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선진 양한 시기 동식물우언 연구 ― 《장자》, 《한비자》, 《여씨춘추》, 《회남자》를 중심으로 ― : 先秦 兩漢 時期 動植物寓言 硏究 ― 《莊子》, 《韓非子》, 《呂氏春秋》, 《淮南子》를 中心으로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아영

Advisor
김월회
Major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Issue Date
2018-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2018. 8. 김월회.
Abstract
寓言은 바깥의 것을 빌려 논한 것[藉外論之]으로 다른 것에 빗대어 한 이야기이다. 즉 직접적으로 자신이 하고자 하는 바를 전달하지 않고 은밀하게 비유의 방식으로 만들어낸 이야기이다. 우언은 춘추전국시기라는 혼란 속에서 나타나게 되었으며 당시 지식인들의 정보 전달과 설득을 위한 유용한 글쓰기 방식이었다.

기존 연구들은 전통시기 중국의 우언들을 발췌하고 목록화시키는 작업을 진행하거나 우언의 서사구조를 분석하여 이야기가 가지는 寓意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언의 서사구조를 분석할 경우 연구는 두 가지 방향으로 귀결된다. 하나는 우언을 하나의 수사 방식으로 국한하여 정의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우언을 담화 또는 글쓰기의 방식으로 가정하고 비교적 넓은 범위 하에서 정의하는 경우이다.

본 논문은 우언을 서사 양식과 관련하여 연구한 선행 연구들과는 궤를 달리한다. 다시 말해 본고에서는 우언을 글쓰기의 한 양상으로 전제하여 보다 큰 범위에서의 서사 속에 포함시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고에서는 先秦 兩漢 時期의 제자백가서 중에서 《장자(莊子)》, 《한비자(韓非子)》, 《여씨춘추(呂氏春秋)》, 《회남자(淮南子)》를 연구 대상 텍스트로 삼는다. 나아가 기존 연구에서 인물 중심의 우언을 연구한 것과는 달리 동식물을 이야기의 소재 혹은 제재로 활용한 우언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연구 대상 텍스트에서 동식물우언의 활용 여부를 판단하여 그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장자》, 《한비자》, 《여씨춘추》와 《회남자》는 선진 양한 시기의 제자백가서 중에서도 서사와 의론이 결합된 의론인 이야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텍스트이다. 그 중에서 《장자》와 《한비자》는 동식물우언에서도 의인법을 활용하여 만든 이야기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장자》와 《한비자》의 동식물우언은 의인법을 활용할 경우 우언 그 자체가 독립적으로 우의를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두 텍스트들에 실려 있는 동식물우언은 다른 이야기들과 함께 묶지 않아도 각각의 우언이 저자들이 주장하고자 하는 바를 드러낼 수 있다.

반면, 《여씨춘추》와 《회남자》는 동식물우언이 사용되었지만 의인법을 활용하여 이야기들을 구성하는 경우가 없다. 《여씨춘추》와 《회남자》의 동식물우언에서도 《장자》나 《한비자》에 실려 있는 동식물우언처럼 독자적인 우의를 가지는 우언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주목할 점은 《여씨춘추》와 《회남자》의 동식물우언은 작가의 편집 의도에 따라 다른 우의를 획득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우언이 텍스트 전반의 맥락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필요성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 양한 시기의 우언 중에서도 동식물을 활용한 우언들만을 가려 분석하였다. 동식물우언을 발췌하고 분석한 결과 그 수량은 명청시기 중국에서 《이솝우화》가 번역된 이후의 수량보다는 비교적 적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의인법이 활용된 동식물우언의 수량 역시 적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동식물우언은 전통시기 중국 특히 선진 양한 시기 다양한 모습들의 이야기가 발생하면서 만들어졌음을 증명할 수 있었다. 또한 꾸준하게 이야기로 만들어져왔지만 동식물우언의 수량이 인물을 중심으로 구성된 이야기의 수보다는 적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특징은 바로 상상과 허구보다는 역사 혹은 사건의 나열을 중시했던 당시의 인식 때문이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주요어: 우언, 서사, 선진, 양한, 동식물우언, 《莊子》, 《韓非子》, 《呂氏春秋》, 《淮南子》

학 번: 2015-22444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455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인문대학)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중어중문학과)Theses (Master's Degree_중어중문학과)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