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선형공원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경의선 숲길공원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항만-
dc.contributor.author조영동-
dc.date.accessioned2017-10-31T07:31:50Z-
dc.date.available2017-10-31T07:31:50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00000014588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7326-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7. 8. 조항만.-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새로운 형태의 공원이자 오픈 스페이스로서 주목받고 있는 선형공원의 물리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21세기에 들어 서울을 비롯한 여러 도시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선형의 공간들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선형 자원의 유형은 고속도로, 철도, 고가도로 등 사용이 중지된 교통 인프라 시설이거나 강변, 완충녹지 등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던 유휴 부지이다. 선형의 공간이 주목받는 것은 도시 삶의 질 향상과 보행 중심 도시로의 전환, 전면 재개발 방식이 아닌 도시 재생의 방식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등의 사회적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
선형의 유휴 부지는 좁고 긴 형태적 특징과 기술적, 제도적 문제로 인해 건물을 신축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공원을 조성하는 방식이 선호되고 있으며 특히 뉴욕 하이라인의 성공과 함께 이러한 경향이 확대되고 있다. 교통 인프라 시설은 산업 시대에 효율적 자원 이동을 위해 도시를 관통하며 지역 간의 단절을 만들어 냈고, 지역 주민들은 소음, 환경 문제 등으로 고통을 받아왔다. 이런 점에서 공원화 계획은 지역 간의 단절을 해결할 수 있으며 지역 주민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선형공원은 좁고 긴 형태적 특성으로 인해 동일한 면적의 도시공원에 비해 더 넓은 지역의 도시 공간과 직접 연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뛰어난 접근성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도시공원이 여가적인 목적으로 방문하는 장소(Place to Go)라면 선형공원은 도시와의 연계성과 뛰어난 접근성으로 인해 도시공원의 여가적 기능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들의 일상적인 이동 통로로서도 이용된다. 선행 연구에서는 선형공원의 기본적인 특성으로 도시와의 연계성, 접근성, 연속성 등을 도출하였다.
선형공원은 도시공원에 비해 그 계획에 따라 그 성격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주변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기 때문에 도시 공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형공원의 다양한 유형 중 도시 공간과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는 도심 선형공원의 형태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물리적 디자인 요소가 체험적 일상공간, 사회적 교류의 장이라는 선형공원의 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경의선 숲길공원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선형공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크게 공원 외부와의 관계, 경계부의 형태 및 특성, 공원 내부의 보행로의 형태 및 특성, 그리고 공원 내 오픈스페이스 및 시설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정리한 선형공원의 특성으로는 도시와의 근접성, 공원으로의 접근성, 경계부의 시각적 투명성, 경계부의 물리적 투과성, 공원의 연속성, 안전성이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은 선형공원에서의 일상적 활동, 여가적 활동, 그리고 사회적 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선형공원이 체험적 일상공간과 커뮤니티 구축의 매개체로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경의선 숲길공원 중 공덕, 대흥, 신촌, 연남 구간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각각의 구간은 서로 다른 도시적 맥락과 공원 조성방식을 가지고 있다.
분석 결과, 선형공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인접 도시적 맥락은 공원의 잠재적 이용자와 이용 행태를 결정하는 요인이다. 또한 공원 조성에 따라 인접 건축물의 용도, 입면, 방향성 등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공원 조성 시에 인접 도시적 맥락에 맞게 공원의 목적을 결정해야 한다.
두 번째로 선형공원의 경계부 조성에 따라 다양한 목적의 이용자들이 방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공원의 이용 밀도는 경계부의 투명성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이는 공원 내·외부의 시각적 교류를 가능하게 하여 보행자의 유입 요인이 되며 공원 내 안전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시각적 투명성으로 인해 인접 건축물의 상가 이용이 늘어나기 때문에 인접 도시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경계부의 물리적 투과성은 공원 이용자의 보행 행태에 영향을 미친다. 경계부에서 투과성이 높아 보행자가 자유롭게 공원을 출입할 수 있을 경우, 출·퇴근, 통학 등의 일상적 보행자들이 공원 내로 유입되어 공원을 통로로서 이용한다. 측면에서의 출입구가 양측의 도로와 연계될 경우, 보행자들의 건널목이 되기도 한다. 반면에 측면에서의 접근성이 떨어질 경우에 인접도로의 보행자들이 공원 내로 유입되어 공원 내 일상적 이용행태가 발생하는 일이 드물게 나타나며 여전히 공원은 양측을 가로막는 장벽으로서 존재한다. 도시의 가로와 마찬가지로 선형공원에서 일상적 보행자의 존재는 공원 내 끊임없이 활기를 제공하기 때문에 여가적 목적의 이용자들이 쉽게 공원을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따라서 선형공원이 도시 공간을 단절시키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측면에서의 접근성, 즉 경계부의 투과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선형공원의 내부공간은 보행로, 오픈스페이스, 시설물로 구성된다. 좁은 폭을 가진 선형공원의 경우에 보행로를 조성하고 그 외의 공간은 녹지로 조성하는 경우가 다수이다. 이와 같이 조성된 오픈스페이스는 수목, 지피식물, 파빌리온(부스, 정자 등)을 조성하거나 잔디 등을 조성하여 비워두는 두 가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나타난다. 전자의 경우, 공원 내부에서 여가적 이용 행태가 나타나기 힘들며 주로 조깅, 자전거 타기 등의 선적이고 동적인 이용 행태가 나타난다. 반면 오픈스페이스로 조성할 경우에 반려동물과의 산책, 배드민턴, 돗자리 등 오픈스페이스를 점유하는 정적인 이용 행태가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행위는 공원 내 활력을 높여 주는 이용 행태이기 때문에 자연스레 산책 등을 즐기는 이용자들도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경의선 숲길공원에서 나타난 가장 중요한 계획요소는 경계부의 형태이다. 특히 연남 구간의 경계부는 지피식물 및 수목-흙막이 벽을 이용한 벤치-사괴석으로 포장된 보행로의 순서로 조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성방식이 가지는 의미는 경계부의 완충녹지가 압축적으로 조성되는 것을 넘어 경계부 자체가 공원 이용자가 머무를 수 있으며 이용자를 유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성방식을 두꺼운 선의 경계부라고 볼 수 있다. 해당 경계부의 벽벤치는 이용자들에게 방향성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인접 도시공간의 변화 또한 영향을 받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연남 구간에서 진행되고 있는 상업화 중 POS를 매장 전면에 배치하여 Take-Out을 전문적으로 하는 매장은 선형공원 내 다양한 이용 행태를 유발하는 요소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매장이 경계부의 방향성에 따라 조성되고 있는 것은 선형공원의 물리적 계획이 가지는 중요성을 보여준다.
도시의 선형 유휴 부지는 산업 사회에서 탈산업 사회로의 변화로 인해 자원의 물리적 이동이 전자적인 정보의 이동으로 변화하고 있어 꾸준히 등장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선형 유휴 부지의 재생 방식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선형공원에 주목하여 선형공원의 특성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리적 디자인 요소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주변 건축물의 변화, 이용 행태와 연관하여 다양한 경계부 처리 방식에 대해 정리하고 유형화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추후 조성될 선형공원의 계획이 그 목적에 따라 조성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2. 그린웨이와 선형공원
2.1 고전적 의미의 그린웨이
2.1.1 그린웨이의 개념
2.1.2 고전적 그린웨이 사례
2.2 현대적 의미의 그린웨이
2.2.1 그린웨이의 개념 확장
2.2.2 현대적 그린웨이 사례
2.3 선형공원
2.3.1 선형공원의 등장 배경
2.3.2 선형공원의 정의
2.4 소결
2.4.1 국내 그린웨이 네트워크 구축 가능성
2.4.2 국내 선형공원의 가능성

