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제약바이오산업 혁신체계와 성과의 국가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national innovation systems and performance of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하영-
dc.contributor.author이혜린-
dc.date.accessioned2017-10-31T07:42:23Z-
dc.date.available2017-10-31T07:42:23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00000014587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7460-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협동과정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2017. 8. 박하영.-
dc.description.abstract제약산업에서 바이오기술의 도입은 수렴 이론과 제품수명주기 이론, 기회의 창 이론에 따라 제약산업 후발주자 국가들에게는 새로운 기회로 언급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이론들은 과학, 기술, 혁신에만 초점을 맞추고, 산업 인프라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결국 산업 인프라가 혁신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제약산업에서는 바이오기술이 후발주자 국가들에게 있어 기회로 작용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결과의 불일치는 기존의 제약바이오산업 연구가 혁신체계의 혁신주체, 네트워크, 산업 인프라 중 일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혁신성과의 영역을 너무 넓게 설정하거나 너무 좁게 설정하고, 혁신성과의 단계를 일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한계에서 기인한다. 데이터 기반의 통계 분석이 부족하여 객관성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지 못하였다는 점도 이러한 불일치의 또 다른 원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약바이오산업 혁신체계에 속하는 혁신주체, 네트워크, 산업 인프라 지표를 활용하여 각국의 제약바이오산업 혁신체계를 비교하고, 이에 따른 단계별, 유형별 혁신성과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약바이오산업 혁신체계는 혁신주체, 혁신주체들간의 네트워크, 산업 인프라로 구성되었으며, 혁신성과는 단계에 따라 과학 측면에서의 성과, 혁신 측면에서의 성과, 제품 측면에서의 성과, 산업 측면에서의 성과로, 유형에 따라 제약산업에서의 성과와 제약바이오산업에서의 성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서는 네덜란드, 덴마크, 독일, 미국, 벨기에,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아일랜드, 영국,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일본,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한국 총 17개 국가 자료의 서술통계치 분석과 다변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서술통계치 분석 결과와 다변량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로 제약바이오산업 혁신성과는 유형별로 요구되는 혁신체계 요소에 차이가 존재한다. 둘째로 제약바이오산업 혁신성과는 단계별로 요구되는 혁신체계 요소에 차이가 존재한다. 셋째로 제약바이오산업 혁신성과는 같은 유형, 단계라 하더라도 국가별로 활용하는 제약바이오산업 혁신체계에 차이가 존재한다. 특히, 이 단계에서 네트워크 역량을 통한 혁신주체 역량의 보완과 글로벌시장을 통한 내수시장 보완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는 국가와 기업의 혁신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introduction of biotechnology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has been known to provide new opportunities for latecomers based on the convergence theory, the product life cycle theory, and the window of opportunity theory. However, recent studies have argued that such theories merely focus on science, technology, and the concept of innovation, failing to consider the industrys unique infrastructure. Likewise, the assertion has been made that biotechnology do not offer novel chance for latecomers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where infrastructures directly affect innovation performance.
Such discrepancies of results are yielded from limitations that existing biopharmaceutical innovation system research only focused on specific actors, networks, and/or infrastructures of the system. Prior studies have also set the scope of performance to be either too broad or too narrow, at times focusing on just on certain stages of innovation performance. The inconsistency as well arose from the lack of statistical analysis that are conducted based on objective data. Thus, in this study, the biopharmaceutical innovation systems amongst different countries are first compared. Then, their innovation performances are statistically evaluated at each stage and by type categorization.
In this paper, the innovation systems of biopharmaceutical industry is set to consist of actors, networks, and infrastructure, where innovation performance indicators are classified into scientific, innovation, product, and industry performance accordingly based on stages. Additionally, performance indicators were categorized into those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nd those in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according to types. Data from total of 17 countries including Austria, Belgium, Denmark, France, Germany, Ireland, Italy, Japan, Korea, Netherlands, Portugal, Poland, Spain, Sweden, Switzerland,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were utilized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Three major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there existed differences in the required elements of innovation system not only at each stage of the innovation performance in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lements of the innovation system required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nd in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in the same stage of performance. Lastly, the elements of the innovation system used in the same type and stage of performance varied according to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policies and strategies to enhance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countries and corporation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초 록 iii
목 차 v
표 목차 vi
그림 목차 vii
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목적 3
2. 선행연구 4
2.1 혁신체계 국가비교 연구 4
2.2 제약바이오산업 혁신체계 국가비교 연구 7
2.3 제약바이오산업 혁신성과에 대한 네트워크 효과 연구 11
3. 연구 방법 14
3.1 연구모형 14
3.2 자료 15
3.3 분석방법 20
4. 연구 결과 32
4.1 국가별 혁신체계 비교 32
4.2 국가별 혁신성과 비교 61
4.3 국가별 혁신체계와 성과의 비교 74
5. 결론 84
참 고 문 헌 87
부록: 제약바이오산업 혁신체계와 성과 변수 국가별 통계분석 92
Abstract 11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94714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제약바이오산업 혁신체계-
dc.subject제약바이오산업 혁신성과-
dc.subject.ddc658.514-
dc.title제약바이오산업 혁신체계와 성과의 국가비교연구-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n national innovation systems and performance of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HYERI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협동과정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dc.date.awarded2017-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