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철학 고전 주해 방법론 연구 ; 불교의 경전 주해 전통과 그 방법론적 특징 : The Buddhist Commentarial Tradition and its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은수-
dc.date.accessioned2009-11-23T23:25:52Z-
dc.date.available2009-11-23T23:25:5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citation철학사상, Vol.26, pp. 3-26-
dc.identifier.issn1226-700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108-
dc.description.abstract불교의 전통 교학은 문헌을 통해 전승되어 왔으며 이들 문헌들
은 그 내용과 기술방식의 차이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소위 불설(佛說)을 담고 있다고 여겨지는 경(經), 그리고 경에 대한 해설로서 독립적 저술인 논(論), 그리고 경과 논에 대한 분석적 주석서로서의 소(疏), 초(抄), 기(記) 등의 다양한 형식과 기술방식의 문헌 들이 학문적 전통을 계승해 왔다. 불교는 주석 전통을 발전시킴으로써 새로운 이론과 해석이 탄생할 수 있게 하여 동아시아의 지적 전통에 역동성을 가져왔다. 한 경전이나 논서를 어떤 주석에 따라서 해석하느냐에 따라 학파가 나뉘고 전통이 바뀌었다. 주
석은 단지 경전에 대해 부수적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교리와 이론에 새로운 해석을 가함으로써 이전의 전통에 대해 도전과 변화를 가져왔다. 본 논문은 불교의 주석전통에 대하여 원효와 기타 동아시아의 주석가들의 예를 들어 주석의 종류, 구조, 형식적 특성, 그리고 그 의의를 밝힌다. 나아가 주석서란 모호하거나 문제점이 있는 경전의 구절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이었을 뿐 만 아니라 자신이 속한 학문적 입장을 다른 이들과 차별화 시키는 수단이었으며, 수많은 주석가들은 이러한 복잡하고도 치열한 해석 활동을 통해 자신의 학문 전통을 구축해 나갔음을 밝힌다.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dc.subject전통교학-
dc.subject주석-
dc.subject경(經)-
dc.subject론(論)-
dc.subject소(疏)-
dc.subject과판 (科判)-
dc.subject과문(科文)-
dc.title철학 고전 주해 방법론 연구 ; 불교의 경전 주해 전통과 그 방법론적 특징-
dc.title.alternativeThe Buddhist Commentarial Tradition and its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 Eun Su-
dc.citation.journaltitle철학사상-
dc.citation.endpage26-
dc.citation.pages3-26-
dc.citation.startpage3-
dc.citation.volume2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