3. 선형공원의 물리적 특성
3.1 공원 외부와의 관계
3.1.1 인접 도시와의 수직적 관계
3.1.2 인접 도시와의 수평적 관계
3.2 경계부(Edge, Border)의 특성
3.2.1 엣지의 두께
3.2.2 출입구의 분포
3.2.3 시각적 투명성
3.2.4 물리적 투과성
3.3 보행로의 형태적 특성
3.3.1 선형의 보행로
3.3.2 보행로의 디자인 요소
3.4 오픈스페이스(프로그램)
3.4.1 단일 목적의 오픈스페이스
3.4.2 복합적인 목적의 오픈스페이스
3.5 소결

4. 경의선 숲길공원 분석
4.1 경의선 숲길공원 개요 및 특징
4.2 공덕 및 대흥 구간
4.2.1 개요
4.2.2 고층 저밀, 대필지의 도시 조직
4.2.3 면적인 경계부와 선적인 경계부
4.2.4 공원 내부 구성(보행로, 오픈 스페이스)
4.3 신촌 구간
4.3.1 개요
4.3.2 저층 고밀, 소필지의 도시적 맥락
4.3.3 면적 경계(책거리 부스)와 선적 경계(옹벽)
4.3.4 공원 내부 구성(보행로, 오픈 스페이스)
4.4 연남 구간
4.4.1 개요
4.4.2 저층 고밀, 소필지의 도시적 맥락
4.4.3 두꺼운 선적 경계부
4.4.4 공원 내부 구성(곡선형의 보행로, 미완결적 디자인)
4.5 소결
4.5.1 도시적 맥락
4.5.2 경계부의 조성 방식
4.5.3 선형공원의 내부 구성
4.5.4 선형공원 계획의 중요성

5. 결론
5.1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655089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선형공원-
dc.subject경의선 숲길공원-
dc.subject물리적 특성-
dc.subject경계부 디자인-
dc.subject접근성-
dc.subject투과성-
dc.subject투명성-
dc.subject.ddc690-
dc.title선형공원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경의선 숲길공원을 중심으로-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건축학과-
dc.date.awarded2017-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