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주된 일자리에서 정년에 의한 퇴직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andatory Retirement from Main Job on Health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이철희 | - |
dc.contributor.author | 이용수 | - |
dc.date.accessioned | 2017-07-19T12:40:49Z | - |
dc.date.available | 2017-07-19T12:40:49Z | - |
dc.date.issued | 2017-02 | - |
dc.identifier.other | 000000141060 | - |
dc.identifier.uri | https://hdl.handle.net/10371/134732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경제학부, 2017. 2. 이철희. | - |
dc.description.abstract |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고령화패널(KLoSA)을 이용하여 주된 일자리에서 정년에 의한 퇴직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국내 은퇴연구와 비교했을 때 두 가지 차별성을 갖는다. 첫째, 도구변수를 이용하여 내생성 통제를 하였다. 대부분 국내연구는 은퇴와 주관적 건강사이 상관관계만 규명하였지만 본 연구는 은퇴연구에서 도구변수를 이용하여 정년퇴직과 건강사이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둘째, 종속변수로 다양한 건강변수를 활용하였다. 기존 국내연구는 대부분 주관적 건강변수만 이용하여 분석하였지만 본 연구는 BMI, CES-D, 당뇨병, 고혈압과 같은 변수를 활용하여 객관적 건강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년에 의한 퇴직이 주관적, 객관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은퇴가 주관적 건강을 악화시킨다는 국내 은퇴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여준다. 다만, 본 연구는 세 가지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표본 수가 부족하여 초기 조건을 만족하는 개인을 대상으로 2개년 패널을 구축하고 세로로 합쳐 하나의 자료(data set)로 이용하였다. 이 방법은 건강한 개인이 과다하게 관측되는 현상인 표본편의(sample selection)를 초래한다. 둘째, 내생성을 완전히 통제하지 못하였다. 표본 수가 부족하여 도구변수를 이용한 고정효과모형(iv-fixed effect)을 이용하지 못하고 도구변수를 이용한 합동 회귀분석 모형(pooled iv-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이 모형은 개인의 이질성을 통제하지 못한다. 셋째, 본 연구는 정년이 있는 직장에 근속하는 임금근로자를 표본으로 한정하여 자료를 생성하였다. 한국에서 정년이 있는 직장에서 근속하는 임금근로자는 다른 근로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적 지위가 높고 직업, 능력 등 여러 측면에서 일반 근로자와 성격이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전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확대하여 해석하기에 무리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갖지만 본 연구는 도구변수를 이용하여 은퇴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면 은퇴가 건강에 부정적인(negative) 영향을 주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사회가 고령사회로 진행되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정년퇴직과 건강의 관계를 연구한 본 연구가 갖는 의미는 점차 중요해질 것이다. 주요어: 은퇴, 정년퇴직, 주관적 건강, 객관적 건강, 건강행위, 도구변수, 내생성, 재취업 학 번: 2013-22861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 1 장 서론 1
제 2 장 선행연구 4 제 3 장 자료 9 3.1. 자료소개 및 퇴직에 대한 정의 9 3.2. 퇴직사유 12 3.3. 자료정리 15 3.4. 독립변수 19 3.5. 건강과 관련된 종속변수 21 3.6. 건강행위와 관련된 변수 24 3.7. 통계량 분석 25 제 4 장 분석모형 35 제 5 장 분석결과 39 5.1. first-stage 분석결과 39 5.2. second-stage 분석결과 42 제 6 장 결론 56 참고문헌 60 부록 66 ABSTRACT 120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2326966 bytes | - |
dc.format.medium | application/pdf | - |
dc.language.iso | ko | - |
dc.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 |
dc.subject | 은퇴 | - |
dc.subject | 정년퇴직 | - |
dc.subject | 주관적 건강 | - |
dc.subject | 객관적 건강 | - |
dc.subject | 건강행위 | - |
dc.subject | 도구변수 | - |
dc.subject | 내생성 | - |
dc.subject | 재취업 | - |
dc.subject.ddc | 330 | - |
dc.title | 주된 일자리에서 정년에 의한 퇴직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 |
dc.title.alternative | The Effect of Mandatory Retirement from Main Job on Health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 | Lee, Yong Soo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citation.pages | 129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 - |
dc.date.awarded | 2017-02 | - |
- Appears in Collections:
- Files in This Item: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