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산수화에 나타난 유(遊)의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 : Expression of Wandering (yu) in Landscapes Focusing on My Painting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병종-
dc.contributor.author조인호-
dc.date.accessioned2018-11-12T01:03:16Z-
dc.date.available2018-11-12T01:03:16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other00000015257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3406-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술대학 미술학과, 2018. 8. 김병종.-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필자가 2006년부터 2018년까지 제작한 산수화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본인이 제작한 작품과 작품 활동의 분석을 통하여 작품 창작의 배경과 동기, 작품의 내용, 표현 기법과 조형적 특징, 작품이 갖는 의의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유(遊)를 본인 작품의 내용과 형식, 나아가 작품과 작품 활동이 갖는 의의를 밝혀줄 핵심 개념으로 논의할 것이다. 본인의 조형 활동과 관련된 체험, 표현, 감상(전시)은 모두 유로 설명될 수 있다. 유를 논함에 있어 기존 연구와 달리 장자(莊子)의 전통적 개념에 국한하지 않고, 현대적인 맥락에서의 의미도 고찰한다.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는 데 있다. 첫째, 유의 정의는 무엇이며, 어떤 의미들이 있는가? 둘째, 유의 예술적인 심미성(審美性)은 무엇인가? 셋째, 산수화에서 유는 어떻게 구현되며 표현되고 있는가? 넷째, 본인의 작품에서 유의 표현은 어떠한가? 다섯째, 본인의 산수화가 갖는 전통성, 현대성, 독창성은 무엇인가?

제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 대상과 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고, 연구의 중요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유의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유의 자원(字源)을 살펴본 후 뜻과 용례들을 분석하여 의미를 계통화하여 제시하였다. 유의 유가적 의미는 첫째, 변화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유, 둘째, 수양(修養)의 방법으로써 사용되는 유, 셋째, 경계(警戒)의 대상이 되는 유로 분석되었다. 도가적으로는 첫째, 물성으로부터의 자유, 둘째, 세속으로부터의 초월, 셋째 생명성의 회복과 양생이라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중국의 화론을 대상으로 유의 심미성을 분석하였다. 미술 활동을 체험, 표현, 감상으로 나누어 유의 심미성을 살펴보았다. 유람(遊覽)을 통해 자연과 일체가 되고 도를 체득한 듯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작품을 제작할 때, 자유롭게 붓을 놀리고[筆遊], 마음을 놀리고[心遊], 정신을 놀리며[神遊], 하늘과 노니는[天遊] 경지에 이르면 도(道)와의 일체감을 맛보게 된다. 작품 감상의 맥락에서 와유(臥遊)는 상상과 회상을 통하여 도를 체득하는 길을 열어 준다.

Ⅳ장에서는 황공망의 , 조세걸의 《곡운구곡도첩》, 정선의 《해악전신첩》을 대상으로 작품에 나타난 유의 구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에서는 황공망이 유하면서 마주했던 산수가 평담천진(平淡天眞)하게 표현되었다. 곡운구곡과 농수정의 실제 풍경이 자세하게 묘사된 《곡운구곡도첩》에서는 산수가 초상화처럼 핍진하게 기록되었다. 《해악전신첩》에서는 작가 정선과 산수의 정신이 조화롭게 전신(傳神)되었다.

제Ⅴ장에서는 본인의 작품에 나타난 유의 표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인의 산수화에는 유를 통하여 삶의 고통을 치유하고 생명성을 회복했던 본인의 경험이 담겼다. 그리고 산수화에는 유한 경로와 사건이 기록되었고, 심미 체험이 표현되었다. 이 과정에서 본인이 사용했던 필묵법, 준법, 수지법, 여백을 분석하고 그 조형적인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제Ⅵ장에서는 본인의 산수화가 유, 자연, 예술과 관련하여 동아시아의 전통적, 보편적 가치뿐만 아니라, 한국의 21세기적 특수성까지 반영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본인은 전통 산수화를 계승함과 동시에 산수화의 현대적인 내용과 형식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를 계기로 작품 세계를 더욱 풍부히 하고 산수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ⅰ

목 차 ⅲ

도판목록 ⅴ

작품목록 ⅹ

사진목록 ⅹⅴ

그림 및 표 목록 ⅹⅴⅲ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내용 및 방법 2

3. 연구의 중요성 5



Ⅱ. 유(遊)의 의미 8

1. 유의 뜻 9

가. 유의 어원 9

나. 유의 용례 13

2. 유가적 의미 22

가. 변화의 원인 22

나. 수양(修養) 24

다. 경계(警戒)의 대상 34

3. 도가적 의미 39

가. 물성으로부터의 자유 39

나. 세속으로부터의 초월 44

다. 생명성의 회복과 양생 53

Ⅲ. 화론에 나타난 유의 심미성(審美性) 62

1.유람(遊覽)을 통한 도의 체득 63

2.필유(筆遊)를 통한 유희 74

3.와유(臥遊)를 통한 상상과 회상 86



Ⅳ. 산수화에 내재된 유의 구현 97

1. 평담천진 : 황공망의 99

2. 기록산수 : 조세걸의《곡운구곡도첩》 110

3. 산수전신 : 정선의《해악전신첩》 121



Ⅴ. 본인의 작품에 나타난 유의 표현 136

1. 치유와 생명성의 회복 137

가. 산수체험을 통한 생명성의 회복 137

나. 창작을 통한 감정의 발산과 치유 159

다. 전시를 통한 관계성의 회복 174

2. 경험의 기록과 체험의 표현 185

가. 경로의 기록 186

나. 사건의 기록 199

다. 심미 체험의 표현 209

3. 표현 기법과 조형적 특징 217

가. 필묵법(筆墨法) 217

나. 준법(皴法) 239

다. 수지법(樹枝法) 259

라. 여백(餘白) 272



Ⅵ. 결 론 280



참고문헌 284

Abstract 295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50-
dc.title산수화에 나타난 유(遊)의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Expression of Wandering (yu) in Landscapes Focusing on My Painting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 IN HO-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미술대학 미술학과-
dc.date.awarded2018-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