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자의 통근비용 형평성 분석 : An Analysis of Travel Cost Equity for Commuters Using Public Transport in Seoul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수-
dc.contributor.author김혜민-
dc.date.accessioned2018-12-03T02:13:33Z-
dc.date.available2018-12-03T02:13:33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other00000015211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4553-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18. 8. 김성수.-
dc.description.abstract개인이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일상의 사회경제활동을 영위하는 데 있어 교통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교통서비스를 이용하는 통행자가 경험하게 되는 이동성, 접근성, 경제성 등과 관련된 형평성의 가치는 더욱 강조된다. 최근의 교통형평성에 대한 논의는 주로 이동성 및 접근성의 측면에서 다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개별 통행자가 지불하는 교통비용 등의 경제적인 측면 또한 가구별 소득지출과 경제부담 문제와도 연관된다는 점에서 형평성 분석에서 간과할 수 없는 지표이다. 대중교통은 통근통행을 포함하는 필수통행에서 자가용 승용차를 이용할 수 없는 통행자가 선택하는 대안으로 형평성 측면에서 중요하게 인식되는 교통수단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대중교통 통근자의 형평성을 분석하였다. 2010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의 통근통행 정보를 기반으로 통행에 소요된 시간비용과 운임을 추출한 후, 일반화비용 관점의 통근비용을 산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평적 형평성 및 수직적 형평성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2010년 운임체계를 기준으로 기본운임 인상, 기본구간 축소, 추가요금 인상 및 균일요금제로 구성된 총 4가지의 운임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시나리오 비교분석을 통해 대안별 운임수준에 따른 로렌츠곡선과 지니계수 변화에 따른 형평성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수평적 형평성은 시간비용 및 운임으로 구성되는 통근비용과 함께 단위거리운임의 관점에서 대중교통 통근자의 불평등 정도를 알아보았다. 수직적 형평성에서는 통근비용, 단위거리운임과 운임부담비율 분석을 수행하여 하위소득계층을 포함하는 대중교통 통근자 인구집단에 대한 형평성의 변화 양상을 비교하였다.

통근비용 기반의 분석에서 수평적 형평성과 수직적 형평성의 결과는 반대로 나타났다. 그러나 단위거리운임 분석에서는 수평적 형평성과 수직적 형평성 모두 추가요금 인상 시나리오가 가장 공평한 대안인 반면, 균일요금제는 가장 불공평한 대안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임부담비율을 통해 통근자의 소득 대비 교통비용의 부담 정도를 측정하였다. 중위소득을 이용하여 소득계층을 구분하고 하위소득계층에 해당하는 경계값을 산정하였으며, 추가요금 인상 대안이 경계값과 대응하는 누적 하위소득계층비율의 크기가 가장 작게 나타난 시나리오였다. 이러한 결과는 통근자에 대한 소득과 탑승거리 간의 관계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대중교통 통근자의 형평성 문제를 논의하는데 있어서 단위거리운임과 운임부담비율을 고려하는 통합적 관점의 접근이 요구된다. 운임 시나리오 분석 결과를 보면, 수평적 형평성의 통근비용 분석결과를 제외하면 공통적으로 추가요금 인상 방안이 전체 통근자 집단 및 하위소득계층이 지불 또는 부담하는 운임수준이 가장 형평한 대안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서울시 대중교통 통근자의 형평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추가요금 인상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대중교통 통근자의 형평성을 분석하기 위해 통근비용을 산정하고, 운임 시나리오에 따른 형평성의 변화를 보았다. 그러나 서울시를 공간적 범위로 한정하여 수직적 형평성에서 운임 시나리오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향후 수도권으로 연구범위를 확대할 경우 보다 유의미한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자료의 분석 시점이 2010년이기 때문에 대중교통 통근자의 최근 현황을 반영하기 어려우며, 소득 및 통행시간 등의 산정이 개별 응답자의 설문에 근거한 추정치라는 점에서 정확한 정보를 적용했다고 보기 어렵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dc.description.abstractTransportation equity has been highlighted as transport service serves an essential role for members of society to travel to certain areas by transport modes. Transportation makes residents get their own primary right of mobility move to different regions to participate in socio-economic activities. The value of equity associated with mobility, accessibility, or economic efficiency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fascinated research fields recently. Although recent discussions on transport equity seem to be mainly concentrated on mobility and accessibility matters, economic aspects involving travel cost would be also important in that they are related to household income expenditure and economic burden issues. Public transport is a basic and significant service for passengers who are not able to drive cars for their trips, including commuting.

