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연쇄동사 구문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 합성 유형 -'V-어 가다/오다', 'V-어 주다'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남승호-
dc.contributor.author김효진-
dc.date.accessioned2017-10-27T17:09:40Z-
dc.date.available2017-10-27T17:09:40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00000014627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7118-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언어학과, 2017. 8. 남승호.-
dc.description.abstract본고에서는 한국어의 V-어 가다/오다, V-어 주다가 생성 기제면에서 범언어적으로 나타나는 연쇄동사 구문(Serial Verb Construction)의 특성을 지닌 구문임을 밝히고 가다/오다, 주다가 다른 동사들과 연쇄되어 나타날 때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가 합성되는 방식을 유형화하여 제시한다.
연쇄동사 구문이 다른 복합 동사 구문과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은 두 동사가 결합할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논항을 공유하며 하나의 단일 사건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여기서는 심층적인 통사 구조를 상정하지는 않지만 동사가 갖는 의미 구조를 반영하는 표면적 통사 구조로, 논항 구조의 합성 방식을 먼저 제시한다. 다음으로 술어 분해(predicate decomposition) 방식을 이용한 Rappaport Hovav & Levin(1998
-
dc.description.abstract2010)식의 사건 구조를 통해 동사가 갖는 의미 구조를 표상하여 가다/오다, 주다가 다른 동사들과 연쇄동사 구문을 이룰 때, 두 동사의 하위 사건이 어떻게 하나의 사건으로 합성되는지를 밝힌다.
가다/오다, 주다는 착점 논항을 필수 성분으로 취하며 처소 변화라는 결과 상태를 하위 사건으로 갖는 처소 이동 사건을 나타낸다. 이러한 가다/오다, 주다가 다른 동사들과 결합하여 하나의 문장을 구성할 때, 가다/오다는 기본적으로 주어(행동주)를, 주다는 주어(행동주)와 목적어(대상)를 공유한다. 여기서는 가다/오다, 주다가 취하는 착점 논항이 합성되는 방식에 주목한다. 그런데 가다/오다는 처소 논항의 [±처소 변화 ]의 속성에 따라 다른 동사와의 합성 여부가 결정되거나 합성 양상이 달라진다. 주다는 V1의 착점 논항 여부, V1의 대상 논항이 구체물인가 또는 추상물인가, 그러한 대상 논항이 이동이나 소유 변화의 가능성이 있는 것인가에 따라 착점 -에게 논항의 실현 여부와 합성 유형이 달라진다.
여기서는 가다/오다, 주다가 다른 동사들과 결합하여 연쇄동사 구문을 이룰 때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가 합성되는 방식을 크게 (1) 병렬적 합성 유형(Summation Type), (2) 통합적 합성 유형(Unification Type), (3) 혼합적 합성 유형(Mixed Composition Type)으로 구분한다. 사건 구조에서 병렬적 합성 유형은 (1-1) 부가적 병렬 합성과 (1-2) 부분적 병렬 합성으로, 통합적 합성 유형은 (2-1) 완전 통합, (2-2) 내포 통합, (2-3) 부분 흡수 통합 유형으로 세분화된다.
병렬적 합성 유형은 V1이 V2와 결합하면서 동일한 논항은 하나로 합치되 V2에 의해 착점 논항과 사건 구조 내에 라는 결과 상태가 포함된 하위 사건을 새로이 도입하게 된다. 이러한 유형은 V2에 의해 연쇄동사 구문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가 주도적으로 결정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통합적 합성 유형은 V1과 V2가 취하는 동일한 속성의 처소 논항과 동일하거나 함의 관계에 있는 사건 함수(event function) 및 결과 상태를 내포한 하위 사건을 하나로 통합하여 연쇄동사 구문을 이루는 경우이다. 표면적으로는 V1의 논항 구조가 V2와 결합한 후에도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보여 V2보다는 V1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혼합적 합성 유형에 속하는 부류들은 V1과 V2의 처소 논항의 속성이 상충되어 하나로 통합되지 않거나 V2가 결합된 형태로만 쓰이는 등 사건 구조상에서 통합되지 않는 논항들은 논항 구조상에서도 허용되지 않는 경우들이다. 몇몇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의 합성 방식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나타나지만 논항 구조에 새로이 도입된 논항은 사건 구조 내에서 동일하게 하나의 하위 사건으로 도입되며 반대로 논항 구조에 변화가 없으면 사건 구조에서도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등 두 동사가 결합하여 연쇄동사 구문을 이루는 경우에도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 사이에 일정한 대응 관계가 성립됨을 확인할 수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 초록 i
1. 서 론 1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1.2. 연구 대상과 방법 2
1.3. 논의의 구성 4

2. 연쇄동사 구문의 유형론과 한국어의 [V1+어+V2] 구문 6
2.1. 연쇄동사 구문 6
2.2. 한국어 [V1+어+V2] 구문의 형성 17
2.2.1. 접속에 의한 통사적 구성 또는 합성동사 18
2.2.2. 부동사 구문 23
2.2.3. 한국어의 연쇄동사 구문 30
2.2.3.1. 형태적 특성 31
2.2.3.2. 통사적 특성 36
2.2.3.2.1. 논항 공유 37
2.2.3.2.2. 단일절 속성 42
2.2.3.2.3. 연쇄동사 구문과 합성동사의 통사적 특성 비교 54
2.2.3.3. 의미적 특성 62

