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문법 교육을 위한 교사용 교과내용지식 연구 -음운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ubject Matter Knowledge for Korean Grammar Teachers: Focusing on Phonology Educa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본관-
dc.contributor.author이해숙-
dc.date.accessioned2018-11-12T01:02:50Z-
dc.date.available2018-11-12T01:02:50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other00000015345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3386-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2018. 8. 구본관.-
dc.description.abstract수업의 참된 즐거움은 이벤트나 언어유희에서 오기보다는 교과 내용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교사, 학생, 교과 내용 간의 유대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데에서 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교사는 학생의 돌발적인 반응과 질문에 개방적인 태도를 지니고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교과 내용에 대해 충분하고 철저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학생의 반응과 질문을 기민하게 수업 내용으로 끌어오기 위해서는 학생이 교과 내용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도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문법 교육에서 교사용 교과내용지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는 음운 교육 분야에서 학생이 많이 제기 하는 의문과 요구를 추출하고, 학생의 의문과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교과내용지식이 실제로 교사들에게 충분히 있는지 확인하며, 교사들로부터 그들에게 부족한 지식과 그들이 지닌 공유할만한 지식을 조사하여, 교사에게 제공할 문법 교육 교과내용지식을 정리하고, 이를 유형화한다. 아울러 교사들의 교과내용지식이 생성되고 소멸되고 재충전되는 획득 과정을 살펴보고, 교사에게 교과내용지식이 부족해지는 원인을 조사하여, 교사 교육을 통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이에 Ⅱ장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문법 교육을 위한 교사용 교과내용지식의 개념을 정립하고, 교사용 교과내용지식 연구를 위해 학생의 이해에 대한 지식을 연구해야 하는 이유를 제시하였다.

III장에서는 음운교육을 위한 교사용 교과내용 지식을 선정하는 원리를 제시한 후, 학생 의문과 학생 요구 조사를 통해 학생의 이해에 대한 지식을 연구하고, 교사 설문과 면담을 통한 교과내용지식 연구를 실시하였다.

일반고 학생들은 음운론을 학습하는 이유, 현실에서 구별하기 힘든 표준 발음의 실연, 표기와 발음이 다른 이유 등을 가장 궁금해하였다. 이들은 기초적이고 근본적인,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내신 시험이나 수능 시험에 출제되는 음운 체계표나 개별 음운 변동에 밀려 잘 다루지 않는 사항들이다. 요구 면에서는 예외에 대한 설명 요구, 풍부한 예시 요구, 자세한 개념 설명이 상위 요구였는데, 주로 교과서 학습 내용에 관계된 것이어서 일반 내용 지식과 직결된 전문화된 내용 지식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고 학생들와 과학고 학생들의 의문과 요구는 공통적인 부분도 있고, 차이점도 있었는데, 결국 교사가 가져야 할 전문화된 내용 지식도 공통적으로 갖추어야 할 부분과 학생의 개별성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이 있다. 과학고에서는 학생들이 좀 더 심도 있는 탐구를 하도록 교과내용지식의 깊이를 조정해야 한다.

교사 대상 양적 연구 결과 교사들은 31개의 모든 의문에 대해 교사라면 이 정도 질문에 대한 답은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의 요구에 깊이 공감하고 있었다.

교사 대상 질적 연구 결과 음운 교육을 위한 교사용 문법 교과내용지식의 내용 실체(substance)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교사들은 일부 내용에 대해 충분한 교과내용지식을 지니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용 문법 교과내용지식의 하위 영역으로는 해당 문법 교육 목적 지식, 문법에 대한 사회구성주의적 지식, 범위를 조정한(modified) 학문적 문법 지식, 어문 규정 지식, 어문 규정에 맞는 언어 실행 지식이 있었다. 교사용 문법 교과내용지식은 교사에게 자신감의 원천이 되며 수업 디자인에 자신의 가치관을 반영할 수 있게 하는 힘이 되며 수업이 필수조건이자 바탕이다.

