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학 졸업자들의 직업선택 동기에 따른 취업 성과 분석 : Analysis of Employment Outcome of University Graduates by Career Choice Motiva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정철-
dc.contributor.author추가람-
dc.date.accessioned2018-12-03T02:06:25Z-
dc.date.available2018-12-03T02:06:25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other00000015256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4416-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행정전공), 2018. 8. 신정철.-
dc.description.abstract한국 사회의 취업 시장은 연일 한파와 과열의 공존을 겪으며, 취업을 준비하는 대졸자들은 초조한 마음으로 여기저기 원서를 넣고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진지하게 자신의 적성이나 흥미 혹은 현 상황을 고려한 취업 준비가 이루어지는지는 의문이다. 뚜렷한 직업선택 동기가 없이 어디든 합격하기만 하면 일단은 취업의 문을 넘는 것으로 생각하여 여러 곳에 동시다발적으로 지원하고 유사 기업 및 기관에 중복 합격하게 된다. 물론 개인에게는 취업할 기업에 자유롭게 지원할 권리가 있다.

그러나 그것이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상당하다면, 어느 정도 제재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공공기관의 합동채용제도 도입을 사례로 들 수 있을 것이다. 가령, 기업 차원에서는 입사 후 교육훈련 비용과 신규채용에 들어가는 비용이 추가 발생할 것이며, 기업과 해당 기업에 보다 높은 헌신을 할 수 있는 취업준비생의 기회를 빼앗는 일이 발생하기도 할 것이다. 아울러 개인적으로도 명확한 동기 없이 취업을 결정하게 될 경우, 직무에 만족하지 못하거나 회사적응에 있어 고충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조직 적응과 관련하여 조기퇴사 및 이직은 또 하나의 사회적 문제 중 하나이다. 조기퇴사나 이직은 개인이 조직에 적응하지 못했다는 점을 반증하는 지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조기퇴사의 가장 큰 이유로 조직 및 직무적응 실패가 약 50%를 차지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개인이 가진 직업선택 동기에 의거하여 취직할 직장을 선택했다기보다는 무언가에 쫓기듯이 취업소요기간만을 단축하기 위해 고려 대상에 없던 회사에 취직했을 확률이 높다는 사실을 반증하기 때문이다.

가령 개인이 가진 직업선택 동기는 향후 취업을 해서 성과를 내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간과한다면 개인 차원에서의 취업 성과나 사회적 차원에서의 생산성 모두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개인이 가진 동기와 그에 따른 선택에 의해 성과가 상이하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이 어떠한 동기를 가지고 취업할 때 그 성과는 어떻게 달라지며 어떠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지 파악하는 일은 중요한 과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관심변수인 직업선택 동기 변수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활용한 데이터 내의 일자리 고려 항목 중요 정도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네 가지의 유형의 직업선택 동기를 구성하였다. 각각은 위세동기, 환경동기, 업무동기, 발전동기이다. 다음으로 종속변수인 취업성과를 살펴봄에 있어 사회인지진로이론과 인적자본 이론의 관점에서 대졸자의 직업선택 동기가 각각의 종속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아울러 동기의 차별적 효과를 분석하여 동기가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위한 학교 및 개인 수준의 특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여기서 취업성과는 직무만족도와 임금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연구방법으로는 첫 번째 연구문제인 배경변인에 따른 직업선택 동기 유형 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두 번째와 세 번째 연구문제인 직업선택 동기가 주관적 취업 성과와 객관적 취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선형 회귀 분석과 위계적 선형 모형(HLM)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 기업특성, 학교특성에 따른 직업선택 동기의 유형별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개인특성 중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발전동기가 높았으나, 위세동기와 환경동기는 낮았다.

기업특성 중 사업체 규모에 따라서는 대기업일 경우 중소기업 종사자에 비해 환경동기와 발전동기는 높았으나, 업무동기는 낮았고 사업체 유형에 따른 직업선택 동기의 차이를 보았을 때, 위세동기와 업무동기만이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였다.

학교 특성에 따른 직업선택 동기 유형 간 차이를 보면, 국공립 여부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업무동기 뿐이었다. 본·분교여부에 있어서 본교는 분교보다 위세동기와 업무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학교유형에 따른 차이는 발전동기에서만 나타났고 학교소재지의 경우 모든 동기 유형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직업선택 동기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다음과 같다. 네 가지 직업선택 동기의 유형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환경동기는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나머지 동기 유형은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직업선택 동기에 따른 임금성과는 다음과 같다. 다른 모든 투입변수가 통제된 상태에서 위세동기와 업무동기만이 유의한 수준에서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동기의 부호는 반대였으며, 위세동기가 한 단위 증가함에 따라 임금은 2.2% 증가하는 반면, 업무동기가 증가함에 따라서 임금은 1.3%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연구결과를 통해 논의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우선,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직업선택 동기의 영향에 대해 논의해보자면, 보편화된 고등교육 안에서 대학의 학부 과정은 연구를 위한 목적보다는 취업을 위해 준비하는 과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실상 직업교육을 위한 정규 커리큘럼은 4년제 대학에서는 거의 없다. 이는 기업이 대학교육과 실무의 괴리를 지적한 사실로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 차원의 정규 직업교육이 각 전공의 특성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개인의 동기란 고정된 것이 아니라 변할 수 있는 가치관이기에 직업교육을 통해 그들이 원하는 직업과 직업생활을 미리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개인의 만족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재적 동기 중 높은 자기 효능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으로 직업선택 동기에 따른 객관적 성과인 임금 성과에 대해 살펴보자면, 대학 차원에서의 직업교육 및 취업지원에 있어 개인의 직업선택 동기를 고려한 교육 및 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대학이 제공해야 할 서비스의 하나로 혹은 대학의 책무 중 하나로 이 문제를 끌어들인다면, 개인차원에서의 이중 소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보다 건전한 취업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대학생의 취업 사교육, 입사 후 적응 및 이직과 관련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학 차원에서 개인의 선택에 관여하여 조언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
dc.description.abstractIn Korean society, the job market condition is still not favorable to those who are finding a position. People who would like to get a job are getting nervous as their jobless duration become longer. Thus, considering these circumstances, it should be asked that they really considered their aptitude, interest and their own motivation while finding a job. If they only have a thought that they just wanted to get a job as they do not want to be a jobless person, they would make this condition worse since they have to move to another company because of low satisfaction which makes them discouraged and dispirited. This kind of problem, such as dropout from a company or changing jobs can affect ones satisfaction or happiness, moreover it can also affect companys productivity directly.