In this paper, commuters using public transport are observed to analyze transport equity. Time cost and fares extracted from the 2010 Household Travel Survey are examined to estimate travel costs. Based on 2010 fare system, four fare scenarios are established
-
dc.description.abstractincrease in basic fare, reduction in distance of basic fare for long distance trip, increase in additional fare, and flat fare regardless of travel distance. Under these scenarios, fares charged for individuals are compared with Lorenz curve and Gini coefficient respectively.

Equity analyses for travel cost show the extent of inequality over commuters. Thus, the concept of charge per distance is applied to measure fairness of fare payment. In addition, affordability analyses are conducted to gauge practical household burden of fare expenditure, especially in the viewpoint of vertical equity. For that, household income information is extracted to calculate the median income, which is utilized to set the income threshold for low-income group.

The results of travel cost composed of time cost and fare indicate the opposite features of horizontal equity and vertical equity. The former represents the flat fare system is the best, while the latter turns up the additional fare increase is good one. Nevertheless, increase in additional fare option is the most equitable commonly both charge per distance vertical equity fare scenarios. These trends imply that the weak relationship between income level and travel distance in the study area could have an effect on the equity analyses process.

An integrated approach with charge per distance and affordability is required when equity issues are under discussion for commuters. Among fare scenarios, except for travel cost in horizontal equity, the additional fare increase explains that it is the most advisable way to resolve equity problems for not only the entire commuters but also lower income bracket. Hence, rather than just focusing on basic fare option, the increase in additional fare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ease inequality and improve transport equity for public transport users in Seoul.

Fare scenarios based on travel cost are evaluated to analyze transport equity and to proposes the best scenario to improve equity level for public transport commuters. However,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due to spatial and data characteristics. Scenarios in vertical equity did not demonstrate critical differences. However, more significant analyses would be possible if the research will be expanded 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cluding Incheon, and Gyeonggi-do province. Last but not least,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e current status of commuters sinc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surveyed in 2010. There is inaccuracy in the survey data, such as household income and travel time, as they were dependent on individual respondents estimation. Thus, the parameters used are not enough to reflect commuters behaviors and their own features. In the future, further equity-related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overcome the limits of this stud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범위 3



제 2 장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의 고찰 5

제 1 절 관련 이론 5

1. 교통형평성 5

(1) 수평적 형평성 5

(2) 수직적 형평성 6

2. 로렌츠곡선 및 지니계수 7

제 2 절 관련 선행연구 8

1. 형평성 이론 및 적용 8

2. 교통형평성 분석 10

(1) 수평적 형평성 10

(2) 수직적 형평성 12

(3) 수평적 형평성 및 수직적 형평성 14

(4) 운임부담비율 15

제 3 절 시사점 16



제 3 장 연구방법론의 정립 19

제 1 절 대중교통 통근비용의 추정 19

제 2 절 로렌츠곡선 및 지니계수 21

1. 통근비용 21

2. 단위거리운임 24

3. 운임부담비율 26



제 4 장 자료의 구축 29

제 1 절 통근비용의 산정 29

1. 서울시 대중교통 통근자 29

2. 통행시간의 구분 및 계산 31

(1) 차내시간, 차외시간 31

(2) 시간비용 및 운임 33

3. 대중교통 운임 기준 35

제 2 절 자료의 특성 분석 36

1. 통근통행 특성 36

2. 통근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39



제 5 장 대중교통 통근비용의 분석결과 44

제 1 절 운임 시나리오의 설정 44

제 2 절 수평적 형평성 48

1. 통근비용, 시간비용 및 운임 48

2. 탑승거리별 단위거리운임 50

제 3 절 수직적 형평성 52

1. 소득수준에 따른 통근비용, 시간비용 및 운임 52

2. 소득수준별 단위거리운임 54

3. 운임부담비율 57



제 6 장 결론 62

제 1 절 연구의 요약 62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64



참고문헌 65

부록 70

대중교통 통근자의 차내시간 분포 70

대중교통 통근자의 탑승거리 분포 70

대중교통 통근자의 통근비용 분포 71

대중교통 통근자의 시간비용 분포 71

하위소득계층의 탑승거리 72

중위소득계층의 탑승거리 72

상위소득계층의 탑승거리 72

운임 시나리오별 운임부담비율 73



Abstract 74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11-
dc.title서울시 대중교통 이용자의 통근비용 형평성 분석-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f Travel Cost Equity for Commuters Using Public Transport in Seoul-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Hye Mi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dc.date.awarded2018-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