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만주어 문어의 시제와 양상 연구 : <滿文老檔>의 용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ense and Aspect in Written Manchu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주원-
dc.contributor.author박상철-
dc.date.accessioned2017-10-27T17:09:34Z-
dc.date.available2017-10-27T17:09:34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00000014626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7117-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언어학과, 2017. 8. 김주원.-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만주어 문어에서 시제(tense)와 양상(aspect)을 나타내는 여섯 개의 문법 형태 -ra, -ha, -mbi, -habi, -mbihe, -ha bihe의 분포와 의미를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만주어 문어의 체계적인 시제와 양상 대립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서 본고는 초기 만주어 문어를 반영하는 을 주 자료로 삼았는데, 이 자료는 다음과 같은 면에서 만주어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우선적인 가치를 가진다. 첫째, 1599년 위구르식 몽골문자를 빌려서 만주문자가 창제된 이후에 작성된, 가장 오래된 만주어 문어를 반영한다. 둘째, 만주족의 문화가 한족의 문화에 동화되기 이전에 순만문으로 쓰인 문헌으로, 한어의 영향을 받지 않은 순수한 형태의 만주어를 반영한다. 셋째, 비교적 짧은 시기에 작성되어서 일관된 언어적 직관이 반영되었다.
2장에서는 본고의 논의에서 핵심이 되는 시제, 양상, 완료, 양태 등의 이론적 배경을 Comrie (1976, 1985)와 Bybee et al. (1994) 등의 연구를 바탕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선행 연구에서 만주어학 고유의 용어로 기술한 만주어의 시제와 양상을 유형론적 연구를 통해 정립된 일반 언어학의 용어로 기술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 연구는 크게 만주어를 시제 대립 중심 언어로 보는 연구와 양상 대립 중심 언어로 보는 연구로 나눌 수 있는데, Avrorin (1949) 이후 후자의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그런데 Avrorin (1949)의 완결된 양상(окончательныйвид)과 완결되지 않은 양상(неокончательныйвид) 의 대립은 Comrie (1976)에서 정립된 완망상(perfective)과 비완망상(imperfective)의 대립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이들은 상대 시제적 관점에서 과거와 비과거 시제의 대립으로 대체될 수 있다.
4장과 5장에서는 각각 분사 어미와 정동사 어미의 분포와 의미를 기술하였다. 분사 어미에는 -ra와 -ha가 포함되는데, 이들은 종결의 기능, 관형의 기능, 명사의 기능을 모두 가진다. 관형의 기능과 명사의 기능에서는 -ra와 -ha가 각각 상대 시제적인 비과거 상황과 과거 상황을 가리킨다. 한편 종결의 기능에서 -ha가 일관되게 과거 상황을 가리키는 데 비해 -ra는 1인칭 주어와만 출현하여 약속의 양태 의미를 나타낸다는 분포와 의미의 제약이 있다.
정동사 어미에는 -mbi, -mbihe, -habi, -ha bihe가 포함된다. -mbi와 -mbihe는 진행, 습관, 예정된 미래 등 비완망상의 전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데, 각각 비과거와 과거 상황을 가리키는 차이가 있다. -habi와 -ha bihe는 과거 상황의 현재 관련성이라는 완료(perfect)의 의미를 공유하는데, 역시 각각 비과거와 과거 상황을 가리키는 차이가 있다.
이렇게 기술된 시상 형태의 의미와 분포를 바탕으로, 6장에서는 만주어 문어의 체계적인 시제 및 양상 대립을 제시하는데, 비종결형과 종결형을 분리해서 제시한다. 비종결형은 비과거 -ra와 과거 -ha로만 이루어진 정연한 시제 대립을 이룬다. 종결형은 양태 의미를 강하게 나타내는 -ra를 제외하고, -ha의 유무에 따라 비과거(-mbi, -habi)와 과거(-ha, -mbihe, -ha bihe)의 시제 대립을 보인다. 과거 시제 가운데 -ha와 -mbihe는 완망상과 비완망상의 대립을 보인다. -ha와 -habi는 과거 상황을 가리키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후자만이 현재 관련성을 함의한다.
