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기경보지표로서 은행부문 자본유출입의 유용성 고찰 : Study on the Availability of Banking Sectors Capital Flows as an Early Warning Indicator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소영-
dc.contributor.author안시온-
dc.date.accessioned2017-07-19T12:33:09Z-
dc.date.available2017-07-19T12:33:09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other00000000930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4573-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경제학부, 2013. 2. 김소영.-
dc.description.abstract본고에서는 은행부문을 중심으로 자본유출입과 관련된 지표가 조기경보지표로서 유용한지에 대하여 고찰한다. 이를 위해 은행부문의 특징 및 취약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를 잘 나타낼 수 있는 평가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이러한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한국 및 신흥시장국을 대상으로 과거 위기를 잘 설명할 수 있는지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은행부문의 평가지표는 위기발생확률을 잘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부문 자체의 구조적 특성과 은행차입 자금 등 은행부문을 통한 자본유출입의 특성으로 인하여 은행외채비중, 대외 통화불일치, 대외 만기불일치가 빠르게 증가할수록 위기발생확률은 증가하였다. 이는 평가지표와 위기간 직접적 인과관계보다는, 은행부문 평가지표가 자본유출입과 관련하여 불균형 및 취약성의 축적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게 해주는 조기경보지표로서의 유용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은행부문의 평가지표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급격한 자본유출입의 부작용에 대응하고 위기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 2 절 관련연구 검토 2

제 2 장 은행차입 자금의 특징 6
제 1 절 은행차입 자금의 유출입 현황 6
제 2 절 은행차입 경로의 일반적 특성 7
제 3 절 한국 은행부문의 특수성과 위기전파과정 8

제 3 장 분석모형의 설정 16
제 1 절 모형 및 지표의 설정 16
제 2 절 위기의 식별 19

제 4 장 실증분석 결과 21
제 1 절 단일지표 모형 21
제 2 절 복수지표 모형 및 타 모형과의 비교 22
제 3 절 패널 모형 25

제 5 장 결 론 28

제 6 장 부 록 30

제 7 장 참고문헌 3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4332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자본유출입-
dc.subject은행차입-
dc.subject은행외채-
dc.subject불일치-
dc.subject조기경보지표-
dc.subject위기-
dc.subject.ddc330-
dc.title조기경보지표로서 은행부문 자본유출입의 유용성 고찰-
dc.title.alternativeStudy on the Availability of Banking Sectors Capital Flows as an Early Warning Indicator-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AN, SIO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 40-
dc.contributor.affiliation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dc.date.awarded2013-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