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비장소로서의 도시 카페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양차미

Advisor
이재현
Major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장소와 공간비장소카페공간문화기술지 연구도시문화space and placenonplacecafe cultureethnographic studyurban spac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언론정보학과, 2012. 8. 이재현.
Abstract
그 동안의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공간 및 장소의 문제는 추상적인 맥락으로 처리되어왔다. 이 연구는 주류 사회과학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았던 공간성의 문제에 새롭게 주목하여, 최근 급속하게 변화 및 발전하고 있는 미디어 환경이 일상생활의 영역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는지를 발견하고 기술하고자 했다. 특히 전지구화 세력의 영향으로 인해 세계 거대도시를 중심으로 그 수가 증가하고 있는 비장소(nonplace)는 도시문화연구와 미디어 문화연구의 이론적 자원을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흥미로운 연구주제로 선택되었다. 왜냐하면 비장소는 그 안에서 미디어의 이용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공간이기도 하지만, 그 형성과정 자체에도 미디어기술의 영향이 중요하게 개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디어의 이용이 일상생활 곳곳에 침투함으로 인해 물리적 공간과 가상적 공간의 연관성이 점차 긴밀해져가고 있는 상황은 현대사회에서의 변화된 공간성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우선 공간의 생김새를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개인들이 실행하는 공간적 실천들, 그리고 해당 공간경험에 대해 개인이 기억하게 되는 모든 것들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 점에 착안하여 이 연구는 공간을 크게 세 가지 이론적 틀 ― 표상의 공간, 공간의 실천, 공간의 표상 ― 로 나누어서 관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대상으로는 비장소의 여러 유형들 중에서도 오늘날 도시 서울의 대로 경관의 중요한 특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는 카페공간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약 6개월간의 현장관찰과 20명가량 대상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자료들은 총체적 문화기술의 자원으로 활용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총 네 가지의 결론을 연구문제 별로 각각 간략하게 제시하면 이렇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비장소의 이용자는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표상의 공간의 차원에서 이는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가? 라는 물음에 대해선 우선 카페가 활발한 각종 미디어의 이용이 발견되는 미디어침투공간으로 존재하고 있다는 점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실제로 카페 내에서는 비단 시각적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청각적, 촉각적, 심지어는 후각적인 차원에서도 각종 미디어가 발견되고 있다. 이렇게 여러 감각기관에 소구하는 미디어들은 카페라는 공간의 일관된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비장소의 이용자가 매개된 현실을 경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비장소는 본래의 지역성으로부터 단절된 채, 그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와 파편들을 다른 공간으로부터 빌려와 자신의 목적에 따라 활용하고 있는 재매개의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비장소의 이용자는 어떤 미디어 상호작용 행동을 보이고 있는가? 이는 공간의 실천의 차원에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가? 의 물음이 제기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 이용자가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미디어를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틈새시간을 활용하기 위해서나 홀로 있음으로 해서 느껴지는 심리적 불안감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미디어를 습관적으로 이용하는 방어적 미디어 이용과 구체적으로 활용할 목적을 가지고 집중된 방식으로 미디어를 이용하는 도구적 미디어 이용의 두 가지 패턴이 발견되었다. 특히 카페에서 도구적으로 미디어를 이용하는 이들은 그 행위 자체가 의례적으로 습관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전통적인 노동방식에 비해 보다 더 창조적이고 유연화 된 노동형태를 선호하는 디지털 세대의 중요한 특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연구문제인 비장소의 이용자는 어떤 대인적 상호작용 행동을 보이고 있는가? 이는 공간의 실천의 차원에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먼저 이용자가 그곳을 방문한 맥락에 따라, 동반한 상대가 누구냐에 따라 그 형식과 내용이 다양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즉 카페에서는 상호배타적이고 집중된 형식으로, 서로의 사적이고 일상적인 주제들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수다가 이루어지는 한편으로 다소 산발적인 복합시간적 대화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물리적으로 공존하는 상대와의 대화가 진행되는 동시에 가상적인 상대와의 대화를 중첩시키는 대화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카페의 이용자들은 물리적으로 공존하는 타인들과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면서도 동시에 상대방의 존재를 분명히 의식하는 분리된 관여의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유리창을 매개로 두고 서로를 일별하는 카페 내부 이용자와 외부의 산보객 사이에서도 역시 발견되는 비언어적 상호작용의 한 패턴으로서, 이들은 같은 도시의 스펙터클에 참여하는 경험을 통해 자신이 속한 상상적 공동체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비장소의 이용자는 스스로의 공간 경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공간의 표상의 차원에서 이는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가?의 문제에 대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 전이공간, 일탈적 공간, 그리고 문화상징의 공간으로서의 인식이 발견되었다. 먼저 사람들은 카페를 일상의 맥락에서 자연스럽게 방문하게 되면서, 그곳이 여러 장소를 거쳐 가는 도중에 잠시 쉬어갈 수 있는 틈새적 공간이자 개인이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 그 용도와 의미를 전유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그러면서도 카페는 개인이 자신을 구속하는 일상적 역할과 책임으로부터 잠시 거리를 두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일탈적 공간으로서도 인식되고 있었다. 이는 비장소에서는 개인의 정체성이 그가 공간과 맺고 있는 계약적 관계에 의해 규정되기 때문에, 기존의 정체성 상실로 인한 해방감과 새로운 역할놀이의 능동적 쾌를 느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카페공간의 이용자는 공간자체를 일종의 상품으로서 간주하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이들이 공간을 소비함으로써 얻는 효용은 그것이 가진 문화적 상징을 자기와 동일시할 수 있다는 것인데, 특히 스타벅스 커피와 같은 프랜차이즈 카페의 경우 서구적, 도시적, 세련됨, 성공의 이미지를 표상하고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나아가 이는 미디어의 발달로 전지구화의 영향이 세계 곳곳으로 넓혀져 가면서 비장소로 표방되는 서구 중심의 지배적 문화가 국지적인 도시경관에 차용되고 이식되어가는 과정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도 간주되었다.