7장에서는 만주어 문어의 시제와 양상 대립이 의 18세기 한국어 대역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대체로 본고에서 살핀 시제 대립과 양상 대립이 그대로 반영되었지만, 두 언어의 구조적 차이로 인한 의역도 다수 발견되었다. 한편 와 에 나타나는 종결형 -ha와 -habi의 전수 조사를 통해, 만주어의 -ha는 한국어의 부정법 과거(Ø)로 대역될 수 있지만 -habi는 부정법 과거로 대역되지 않고 대부분 새로 발달한 과거 시제인 -엇-으로 대역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완망상 과거 -ha가 담화 내에서 전경(foreground)으로, 현재 완료 -habi가 배경(background)으로 기능한다는 본고의 논의를 뒷받침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i
목차 iv
표 목차 xi
1. 서론 1
1.1. 연구의 목적과 대상 1
1.2. 만주어 3
1.2.1. 만주어의 활용형 3
1.2.2. 만주어의 시간 표현 10
1.3. 자료 13
1.3.1. 주 자료: 太祖朝 13
1.3.2. 보조 자료: 17-18세기의 만주어 문어 자료 15
1.4. 논문의 구성 17
2. 이론적 배경 18
2.1. 시제(tense) 19
2.2. 양상(aspect) 22
2.3. 완료(perfect) 26
2.4. 양태(modality) 28
3. 선행 연구 검토 31
3.1. (1730) 32
3.2. 시제 대립 중심의 연구 35
3.2.1. Verbiest (1696), Elementa Linguae Tartaricae 36
3.2.2. Gabelentz (1832), Elemens de la grammaire mandschoue 38
3.2.3. Adam (1873), Grammaire de la langue mandchou 40
3.2.4. Zaxarov (1879), Grammatika manczurskogo jazyka [Manchu Grammar] 42
3.2.5. Harlez (1884), Manuel de la langue mandchoue: grammaire, anthologie & lexique 45
3.2.6. Möllendorff (1892), A Manchu grammar: With analysed texts 47
3.2.7. 박은용(1969), 48
3.2.8. 최학근(1980), 50
3.2.9. 愛新覺羅烏拉熙春(1983), 52
3.2.10. 季永海·刘景宪·屈六生(1986), 54
3.2.11. 津曲敏郞(2002), 55
3.2.12. 愛新覺羅瀛生(2004), 56
3.3. 양상 대립 중심의 연구 56
3.3.1. Avrorin (1949), O kategorijax vremeni i vida v man'chzhurskom jazyke [On the categories of tense and aspect in the Manchu language.] 56
3.3.2. Haenisch (1961), Mandschu-Grammatik: mit Lesestücken und 23 Texttafeln 58
3.3.3. Sinor (1968), La langue mandjoue 59
3.3.4. Roth Li (2000), Manchu: A textbook for reading documents 60
3.3.5. Gorelova (2002), Manchu Grammar 61
3.3.6. 河內良弘·淸瀨義三郞則府(2002), 63
3.3.7. Baek (2011), A Colloquial Manchu Grammar 65
3.3.8. 오민석(2013), 18세기 국어의 시제체계에 관한 쟁점 연구 67
3.4. 요약 및 문제점 68
4. 분사 어미의 분포와 의미 72
4.1. 분사 어미 -ra 72
4.1.1. 종결의 기능 73
4.1.1.1. 약속의 양태 의미 73
4.1.1.2. 예외적 용법 76
4.1.2. 관형의 기능 79
4.1.2.1. 현재 진행 중인 상황 79
4.1.2.2. 습관적 상황 81
4.1.2.3. 일반적 사실 81
4.1.2.4. 미래 82
4.1.3. 명사의 기능 83
4.1.3.1. 현재 진행 중인 상황 84
4.1.3.2. 습관적 상황 85
4.1.3.3. 일반적 사실 85
4.1.3.4. 미래 86
4.1.3.5. 시간부사절(-ra de) 87
4.1.4. 시상 대립과 무관한 용법 87
4.1.5. -ra의 의미: 비과거(non-past) 89
4.2. 분사 어미 -ha 90
4.2.1. 종결의 기능 90
4.2.2. 관형의 기능 91
