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식민지 여자·제국의 주부· 군국의 어머니 『조선공론』 지면을 통해 본 재조(在朝)일본인 사회의 젠더 담론 : Women of the Colony, Housewives of the Empire, and Mothers of the Militant Nation: Gender Discourses of the Japanese Settler Community of Colonial Ko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숙인-
dc.date.accessioned2018-02-23T01:40:38Z-
dc.date.available2018-02-23T01:40:38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citation일본비평, Vol.18, pp. 230-255-
dc.identifier.issn2092-686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9599-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에서는 『조선공론』 기사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일제강점기 한반도에 형성되었던 일본인 사회의 젠더 담론을 분석했다. 특히 일본인 커뮤니티가 아직 안정되지 못했던 이주 초기단계부터 전시 상황이 심화되는 1930년대 후반 이후까지의 담론적 흐름을 통시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당대 일본인 사회의 상황과 연결시켜보고자 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1910년대 식민사회가 형성되던 초기의 지배적 논조는 여성의 성적 방종에 대한 강한 경계와 제국의 기획에 헌신하는 남성을 내조하는 좋은 아내(良妻)의 역할을 고취시키는 것이었다. 이 시기는 식민자 사회의 규모가 급팽창하면서 여성에 대한 통제와 규율이 식민통치의 안정화 과제와 맞물려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식민사회가 안정화 단계로 들어간 1920년대에는 여성 관련 쟁점들에 대해 전반적으로 무관심했고 보수적인 태도를 보였다. 여성참정권과 같이 여성 관련 주요 쟁점을 다룰 경우에도 주로 본국에서 전개되는 논쟁들을 전달해주는 역할에 머물러, 어느 쪽이든 자체 입장을 분명히 피력하는 것을 볼 수 없다. 1930년대 들어 만주사변 이후가 되면 시국에 부응하는 여성의 기여, 특히 어머니로서의 역할이 강조되는 한편, 합리적인 가사와 생활개선을 위한 교화 노력도 시도되었다. 중일전쟁 이후에는 일본적 여성의 도덕에 대한 강조와 함께 군국의 어머니로서의 각성을 직접 촉구하는 글들도 등장하면서 일본 본토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쟁을 위한 모성의 동원이 노골적으로 표출되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n endeavor to analyze dominant gender discourses among the Japanese settler community of colonial Korea. For this purpose, articles and essays of the magazine Chosŏn kongnon (朝鮮公論) were reviewed. The first phase, from the first issue of April 1913 to the late-1910s, is characterized by concerns over Japanese womens moral degeneration and womens sexual laxity on one hand, and promotion of exemplary female roles as good wives and housekeepers, on the other. In effect, writings about women that appeared on the pages of Chosŏnkongnon in the 1910s can be interpreted as early efforts of the Japanese community to discipline growing numbers of new group of women in colonial Korea. The second phase is from 1920 to the beginning of the 1930s. The Japanese community of colonial Korea in this period stood between a stage of stability following the earlier phase of turmoil and the dawn of the wartime era. Throughout the 1920s, the pages of Chosŏnkongnon exhibited an overall indifference to womens issues, combined with considerably conservative attitudes toward women. The third phase started around 1933 and is demarcated rather clearly by the prevailing influences of a deepening war in the wake of the Manchurian Incident in 1931. In this situation, writings urged women to be awaken to the state of affairs and encouraged their dedications to the nation, in particular, through their motherly role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13년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일본학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임-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dc.subject재조일본인-
dc.subject재조일본인 사회의 젠더 담론-
dc.subject조선공론-
dc.subject식민지 여자-
dc.subject제국의 주부-
dc.subject군국의 어머니-
dc.subjectJapanese settler community in colonial Korea-
dc.subjectgender discourses among the Japanese community-
dc.subjectChosŏnkongnon-
dc.subjectwomen of the colony-
dc.subjecthousewives of the empire-
dc.subjectmothers of the militant nation-
dc.title식민지 여자·제국의 주부· 군국의 어머니 『조선공론』 지면을 통해 본 재조(在朝)일본인 사회의 젠더 담론-
dc.title.alternativeWomen of the Colony, Housewives of the Empire, and Mothers of the Militant Nation: Gender Discourses of the Japanese Settler Community of Colonial Korea-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weon, Sug-In-
dc.identifier.doi10.291514/ILBI.2018.18.230-
dc.citation.journaltitle일본비평(Korean Journal of Japanese Studies)-
dc.citation.endpage255-
dc.citation.pages230-255-
dc.citation.startpage230-
dc.citation.volume1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