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운동부의 상호작용 의례에 관한 연구 : Interaction Ritual of Athletic Team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순용-
dc.contributor.author전재희-
dc.date.accessioned2018-05-28T16:43:36Z-
dc.date.available2018-05-28T16:43:36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other00000015025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0879-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18. 2. 권순용.-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결속과 유지를 설명하는 상호작용 의례 이론을 통해 운동부의 지배적 질서를 탐색함으로써 운동부 문화를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부의 상호작용 의례의 유형과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상호작용 의례를 통해 운동부의 지배적 질서는 어떻게 정당화 되는가? 셋째, 상호작용 의례를 통해 운동부의 지배적 질서는 학생선수들에게 어떻게 내재되는가? 넷째, 상호작용 의례를 통한 운동부의 지배적 질서는 학생선수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 이에 연구방법으로는 사회구성주의 패러다임에 입각하여 다중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에는 총 4개의 고등학교 운동부와 17명의 선수가 참여하였으며 심층면담, 비참여관찰, 연구자 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 분석, 해석의 과정을 거쳐 사례 간의 공통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부의 상호작용 의례의 유형은 유대와 순응의 의례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유대의례는 시간과 공간, 그리고 운동을 통해 관심과 정서를 함께하는 공유의례와, 다른 집단과 운동부를 구별하는 시각적 행위적 구별 의례, 마지막으로 시합에 출전하고 몰입하며 경험하는 시합의례로 드러났다. 또한 순응의 의례는 운동을 위한다는 명목에 행해지는 제도적, 권위적, 수단적인 통제의례와 위계적 구조 속에서 지도자와 선배 앞에서 따를 수밖에 없는 권력 의례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 의례를 통해 운동부의 지배적 질서의 정당화는 운동의 상징성, 도덕성, 정서적 흐름을 통해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운동의 상징성은 선수로서의 본분 강조, 운동공간의 공적화, 지도자의 상징화로 이어졌다. 이러한 상징성은 선수의 본분을 지키고 운동장에서의 예의범절, 그리고 지도자를 따라야 한다는 집단의 도덕성을 형성시켰다. 도덕적 행위는 집단의 긍정적 정서를 강조한 반면, 비도덕적 행위는 부정적 정서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배척과 처벌을 통해 이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운동부의 지배적 질서는 집단의 유대를 보호하기 위한 상호작용 의례의 메커니즘으로써 집단 상징을 보호하고 집단이 공유하는 도덕성을 강조하며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기 위한 차원에서 정당화되고 있었다.
셋째, 운동부의 지배적 질서의 내재화 과정은 눈치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는 눈치껏 학습하기, 눈치껏 행동하기, 눈치껏 따라 하기로 나타났다. 선수들은 지도자와 선배가 요구하는 바를 눈치껏 학습하였고 존대와 처신의 행위를 통해 상대의 마음에 들도록 눈치껏 행동하고 있었다. 또한 집단에서 배제된다는 두려움과 소외감을 느끼지 않기 위해 선수들은 집단이 요구하는 바를 눈치껏 따라하며 운동부의 지배적 질서를 받아들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운동부에게 상호작용 의례는 학생선수들에게 긍정과 부정의 두 가지 의미가 있었다. 운동부 안에서 상호작용 의례의 과정은 학생선수들의 사회성을 함양하고 운동선수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긍정적 의미를 지니기도 했지만, 운동에 대한 상징성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 인해 운동 외 것들은 사소화 되고 선수들에게 맹목적 수용을 야기하는 부정적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상호작용 의례의 이론적 틀과 한국만의 독특한 문화적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논의하였으며 그동안 비판받아온 운동부 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한 차원에서 현장 중심적이고 이론적 확장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chool athletic teams culture by exploring the dominant order of athletic team through the theory of interaction ritual explaining the social solidarity, maintenance and dissolution.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thletic teams interaction ritual? Second, how is the dominant order of athletic teams justified through interaction ritual? Third, how is the dominant order of athletic team embedded to the student athlete? Fourth, what does the dominant order of athletic team through interaction ritual mean to student athletes? As a research method, multiple case study method was applied based on paradigm of social constructivism. A total of four high school athletic teams and 17 student athlete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non-participant observations and research not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interaction ritual in an athletic teams are shown as solidarity and conformity rituals. Specifically, solidarity rituals were revealed as a ritual sharing concern and emotion together through time, space, and training. Distinction ritual was shown as a visual behavioral to distinguish between a other group and athletic team, and game ritual to participate and be absorbed in the game. Also, conformity ritual appeared as a control ritual including institutional, authoritarian, and instrumental control under the pretext of performance improvement, and power ritual that was obliged to follow in front of the coaches and seniors under a hierarchical structure.
Secondly, the dominant order of athletic team has become justified through sports as a symbol, emotion, and morality that was component of interaction ritual. Specifically, the symbol of sports represented three subordinate symbolic concepts such as duty as an athlete, publicization of training space, and coach as a symbolic leader. This symbolization formed the morality of the group such as sense of duty as an athlete, etiquette in the field, and following the coachs command and conduct. In other words, the act of strengthening the symbol was moral, and acting against it was immoral. Moral act emphasized positive emotions, and immoral act induces negative emotions and restored the damaged emotions through rejection and punishment. Therefore, the dominant order of athletic team was justified in order to protect group symbol, to emphasize morality shared by the team, and to experience positive emotion as a mechanism of interaction ritual to protect group solidarity.
