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소비사회와 청년세대의 '여성혐오' : Consumer Society and Misogyny Among Young Peopl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영지

Advisor
장경섭
Major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Issue Date
2017-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소비사회소비주의여성혐오지그문트 바우만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2017. 8. 장경섭.
Abstract
이 논문은 최근 한국사회에 두드러진 여성혐오 현상을 소비사회의 맥락에서 이해하고자한다. 연구자는 최근 부상한여성혐오라는 용어를 온라인을 매개로 확산되는 통념적 이야기들 안에서 젊은 여성들에게 가해지는 수위 높은 타자화를 뜻하는 말로 사용한다. 기존 연구들은 청년세대, 특히 젊은 남성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여성혐오 정서의 만연을 신자유주의적 사회 변화로 인한 것으로 설명한다. 이 연구는 이에 더하여, 소비주의의 등장과 일상의 소비사회적 재구성의 젠더 관계의 변화와 맞물려 일어나는 파열음에 주목한다.
오늘날 청년세대는 소비사회의 깊은 영향을 받고 있다. 소비사회의 영향이 여성혐오 현상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온라인상 중심의 담론을 분석하여 그 양상을 살펴보고, 실제 젊은이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20~30대 남녀 다섯 명씩 총 10명과의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성혐오현상에 나타난 소비사회의 영향과 이에 따른 갈등은 네 가지 양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여성의 소비주의적 욕구에 대한 비난과 저항. 둘째, 연애와 결혼에 있어 비용 분담 및 가부장적 책임을 둘러싼 젠더 갈등. 셋째, 여성 섹슈얼리티 소비 강화에 따른 여성들의 불편함. 넷째, 문화영역 등에서 새로이 등장한 여성 소비자에 대한 무시와 남성 소비에 대한 무비판이다.
면접을 통해서 청년세대가 남녀구분 없이 소비사회의 영향을 깊이 받고 있고, 온라인에서의 심각한 소비 갈등 양상과는 달리 실제 현실의 관계에서는 매우 낮은 수위로 갈등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성혐오 현상에서 여성의 소비는 비난과 제재를 받고 있으나 면접 참여자들은 여성과 남성의 소비가 동등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답하여 여성 소비에 대한 비난이 비합리적임을 드러냈다. 그러나 여성들은 스스로를 독립적인 소비 주체로 상정하는데 반해 남성들은 남성에 의존적인 여성의 모습으로 인식하고 있어 이러한 점이 갈등을 지속시킬 수 있다고 보였다. 또한 여성혐오 현상이 온라인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현실의 관계에서는 매우 낮은 수위로 존재하는 것은 혐오와 갈등의 내용에 대한 동의가 감정에 기반한 놀이일 수 있다는 점을 드러내는 것이라 하겠다. 이는 실제 현실과의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다행일 수도 있으나 오히려 그러한 동조화된 마음을 바탕으로 현실을 좁은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스러울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ntemporary phenomena of misogyny among young people from the consumer society perspective. Scholars point that neoliberalism is the main cause of the phenomena but researcher would like to point that the strong influence of consumerism over young generation should also be focused. The intense criticism of young womens consumption and their consumer desire is arresting feature of the contemporary phenomena of misogyny among young people. This paper uses paper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 to review the phenomena.
The influence and conflict of consumer society in the current misogyny among young people can be divided into four sections. First, young womens desire for consumerism is strongly denounced. Second, young women's tendency towards individualism and consumerism face strong discontents especially in date and marriage. Third, consumer society strengthens consumption of women's sexuality and young women find it uncomfortable. Lastly, young women appear as new customers in the consumer culture but they are easily disregarded unlike men.
This paper also reviews how much young people have sympathy for the current misogyny. It reveals that young people think there is no different value in the consumption between men and women but the perception of the image of young womens consumer subjectivity is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Also, the tendency towards misogyny was much more strong in onlin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784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