Especially, the main reason of early resignation is failure in organization and job adaptation. It is noticeable since it can be an evidence that they did not really considered their motive and just sought for a job to find a workplace quickly.

Career choice motivation can be a main determinant of employment outcome, so it should not be overlooked. It is important to find which factors are crucial to make a higher outcome and which career choice motive can affect the outcome. This is because everyone has a different career choice motivation and they make a choice differently.

To find out which career choice motivation can affect employment outcome, this research has used GOMS(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from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o look at employment outcome, a dependent variable, this research has used Human Capital Theory and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lso to find out differential effect, this research analyzed the motivation by inputting personal(which also includes family background and corporal background) and school level variables. Employment outcome can be divided as objective outcome and subjective outcome. This research has used income as an objective outcome and satisfaction at the job as a subjective outcome to care the quality of outcome more profoundly.

The research design and its results is explained from microscopic viewpoint. To analyze the research,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is used to consider the hierarchical data structure. Also, F-test is used to analyze the employment outcome difference between four types of career choice motivation. Each motivation is authority motivation, work motivation, environment motivation, development motivat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the result of t-test and f-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ype of motivation by personal, corporal, school attributes. For instance, male had higher development motivation than female, but they had lower authority motivation and environment motivation. In case of corporal attributes, people who work for a large company had higher environment motivation and development motivation, but lower work motivation than who work for small company. When it comes to school attributes, public school graduates had higher work motivation than private graduates. Branch school graduates had lower authority motivation and work motivation than main school graduates. 4 year school graduates had higher development motivation than 2-3 year school graduates.

Second, job satisfaction by career choice motivation had following results. all types of motivation had an effect on satisfaction and they had a positive effects on it, except for an environment motivation. Also, other levels of variables had an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Third, wage by career choice motivation had following results.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authority motivation and work motivation had an effect on wage. However, they had a contrary effect, such as authority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and work motiv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wage. Also, other levels of variables had an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e main findings, there are policy suggestions and research suggestions. First, considering career choice motivations effect on satisfaction, there are no regular vocational education in Universitys curriculum even though todays role of University covers job preparation. Therefore, there should be a regular curricula to support the students job preparation more observantly. As motivation is not a fixed property, those education can help them to shape their better motivation for career choice.

Moreover, in individual level, one should have information about his or her job adaptation to make a better choice when getting a job. Also, corporations should use the results of NCS, which can reveal ones motive adaptation and they should offer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promotion and performance indicator. This is because the goal of the organization should match personal goal as they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hen they are matched, it could positively affect both corporation and employee.

Second, considering career choice motivations effect on ones wage and job status, the University should take account of their students career choice motivation when they offer a vocational training or support for finding a job. In addition, every job seeker should exert themselves to find what should be their goal, what should they consider for finding a job and think about the future satisfaction on his or her own career. They should prioritize their own values when they find a job. In addition, corporations should evaluate the job seekers own career choice motivation or their job values. When these conditions are fulfilled, the chance of achieving internal and external outcomes can be higher to University graduates who are seeking a job..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5

3. 연구의 의의 7

4. 연구의 제한점 8



Ⅱ. 이론적 배경 9

1. 직업선택 동기 9

가. 동기의 개념 9

나. 직업선택 동기의 개념 11

2. 취업 성과 14

3. 직무만족도와 사회인지진로이론 15

4. 임금성과와 인적자본이론 17

5. 이론적 틀 18

6. 선행연구개관 20

가. 직업선택 동기 관련 선행연구 20

나. 취업 성과 관련 선행연구 22



Ⅲ. 연구방법 24

1. 분석 대상 24

2. 분석 변수 25

3. 분석 방법 30

가. 탐색적 요인분석 30

나. T검정 및 일원분산분석 30

다. 위계적 선형 모형(HLM) 31



Ⅳ. 연구 결과 32

1. 기술 통계 32

2. 직업선택 동기 요인 도출 38

3. 직업선택 동기 유형별 배경변인 비교 40

4. 대졸자의 직업선택 동기와 직무만족도 47

5. 대졸자의 직업선택 동기와 임금 성과 50



Ⅴ. 논의 및 결론 53



참고문헌 65

Abstract 7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79-
dc.title대학 졸업자들의 직업선택 동기에 따른 취업 성과 분석-
dc.title.alternativeAnalysis of Employment Outcome of University Graduates by Career Choice Motivation-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U GA RAM-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18-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