문법 교육의 교사 지식 하위 영역들은 볼(Ball, D. L.)의 교사 지식 이론의 틀에 제각각 포함되므로 전체적으로는 문법 교과만의 교사 지식 이론이 따로 존재한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세부적으로는 전문화된 내용지식 면에서 문법 교육만의 특화된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활용한 교사 교육 방안은 일반 내용 지식과 전문화된 내용 지식을 구분하기, 학생의 이해에 대한 지식→전문화된 내용 지식(교수법 지식)→지평내용 지식의 순으로 가르치기, 학생의 의문에 답하는 것을 미리 연습하기 등이 있다. 두 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 교육 방안에 따라 대화형 교육을 실시한 결과, 명시적 지식 제공의 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참여 교사는 잘못된 문법 지식을 수정하고 지식을 수업에 적용할 방안을 마련하였으며 교사 교육 후에 정서적으로도 큰 만족감을 표했다.

종합적으로 이 연구는 문법교육만의 특별한 교과내용지식이 존재한다는 것을 드러내었고, 일반 내용 지식과 전문화된 내용지식을 구분하여 교사들이 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교사에게 교사용 문법 교과내용지식을 교육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그 효과를 보인 점에서 의의가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 연구 9

(1) 문법 교사의 개념과 양성에 대한 연구 9

(2) 문법 교육을 위한 교사 지식 전반에 대한 연구 11

(3) 문법 교육을 위한 교사 지식의 하위 영역의 내용에 대한 연구 14

(4) 음운 교육의 교수 학습에 대한 연구 16

3. 연구 목적별 조사 및 연구 방법 17



II. 교사용 문법 교과내용지식 연구의 이론적 배경 22

1. 철학적 관점에서 분류한 지식의 종류 22

2. 교사 지식의 종류 25

(1) 슐만의 교사 지식 이론 25

(2) 볼의 교사 지식 이론 27

(3) 용어 선택 및 번역 용어 선택의 이유 30

3. 교사용 교과내용지식의 개념과 필요성 32

(1) 교과내용지식의 개념 32

(2) 교사용 교과내용지식의 중요성 33

(3) 교사용 교과내용지식과 학생의 이해에 대한 지식 38



III. 교사용 문법 교과내용지식의 선정 40

1. 음운 교육을 위한 교사용 교과내용지식 선정의 틀 40

(1) 선정 원리 40

(2) 선정 대상 41

(3) 선정 과정 43

2. 예비 조사 방법과 결과 44

3. 학생의 의문과 요구 46

(1) 학생 대상 양적 조사의 방법 46

(2) 학생 의문의 우선 순위 54

(3) 학생 요구의 우선 순위 59

(4) 학생들이 취약한 지식의 범주 63

4. 학생들의 의문과 요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64

(1) 교사 대상 양적 조사의 방법 64

(2) 학생 의문 해결을 위한 지식의 필지(必知) 정도에 대한 판단 65

(3) 학생 요구에 대한 교사의 공감 정도 68

5. 문법 교과내용지식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지식 보유 상태 75

(1) 교사 대상 질적 조사의 방법 75

(2) 교사용 문법 교과내용지식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82

(3) 문법 교사들이 보유한 교사용 교과내용지식 107

6. 음운 교육을 위한 교사용 문법 교과내용지식의 실체 126



IV. 교사용 문법 교과내용지식의 부족 원인과 하위 영역 167

1. 교사용 문법 교과내용지식의 부족 원인 167

(1) 교사의 자기고양적 사고 167

(2) 학생, 교사, 학자, 대학교육 간의 악순환 169

2. 교사용 문법 교과내용지식의 하위 영역과 그 관계 177

(1) 해당 문법 교육 목적 지식 178

(2) 문법에 대한 사회구성주의적 지식 185

(3) 범위를 조정한 학문적 문법 지식 186

(4) 어문 규정 지식 187

(5) 어문 규정에 맞는 언어 실행 지식 188



V. 교사용 문법 교과내용지식을 활용한 교사 교육 방안 194

1. 교사 교육 연구의 전제 194

2. 문법 교육을 위한 교사용 교과내용지식 교육의 설계 195

(1) 교육 목표 195

(2) 교육 방향 196

(3) 교육 순서 197

(4) 교육 방법 197

(5) 교육 내용과 예시 198

3. 교사 교육의 실제 207

(1) 교사 교육 대상과 과정 207

(2) 교사 교육 결과 분석 210



VI. 결론 226





참고문헌 235



ABSTRACT 245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10.7-
dc.title문법 교육을 위한 교사용 교과내용지식 연구 -음운 교육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Subject Matter Knowledge for Korean Grammar Teachers: Focusing on Phonology Education-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국어교육과-
dc.date.awarded2018-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