집단으로 대해진다. 이러한 차이의 바탕에는 활동가들이 처음 두 당사자 집단을 인지하면서 경험한 불의의 감정이 깔려 있다. 한편 활동가들은 팔레스타인인들의 죽은 몸에 대한 격앙 상태를 배제하는 방식으로 팔레스타인인들에 연대하는 비당사자들의 윤리를 구성한다. 또한 활동가들은 한국의 정부∙기업∙대학∙교회가 이스라엘의 점령에 공모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배포하면서 점령이 그들의 문제만이 아닌 우리의 문제이기도 하다는 점을 피력하고자 한다. 이러한 활동은 한국인들로 하여금 타자에 대한 연민만이 아닌 자기 자신에 대한 수치심을 통해 팔레스타인인들의 고통을 바라보도록 유도하며 이는 한국의 '점령 공모자'들에 대한 보복 행위, 즉 보이콧 행동으로 이어진다.
둘째, 활동가들의 감정 관리를 연대 운동 지속에 대한 설명 요인으로서 살펴본다. 활동가들은 팔레스타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정정하고 교육 행사를 여는 등의 다양한 인지적 활동들을 수행하면서 그 과정에서 압박감, 실망감, 난감함으로 대표되는 부정적인 감정들을 경험한다. 이 감정들은 한국이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을 펼치기에 결코 녹록치 않은 환경인 현실을 반영함으로써 활동가들의 운동 실천이 감정 관리의 측면을 중요하게 포함하도록 만든다. 활동가들은 자신들에게 주어진 어려운 운동 환경을 받아들이는 한편, 당장의 성과에 대한 기대감을 낮추는 규범을 통해 부정적인 감정들에 몰입하기보다는 그것들을 장기적인 연대 재생산의 계기로 삼고자 한다. 현지 활동을 위해 팔레스타인을 방문한 한 활동가는 자신이 이스라엘 군의 위해 대상이 될 수 있는 위험 상태를 지각함에 따라 공포 감정을 경험하기도 한다. 활동가들은 소속 활동가의 이러한 공포 경험을 단체의 현지 활동 안건을 철회하기보다는 재검토하고 한층 합리화하는 계기로 소화한다. 공포를 관리한 활동가는 팔레스타인에서의 다양한 감정 경험들을 출처삼아 자신의 활동가 역량을 발전시킬 창의성과 재량권을 확보할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식으로 활동가들은 자신들의 부정적인 감정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연대 운동을 지속시킬 뿐 아니라 더욱 발전시키는 동인을 얻게 된다.
This study is an anthropological research on the emotional experience of the activists of Palestine Peace & Solidarity in South Korea. They have been staging various activities to protect and support the rights of Palestinians with the goal of terminating the Israeli occupation in Palestine and securing Palestinian rights for their land. However, Palestine Peace & Solidarity has failed in the expansion of their movement in Korea over the last 12 years, and political situation in Palestine also shows no signs of improvement. Nevertheless, current situation of continued activities of their movement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eludes explanation with rational behavior model. Starting from this critical awareness,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activists' emotional experience as a clue to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Palestine solidarity movement.
Firs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the movement, this study analyzed activists' relational emotion. Activists commonly mentioned that emotional agitation they experienced when they saw the tragic photos of Palestinians became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Palestine solidarity movement. Later on, this activists' emotional motivation fused with the cognitive frame which perceive and interpret the reality of Palestine as the problem of occupation. Through 'occupation frame', activists represents Palestinians as humane group which should not remain as the object of pity even though they are the victims of occupation. On the other hand, the Israelis are represented as occupiers and also inhumane group of people who deserve to be avoided rather than the object of resentment. On the foundation of this representation lies emotion of pity and resentment which activists experienced when they first found the two groups. Meanwhile, in order to organize the movement in Korea, activists tried to mobilize collective emotion of pity toward Palestinians out of Koreans. Providing information that Korean government, corporations, universities and churches are conspiring for the Israeli occupation, activists claimed that the occupation is not only 'their' problem but 'ours' as well. This situation elicits shame and desire to revenge from Koreans and induces Koreans to boycott domestic agents who exchange with Israel.
Seco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ntinuation of the Palestine solidarity movement, this study probed into activists' emotional management by aspect of specific activities. For example, activists came to experience negative emotions such as pressure, disappointment and helplessness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correc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Palestine in Korea. These emotions reflect the fact that Korean society poses a difficult environment to stage Palestine solidarity movement in. But activists accepted this condition as a given environment for their movement and managed negative emotions by lowering expectations for immediate achievement or repeating self-reflection. Some activists who visited Palestine experienced an emotion of fear when his safety is threatened. And based on this experience of fear, activists reviewed and made more rationalized agendas for field activities. Besides, based on various emotions they experienced in Palestine, they secured creativity and discretion to reproduce their movement. Like this, activists have come to obtain motivation to sustain their movement in face of the difficult prospects during the process of managing their negative emotion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424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