In a series of media and communication studies during the past few decades, the notion of space and place has mostly been treated in abstract contexts, being classified as a taken-for-granted environmental condition. Compared with keen academic interest in historicity and psychology as primary variables in media and communication related phenomena and practices, our regards to geography, scale and location have even yet been meager. That is, the notion of space and place tended to remain in the discursive level in which it was regarded as a mere odorless background but not as a participatory agent that migh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very communicative processes.
This assumption becomes especially problematic in the present situation when the digital media technology is aggressively and rapidly penetrating into our everyday life settings. This fast-changing, mediated condition of life is becoming the very basis of our life and thus it is logical to expect that it will greatly change how we interpret meanings from certain texts or visual images, how we interact with others and eventually how we think about our own existence and experience.
Among the recent changes, one of the most conspicuous patterns that deserve our academic attention is excessive media use outside of traditional media spaces like home and the office. One often notices people using their mobile phone in the street, working on a laptop computer in neighborhood café and playing digital games in a bus or in a subway. French anthropologist Marc Augé has aptly termed these interstitial spaces as nonplace, which can be defined as typical places of transit, exchange, leisure and consumption which we usually frequent while conducting our daily duties. It does not necessarily indicate the exact location but characteristic features that are commonly observed in these sorts of places.
Then how is this nonplace in the context of Seoul, the capital city of South Korea is constituted, represented and experienced in our everyday lives? What are the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such characteristics? Based on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adopted ethnographic methodology in order to vividly describe the present condition of nonplace in Seoul, mainly focusing on urban café spaces that are abruptly increasing in its number in a recent few years. Over six months period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over twenty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aimed to view the focal space in three theoretically correlated aspects
space of representations, spatial practices and the representation of space.
Space of representations mainly refers to the way the space is constituted in visual, auditory, and tactical levels. It was concluded that the café as a nonplace was a space of spectacle, with its spatial and visual elements (e.g. furniture, photos, ambient TV, personal laptops and smartphones, etc) consistently creating a whole different sense of place, that of exotic 'third world' and that of domestic households at the same time. This atmospheric gives sense of distraction to the user, while making him feel detached from his pressing life concerns and thus making him relieved from stress. Still, the spatial elements being remediated from other spaces like library, kitchen and living room gave him a sense of familiarity which made him feel used to the setting itself. Background music in this case was functionally utilized to make users feel less annoyed by other noises such as chatting voices.
Besides, users of café were appropriating their own spatial tactics of creating their private space within the setting of public space, mostly using personal media devices. This particular way of appropriating space was referred to as that of mobile campers, who were usually making habit out of studying and working in the neighborhood café, rather than traditional working/studying spaces like the fixed office and the library. They were enjoying the flexible environment where they could focus and relax at the same time, while being temporarily freed from social obligations that were required in usual work settings. They were skillfully performing their role as a café user/consumer, which at times even gave them the sense of empowerment and compensation.
Thirdly, the representation of space refers to the way the users perceive the café space and their experience within and around it. Especially in the case of multinational corporate franchise like Starbucks, café going practices implied significant cultural and symbolic meaning to most of the users. It was viewed as representing the Western, the successful, the feminine, the artistic and the elite taste. Frequent users were identifying those values not only with the brand itself but the actual ritual of going to café and of drinking coffee.
In conclusion, urban café in Seoul was showing many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nonplace but at the same time users were devising particular spatial tactics of appropriating the place in order to turn nonplace into an anthropological place. It was observed that quite contradictory elements like exotic/domestic, public/private, strange/familiar, focused/distracted were actually coexisting in the place. Furthermore, it was argued that the use of personal media devices was influencing the way the users perceive, practice and experience the space.
The primary reason why nonplace is worth being studied is that it represents the very core aspect of changing urban condition and that it reacts sensitively to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It delivers unique patterns of communication behavior among people frequenting this place which also generates unique kind of relation it has with its users. Therefore, nonplace is the case field in which all major problems of urban, media and communication today can be discussed in multidisciplinary and integrative manner.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425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