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Factors related to clinical severity of acute gastroenteritis in hospitalized children : 소아 급성 위장관염의 중증도 관련 인자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아리

Advisor
고재성
Major
의과대학 의학과
Issue Date
2018-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Acute gastroenteritisclinical severityagerotavirusnorovirusco-infectionClostridium difficileChildre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18. 2. 고재성.
Abstract
서론
본 연구에서는 소아 급성 위장관염의 임상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숙주 및 병원체 관련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장염으로 입원한 소아 환자들의 modified Vesikari score가 포함된 임상 정보와 대변 검체를 수집하였다.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Clostridium difficile을 포함한 장병원성 세균 및 바이러스를 검출하였다.
결과
총 415명의 환자 중 282명(68.0%)의 대변 검체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이 중 24명 (8.5%)은 두 가지 이상의 바이러스와 중복 감염을 보였으며, 26명 (9.2%)은 C. difficile과 중복 감염을 보이고 있었다. 가장 흔한 감염원은 노로바이러스 (n = 130)였으며, 24개월 미만의 환자에게서 유의하게 높게 보고되었다 (P < 0.001). 로타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포함한 다른 중증도 관련 요인을 보정하였을 때 24개월 미만의 연령에서 더 심한 설사와 (P < 0.001) 더 높은 modified Vesikari score (P = 0.001)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로타바이러스 감염 환자의 연령은 다른 바이러스 감염 환자에 비해 높은 편이었지만 (P = 0.001), 로타바이러스의 검출 여부는 modified Vesikari score를 포함한 모든 중증도 변수 중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였다 (P < 0.001). 바이러스 간의 중복 감염이나 C. difficile 과의 중복 감염은 임상 중증도와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소아 급성 위장관염의 임상 중증도 관련 인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소아 급성 위장관염 환자의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We aimed to investigate host- and pathogen-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clinical severity of acute gastroenteritis (AGE) in hospitalized children.
Methods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3, fecal samples and clinical information including modified Vesikari scores were collected from children who were hospitalized with AGE. The presence of enteric viruses and bacteria including toxigenic Clostridium difficile was detec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Among the 415 children included, virus was detected in stool of 282 (68.0%) children. Co-infection with more than two viruses and toxigenic C. difficile were found in 24 (8.5%) and 26 (9.2%) children with viral AGE, respectively. Norovirus (n = 130) infection, including norovirus-associated co-infection, was the most frequent infection, especially in children aged < 24 months (P < 0.001). In the severity-related analysis, age < 24 months was associated with greater diarrheal severity (P < 0.001) and modified Vesikari score (P = 0.001), after adjustment for other severity-related factors including rotavirus status. Although the age at infection with rotavirus was higher than that for other viruses (P = 0.001), rotavirus detec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for all severity parameters, including modified Vesikari score (P < 0.001). Viral co-infection and toxigenic C. difficile co-detection were not associated with any severity-related parameter.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clinical severity related factors of childhood gastroenteritis, and this information will be helpful in the management of childhood AGE.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423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