3. 동사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 68
3.1.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 68
3.2. 가다/오다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 73
3.3. 주다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 79
3.3.1. 영어 give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 79
3.3.2. 한국어 주다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 81
3.4. [V1+어+V2{가다/오다, 주다}] 연쇄동사 구문의 형성 86

4. 한국어 연쇄동사 구문의 논항 구조 합성 유형 94
4.1. 연쇄동사 구문의 논항 구조 합성 방식과 유형 94
4.1.1. 논항 구조와 의미역 위계 구조 94
4.1.2. 가다/오다, 주다 연쇄동사 구문의 논항 구조 합성 규칙 101
4.2. [V1+어+V2{가다/오다}] 연쇄동사 구문의 논항 구조 합성 유형 102
4.2.1. 병렬적 합성 유형 102
4.2.2. 통합적 합성 유형 109
4.2.2.1. 주어 논항과 처소 논항 공유 110
4.2.2.2. V1의 목적어(대상)-V2의 주어(대상) 논항과 처소 논항 공유 120
4.2.3. 혼합적 합성 유형 123
4.2.3.1. [V1] - -를: [행로] 123
4.2.3.2. [V1+V2] - -를: [행로] 124
4.2.4. 정리: [V1+어+V2{가다/오다}]의 논항 구조 합성 유형 126
4.3. [V1+어+V2{주다}] 연쇄동사 구문의 논항 구조 합성 유형 130
4.3.1. 병렬적 합성 유형 130
4.3.2. 통합적 합성 유형 141
4.3.2.1. 완전 통합 141
4.3.2.2. 내포 통합 145
4.3.3. 혼합적 합성 유형 146
4.3.3.1. V1의 구문 유지: 수혜 구문 146
4.3.3.2. -(어)서 구문 152
4.3.3.3. V2에 의해 별도의 수혜자를 요구하는 구문 157
4.3.3.4. V1의 행동주가 V2의 착점이 되는 경우 158
4.3.3.5. 어휘적 합성어 159
4.3.4. 정리: [V1+어+V2{주다}]의 논항 구조 합성 유형 162

5. 한국어 연쇄동사 구문의 사건 구조 합성 유형 166
5.1. 가다/오다, 주다 연쇄동사 구문의 사건 구조 합성 166
5.1.1. 사건 구조의 합성 규칙과 합성 유형 168
5.1.2. 사건 함수와 연산자 목록 177
5.1.3. 사건 구조의 결합 유형 구분: -어와 -(어)서의 교체 178
5.2. [V1+어+V2{가다/오다}] 연쇄동사 구문의 사건 구조 합성 유형 180
5.2.1. 통합적 합성 유형 180
5.2.1.1. 완전 통합 180
5.2.1.2. 내포 통합 183
5.2.2. 병렬적 합성 유형 187
5.2.2.1. 부분적 병렬 합성 188
5.2.2.2. 부가적 병렬 합성 196
5.2.3. 혼합적 합성 유형 203
5.2.4. 정리: [V1+어+V2{가다/오다}]의 사건 구조 합성 유형 208
5.3. [V1+어+V2{주다}] 연쇄동사 구문의 사건 구조 합성 유형 209
5.3.1. 통합적 합성 유형 209
5.3.1.1. 완전 통합 209
5.3.1.2. 내포 통합 212
5.3.1.3. 부분 흡수 통합 213
5.3.2. 병렬적 합성 유형: 부분적 병렬 합성 217
5.3.3. 혼합적 합성 유형 221
5.3.3.1. V1의 사건 구조 유지, V2 주다의 수혜 사건 221
5.3.3.2. -(어)서 구문 226
5.3.3.3. 의미항의 속성 전환 또는 일치 여부 228
5.3.4. 정리: [V1+어+V2{주다}]의 사건 구조 합성 유형 230

6. 한국어 연쇄동사 구문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의 상관성 234
6.1.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의 대응 관계 234
6.2. [V1+어+V2{가다/오다}] 연쇄동사 구문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의 상관성 238
6.2.1. 합성 방식이 일치하는 부류 240
6.2.2. 합성 방식이 일치하지 않는 부류 241
6.3. [V1+어+V2{주다}] 연쇄동사 구문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의 상관성 243
6.3.1. 합성 방식이 일치하는 부류 245
6.3.2. 합성 방식이 일치하지 않는 부류 247
6.4. 정리 248
7. 결론 251
참 고 문 헌 255
Appendix 267
Abstract 274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4598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연쇄동사 구문-
dc.subject논항 구조-
dc.subject사건 구조-
dc.subject처소 이동-
dc.subject병렬적 합성 유형-
dc.subject통합적 합성 유형-
dc.subject혼합적 합성 유형-
dc.subject.ddc401-
dc.title한국어 연쇄동사 구문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 합성 유형 -'V-어 가다/오다', 'V-어 주다'를 중심으로--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언어학과-
dc.date.awarded2017-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