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동기 빈곤이 청년기 노동시장 성취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hildhood Poverty on Labor Market Outcomes of Young Adulthoo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인회-
dc.contributor.author이다윗-
dc.date.accessioned2018-05-29T04:31:03Z-
dc.date.available2018-05-29T04:31:03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other00000014985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2109-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2018. 2. 구인회.-
dc.description.abstract청년층이 노동시장에서 경험하고 있는 어려움은 점차 심화되고 있다. 청년 실업, 비정규직, 저임금 일자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청년층 사이에서 노동시장 성취 격차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청년층이 경험하는 어려움이 심화되자, 이들의 노동시장 상황 및 노동시장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성인기의 성취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어 온 것은 아동기의 빈곤 상태이다. 아동기는 신체, 정서, 인지 등 다양한 영역의 발달이 이루어지는 결정적인 시기로, 이 시기에 경험한 빈곤은 인적자본을 포함한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그것이 이후 청년기의 낮은 노동시장 성취로 이어진다.
만약 아동기 빈곤 경험과 같이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불이익으로 인해 이후의 성취가 제한된다면, 이에 대한 보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기회의 평등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생애 초기의 빈곤 경험이 개인의 생애 전반의 삶의 질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이후 자녀에게도 그 부정적인 영향이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아동기 빈곤이 청년기 노동시장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해야 할 것이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1차에서 11차 자료 및 18차 자료를 이용하여 만 8세에서 17세에 경험한 빈곤이 만 25세에서 34세의 노동시장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빈곤의 영향이 인적자본 변수인 교육수준을 통제하였을 때에도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빈곤층 내부의 이질성을 고려하여 아동기 빈곤 심도와 빈곤 기간에 따라 청년기 노동시장 성취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고용상태의 경우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임금과 근로시간의 경우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교육수준을 통제하였을 때에도 아동기 빈곤이 청년기 노동시장 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교육수준을 포함하지 않은 모형과 교육수준을 포함한 모형을 차례로 분석하여 아동기 빈곤의 총효과와 교육수준을 통제했을 때 나타나는 직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빈곤은 청년기 실업의 가능성을 높이지는 않았지만, 구직단념자로 정의된 NEET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수준을 포함한 경우에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다음으로 아동기 빈곤은 청년기 임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수준을 추가적으로 통제하자 아동기 빈곤의 영향은 사라지고 교육수준만이 임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기 빈곤은 청년기 임금에 간접적인 영향만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아동기 빈곤이 청년기 근로시간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하기 어려웠다.
둘째, 교육수준을 포함하지 않은 모형과 포함한 모형 모두에서 아동기 극빈층의 경우 일반빈곤층, 저소득층, 비빈곤층에 비해 실업의 가능성이 낮았으며, NEET의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기 극빈층은 다른 집단에 비해 청년기 임금이 낮았으며, 교육수준을 포함한 모형에서도 아동기 극빈층은 저소득층, 비빈곤층에 비해 청년기 임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빈곤 심도에 따른 임금 차이는 교육수준을 통제한 경우에도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교육수준을 포함하지 않은 모형과 포함한 모형 모두에서 아동기 빈곤 심도에 따른 청년기 근로시간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셋째, 아동기 빈곤 기간에 따른 실업 가능성의 차이는 교육수준을 포함하지 않은 모형과 교육수준을 포함한 모형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았으며, 장기빈곤과 단기빈곤 사이의 NEET 가능성의 차이 역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빈곤 기간은 청년기 임금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을 포함하지 않은 모형과 포함한 모형 모두에서 장기빈곤은 단기빈곤, 비빈곤에 비해 임금 수준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교육수준을 포함하지 않은 모형과 포함한 모형 모두에서 아동기 빈곤 기간에 따른 청년기 근로시간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아동 빈곤의 감소를 위한 전략을 강화하고, 빈곤층 내부의 이질성을 고려하여 정책을 설계해야하며, 빈곤 아동의 인적자본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개입이 필요함을 함의로 제시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dissertation aims to find effects of childhood poverty on labor market outcomes of young adulthood and to estimate the differences among their labor market outcomes by the depth and duration of childhood poverty.
The difficulties that young men face in labor market increase gradually. Unemployment among the young has risen, and there exists a huge number of discouraged youth since the 2008 financial crisis. In addition, the wage gap of employees has widen, which means inequality in labor market outcomes is growing. Therefore, many studies on the factors influencing labor market outcomes has been conducted. However, there is few studies that find the effect of childhood poverty on labor market outcomes of young adulthood in Korea. Childhood poverty can affect labor market outcomes because it has on negative impact on child development and their human capital.