Third, the dominant order of the athletic team is internalized to the player through Nunchi. Nunchi means understanding other peoples' feelings and the atmosphere of his or her situation and taking appropriate action accordingly. Specially, this embodied processes has been revealed through learning as Nunchi, acting as Nunchi, and following as Nunchi. The athletes were learning as much as they could about the behavior that the group regards as shared and moral, and they acted cautiously to match the mood of the relative superior as deference and demeanor. Also, they were accepting the dominant order of athletic team as they followed the teams demands in order to avoid emotional damage such as fear and alienation from being excluded from group.
Finally, the interaction ritual of athletic team has two meanings of positive and negative to the students athletes. While it has a positive meaning to cultivate sociality and confirm identity as an athlete, it had a negative meaning to cause blind acceptance of players and neglecting the thing except sport by excessive emphasizing on symbolism of sport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considering the theoretical frame of interaction ritual and cultural peculiarities of Korea.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in terms of field-oriented and theoretical expansion aspects in order to understand and change the athletic culture that has been criticiz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8
3. 연구 문제 8
4. 용어의 정의 9
5. 연구의 제한점 10
Ⅱ. 이론적 배경 12
1 운동부 문화 12
1) 운동부 집단 특성 12
2) 운동부 문화 특성 14
3) 운동부의 문화 관련 연구 17
(1) 선수로서의 삶의 과정 18
(2) 선수의 학습권 보장 20
(3) 선수의 인권 보장 21
2. 상호작용 의례이론 24
1) 상호작용 의례의 개념 24
(1) 의례 25
(2) 상호작용 의례 29
2) 상호작용 의례 이론의 발달과정 33
(1) 에밀 뒤르켐(E. Durkheim)의 상호작용 의례 이론 33
(2) 어빙 고프먼(E. Goffman)의 상호작용 의례 이론 36
(3) 랜들 콜린스(R. Collins)의 상호작용 의례 이론 43
3) 상호작용 의례의 구성요소 50
(1) 상징 50
(2) 도덕성 51
(3) 정서 53
4). 계층화된 상호작용 의례 54
3. 상호작용 의례 이론 연구 58
1) 상호작용 의례 선행연구 58
2) 상호작용 의례 관련 국내 연구 61
(1) 비스포츠 현장에서의 연구 63
(2) 스포츠 현장에서의 연구 66
Ⅲ. 연구방법 69
1. 연구의 패러다임과 절차 69
1) 연구의 패러다임 69
2) 연구 절차 71
2. 연구 참여자 73
1) 현장관찰을 위한 운동부 선정 74
(1) 운동부 A 75
(2) 운동부 B 76
(3) 운동부 C 78
(4) 운동부 D 79
2) 심층면담을 위한 연구 참여자 선정 81
3. 자료 수집 82
1) 현장 관찰 82
2) 심층면담 85
3) 연구자일지 87
4. 자료 분석 88
1) 자료 기술 88
2) 자료 분석 89
3) 자료 해석 90
5. 연구의 진실성 91
1) 삼각검증법 92
2) 동료 간 협의 92
3) 참여자 확인 93
6. 연구의 윤리성 94
Ⅲ. 결과 및 논의 96
1. 운동부 상호작용 의례의 유형과 특징 96
1) 유대 의례 96
(1) 공유 의례 97
(2) 구별 의례 104
(3) 시합 의례 109
2) 순응 의례 118
(1) 통제 의례 118
(2) 권력 의례 130
2. 상호작용 의례를 통한 운동부 지배적 질서의 정당화 138
1) 운동의 상징성 138
(1) 운동선수로서의 본분 139
(2) 공적 공간의 생산 143
(3) 상징전달자로서의 지도자 152
2) 도덕성 155
(1) 운동선수로서의 본분 위반 156
(2) 공적 공간의 침입자 157
(3) 지도자 거스르기 160
3) 정서의 흐름 163
(1) 상징을 통한 정서 경험 164
(2) 위반 행위에 대한 부정적 정서의 경험 165
(3) 처벌 행위를 통한 정서의 회복 167
4) 정당화 기제 172
3. 상호작용 의례를 통한 운동부 지배적 질서의 내재화 175
1) 눈치껏 학습하기 176
2) 눈치껏 행동하기 179
(1) 존대 179
(2) 처신 181
3) 눈치껏 따라하기 185
4) 눈치 의례에서 구성원의 역할 189
(1) 지도자 189
(2) 선/후배 196
(3) 동료 199
4. 운동부 상호작용 의례의 의미 204
1) 긍정적 의미 204
(1) 사회성 204
(2) 운동부원으로서의 나 207
2) 부정적 의미 210
(1) 지나친 운동 상징성 210
(2) 맹목적 수용 211
Ⅳ. 결론 및 제언 217
1. 결론 217
2. 제언 220
1) 현장 실천을 위한 제언 220
2) 상호작용 의례 이론의 한계 및 탐색을 위한 제언 225
참고문헌 229
부록 248
Abstract 254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33939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상호작용 의례-
dc.subject운동부-
dc.subject정서-
dc.subject상징-
dc.subject도덕성-
dc.subject뒤르켐-
dc.subject고프먼-
dc.subject콜린스-
dc.subject.ddc796-
dc.title운동부의 상호작용 의례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Interaction Ritual of Athletic Team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ae Hee Jeon-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체육교육과-
dc.date.awarded2018-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