4.2.3. 명사의 기능 92
4.2.4. 시상 대립과 무관한 용법 94
4.2.5. -ha의 의미: 과거(past) 96
5. 정동사 어미의 분포와 의미 97
5.1. 정동사 어미 -mbi 101
5.1.1. 현재 진행 중인 상황 101
5.1.2. 습관적 상황 103
5.1.3. 일반적 사실 104
5.1.4. 미래 105
5.1.5. 부정(否定)형 109
5.1.6. 시상 대립과 무관한 용법 110
5.1.7. -mbi의 의미: 비과거(non-past) 112
5.2. 정동사 어미 -mbihe 113
5.2.1. 과거의 진행 중인 상황 114
5.2.2. 과거의 습관적 상황 115
5.2.3. 과거 시점에서 예정된 미래 116
5.2.4. 반사실 가정 117
5.2.5. 시간부사절(-mbihede) 119
5.2.6. -mbihe의 의미: 비완망상 과거(past imperfective) 120
5.3. 정동사 어미 -habi 121
5.3.1. 결과 지속 122
5.3.2. 경험 124
5.3.3. -habi의 의미: 현재 완료(present perfect) 125
5.4. 정동사 어미 -ha bihe 126
5.4.1. 결과 지속 126
5.4.2. 경험 129
5.4.3. -ha bihe의 의미: 과거 완료(past perfect) 130
6. 만주어 문어의 시제 대립과 양상 대립 131
6.1. 시제 대립 132
6.1.1. 비종결형: 비과거 -ra와 과거 -ha 132
6.1.2. 종결형: 비과거 -mbi, -habi와 과거 -ha, -mbihe, -ha bihe 135
6.2. 양상 대립 137
6.2.1. 완망상 과거 -ha와 비완망상 과거 -mbihe 139
6.2.2. 완망상 과거 -ha와 현재 완료 -habi 144
6.3. 시제 대립과 양상 대립의 관계 146
6.4. 시제 대립과 양상 대립의 통시적 발달 150
6.4.1. -mbi의 기원에 대한 가설 150
6.4.1.1. -me bi > -mbi 151
6.4.1.2. -n bi > -mbi 153
6.4.1.3. -m bi > -mbi 154
6.4.1.4. -rV(n)-bi > -mbi 155
6.4.1.5. 소결 157
6.4.2. 비대칭적인 시상 대립의 형성 157
7. 청학서 대역에 반영된 만주어의 시제와 양상 161
7.1. 비과거 -ra 166
7.1.1. -ra 종결형의 대역 166
7.1.2. -ra 비종결형의 대역 168
7.1.2.1. 전형적인 대역: 비과거 시제 168
7.1.2.2. 비전형적인 대역: 과거 시제 170
7.1.2.3. 기타 비전형적인 대역 172
7.2. 과거 -ha 173
7.2.1. -ha 종결형의 대역 174
7.2.1.1. 전형적인 대역: 과거 시제 174
7.2.1.2. 비전형적인 대역: 현재 시제 178
7.2.1.3. 기타 비전형적인 대역 180
7.2.2. -ha 비종결형의 대역 182
7.2.2.1. 전형적인 대역: 과거 시제 182
7.2.2.2. 비전형적인 대역: 현재 시제 187
7.2.2.3. 기타 비전형적인 대역 189
7.3. 비과거 -mbi 190
7.3.1. 전형적인 대역: 비과거 시제 190
7.3.2. 비전형적인 대역 193
7.4. 비완망상 과거 -mbihe 195
7.5. 현재 완료 -habi 196
7.5.1. 전형적인 대역: -엇- 197
7.5.2. 비전형적인 대역: 현재 시제 198
7.6. 과거 완료 -ha bihe 198
7.7. -ha와 -habi의 대역에 나타나는 담화상의 기능 차이 200
8. 결론 205
참 고 문 헌 210
Abstract 21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33136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만주어-
dc.subject문어-
dc.subject만문노당(滿文老檔)-
dc.subject시제-
dc.subject양상-
dc.subject완료-
dc.subject.ddc401-
dc.title만주어 문어의 시제와 양상 연구 : 의 용례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ense and Aspect in Written Manchu-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Sangchul-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언어학과-
dc.date.awarded2017-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