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문자메시지 기반 모바일 헬스에 대한 인식도 조사: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 지역 임산부를 대상으로 : Factors affecting women's perceptions on text message-based mHealth in Dar es Salaam, Tanzani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경호

Advisor
김선영
Major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Issue Date
2018-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모바일 헬스mHealth탄자니아여성 및 임산부기술수용모형인지된 유용성인지된 용이성정서적 이미지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2018. 2. 김선영.
Abstract
세계은행 자료에 따르면, 탄자니아의 모바일 기기 보유율(mobile subscriptions)은 최근 눈에 띄게 증가하여 2016년 통계 기준, 100명당 74명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orld Bank, 2016). 이는 탄자니아가 개발도상국이지만 상당히 높은 수준의 모바일 기기 접근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하지만 높은 모바일 기기 접근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직접 건강정보를 전달하고 사용할 수 있게끔 하는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문헌고찰에 따르면, 자원이 부족한 중저소득국가에서는 아동과 모성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예방접종율을 높이는 데 모바일 헬스 사용이 효과적이라고 강조한다(Kim et al., 2017
Watterson et al., 2015). 그런데, 탄자니아에서는 아직 예방접종율 향상을 위한 모바일 헬스를 접목시킨 상황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탄자니아에서 모바일 헬스 기술을 예방접종율, 특히 모성예방접종율 향상을 위한 보건사업에 접목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현지 여성들의 생각과 태도를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수행에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두가지 파트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첫번째 파트에서는 Davis(1989)의 기술수용모형의 이론적인 틀에 사용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을 척도로 활용하여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 지역 임산부 및 최근 출산 경험여성이 모바일 기기로 건강관련 문자 메시지를 받는 것에 대해 느끼는 인식도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들을 Ordinary least squares(OLS)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기술수용모형에서 인지된 유용성은 정보 시스템 이용이 사용자의 작업 수행능력을 높여준다고 생각하는 믿음이라고 정의된다. 인지된 용이성은 사용자가 해당 기술을 사용함에 있어 노력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에 대한 믿음의 정도라고 정의되며 이 두 신념이 사용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곧 사용의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한다 (Davis et al., 1989).
두번째 파트에서는 모바일 헬스에 대한 대상자들의 첫인상 즉 정서적 이미지를 파악하고 이를 평가하고자 -3점에서 +3점 척도로 파악 하였다. 탄자니아 여성들의 모바일 헬스에 대한 정서적 이미지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부정적인 응답과 중립적인 응답을 제외한 나머지 약간 긍정(+1), 긍정(+2), 매우 긍정(+3)을 종속변수로 그룹화 하여 순서형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즉, 정서적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한단계 증가할 때마다 가장 영향을 미치는 신념이나 외부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파트를 분석한 결과, 인지된 유용성과 가장 관련 있는 영향요인은 인지된 용이성(β=0.557, p<0.001)으로 나타났고, 인지된 용이성의 경우, 인구사회학적 변수 중 교육수준(β=1.807, p=0.0083)과 결혼 유무(β=2.708, p= 0.0028)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파트의 모바일 헬스에 대한 정서적 이미지와 관련한 분석에서는 긍정적 평가가 한단계 증가하는데 있어 유의한 영향을 주는 신념을 파악하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들을 통제변수로 놓고,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을 총 4가지 모형으로 분석하여 각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4가지 모형 중 인지된 유용성(OR=1.21, p<0.001)과 인지된 용이성을 함께 사용한 모형이 정서적 이미지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취약계층으로 여겨질 수 있는 탄자니아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대상자들의 전반적인 특성과 인식 및 정서를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탄자니아 임산부 및 출산 경험 여성만을 대상으로 모바일 헬스관련 기술수용모형의 일부를 접목한 실증연구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모바일 헬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질적 연구를 통해 대상자들의 명확한 필요와 수용의도를 파악하여 가능성 있는 접근법을 제시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대상자가 직접적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모성예방접종 사업과 같은 정책이나 연구의 홍보 및 교육 프로그램 기획 시 모바일 헬스를 접목함에 있어 중요한 접근법 및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191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