If childhood poverty negatively affects labor market outcomes of young adulthood, we can say inequality of opportunity prevails throughout the society because ones achievements are determined by uncontrollable factor. In addition, the poverty that experienced in early life can negatively affect achievements and quality of life in whole life. This low achievements can also be pasted down to their children. Therefore, to guarantee equality of opportunity, to improve individuals quality of life, and to break out of a vicious circle of poverty, it is necessary to conduct the study on the effect of childhood poverty on labor markets attainment of young men.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sed the 1998-2007 and 2015 data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The purposes of this analysis are to verify childhood poverty(ages 8-17) affects the labor market attainments during young adulthood(ages 25-34) and to confirm that this effect is still significant even when the years of education variable, as human capital, is statistically controlled. Also, considering heterogeneity of the poor,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depth and duration of poverty affects labor market outcomes of the young.
Methodologically, this study performed a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whether childhood poverty(also depth and duration) affects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youth(employed, unemplyed, and NEET). Also, it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e effect of poverty(also depth and duration) in childhood on wage and hours of work in young adulthood. Moreover, to confirm that the effect of childhood poverty is still significant when education variable is controlled, it analyzed two model in order. The first model controlled family and individual background except education variable. The second model controlled all variables including education.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childhood poverty did not affect the chances of being unemployed. However, it increased the chances of being NEET. This result was same when the years of education had been controlled. Next, childhood poverty had a negative effects on wages of the youth. Concretely, the youth who had experienced poverty in childhood earned 8.3% less wages than the youth who had not being poor in childhood. However, the effect of childhood poverty disappeared when the years of education had been controlled, so that childhood poverty only had indirect effect on wages. Meanwhile, childhood poverty was not associated with hours of work in both two model.
Secondly, the depth of poverty affected the employment status. Concretely, the young who had experienced extreme poverty had lower chances to be unemployed and higher chances to be NEET than others. This result remained same in second model. Next, the depth of poverty also affected wages. The extreme poverty group earned the lowest wages than other groups. This result was also same in education-included model. However, in the case of hours of work,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pth of poverty in both two model.
Lastly, the duration of poverty did not affect the chances of being unemployed.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long-term poverty and short-term poverty in terms of the chance of being NEET. This result was same when the years of education had been controlled. Next, the duration of poverty negatively affected wage in both two model. The youth who had experienced long-term poverty earned less wage than who had experienced short-term or no poverty. However, the duration of poverty was not associated with hours of work in both two model.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enhancing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Protection Program and introducing a anti-poverty program which consider families who live with children. Also, it suggests that policies need to be designed to reflect the heterogeneity of the poo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1
제 2 절 연구문제 7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8
제 1 절 청년기의 노동시장 성취 8
제 2 절 아동기 빈곤이 청년기 노동시장 성취에 미치는 영향 12
1. 아동기 빈곤 경험이 청년기 노동시장 성취에 미치는 영향 12
2. 아동기 빈곤의 심도와 기간에 따른 청년기 노동시장 성취 17
제 3 절 선행연구 검토 20
1. 국외 선행연구 20
2. 국내 선행연구 24
제 4 절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28

제 3 장 연구방법 32
제 1 절 분석자료 및 분석대상 32
1. 분석자료 32
2. 분석대상 33
제 2 절 변수의 정의 및 측정 35
1. 종속변수 35
2. 독립변수 36
3. 통제변수 38
제 3 절 분석방법 43

제 4 장 분석결과 45
제 1 절 기초통계 45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5
2. 아동기 빈곤에 따른 청년기 노동시장 성취의 비교 50
제 2 절 가설검증 54
1. 아동기 빈곤이 청년기 노동시장 성취에 미치는 영향 54
2. 아동기 빈곤 심도에 따른 청년기 노동시장 성취 차이 68
3. 아동기 빈곤 기간에 따른 청년기 노동시장 성취 차이 79

제 5 장 결론 90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90
제 2 절 연구의 함의 95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101

참고문헌 103
Abstract 116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6697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아동기 빈곤-
dc.subject노동시장 성취-
dc.subject청년기-
dc.subject빈곤 심도-
dc.subject빈곤 기간-
dc.subject교육수준-
dc.subject.ddc360-
dc.title아동기 빈곤이 청년기 노동시장 성취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Childhood Poverty on Labor Market Outcomes of Young Adulthood-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David-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8-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