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 근대전환기의 시경론― 강유위, 장병린, 유사배, 양계초, 왕국유를 중심으로 ― : 中国 近代转型期的诗经论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월회-
dc.contributor.author안용수-
dc.date.accessioned2018-12-03T02:33:34Z-
dc.date.available2018-12-03T02:33:34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other00000015292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4772-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2018. 8. 김월회.-
dc.description.abstract《詩經》은 다른 경전들과 마찬가지로 전통시기 제국의 형성 및 유지에 있어서 중

추적인 기능을 한 텍스트이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해 보았을 때, 근대 이후 《詩經》

의 활용 양태는 이전과는 확연히 다르다. 이러한 《詩經》 활용의 패러다임의 전환

과정은 근대전환기라는 특정한 시기에 발생한다.

근대전환기의 시대적 배경은 《詩經》을 비롯한 六經 등의 활용의 패러다임의 전

환을 야기한다. 서구의 침입으로 인한 中華 관념의 해체는 그 관념의 발달 및 유지

에 중추적인 기능을 하던 경학과 그것을 구성하는 경전의 해체로 이어진다. 또한

서학 및 일본 학문 수용은 경학과 경전의 해체를 가속화한다. 이 시대에는 잡지 및

강의 기록 등이 새로운 학문수단으로 등장한다. 잡지 및 강의 기록은 새로운 형태

의 연구 결과물인 동시에 학문 전파 수단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하에,

근대전환기의 지식인들은 근대화 시도의 맥락에서 《詩經》을 활용한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전제들을 바탕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근대전환기 시경론은 몇몇 중추적인 인물들의 시경론을 구축하고 분석함으로써

구체화될 수 있다. 근대전환기 지식인 개인의 시경론은 그들의 《詩經》에 대한 언

술 및 연구결과물을 통해 구체화 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근대전환기 시경론을 형

성한 중추적인 인물로 강유위, 장병린, 유사배, 양계초, 왕국유 등을 설정한다. 이

들은 《詩經》에 대한 연구 결과 및 주장을 이전시기와 같은 주석서의 형태가 아닌,

근대전환기 연구결과물의 새로운 형태인 잡지 및 강연록 등을 활용하여 제창한다.

때문에 곳곳에 산재되어 있는 다섯 인물들의 《詩經》에 대한 언술 및 연구결과물들

에서 그들의 《詩經》에 대한 인식, 《詩經》을 해석하는 방법, 《詩經》을 해석하는 목

적 등을 파악하고, 그것들을 유기적으로 재배치한다.

강유위, 장병린, 유사배, 양계초, 왕국유 등의 시경론의 같고 다름을 비교함으로

써, 근대전환기 시경론의 전반적인 특징을 알 수 있다. 우선, 그들의 같음을 비교

함으로써, 목도할 수 있는 근대전환기 시경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근대전환기

지식인들은 《詩經》의 의의를 정당화하기 위하여, 그것의 기능을 설정하는 데에 주

안점을 둔다. 그들은 각자 《詩經》을 해석하는 방법을 제시하나, 그것들의 실제내용

은 전통 시경학의 내용을 계승하고, 개념의 층위에서 서학 및 일본 학문을 수용하

는 경향을 보인다. 그들은 모두 《詩經》을 활용하여 근대화의 시도를 도모하는 특

징을 지닌다.

다음으로, 그들의 다름을 비교함으로써, 《詩經》과 사회의 거리라는 전통 시경

학과 근대 시경학을 구분하는 새로운 척도를 세울 수 있다. 《詩經》과 사회의 거

리는 《詩經》을 해석하는 목적이 사회개혁과 연관 지어 풀이된다는 사실에 근거한

다. 그들의 차이점 및 공통점에 근거하여 보았을 때, 본고에서 다루는 다섯 인물들

은 전통 시경학의 계승에 해당하는 강유위, 장병린, 유사배와 근대 시경학의 정

초에 해당하는 양계초, 왕국유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전자에 해당하는 인물들은

《詩經》을 해석이 사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 사유하고, 후자에 해당하

는 인물들은 《詩經》의 해석이 사회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 사유하는 점

에서 차이를 지닌다.

이를 종합하여 보면, 강유위, 장병린, 유사배, 양계초, 왕국유 등은 근대전환기의

지식인으로서 當代의 사회개혁을 위해 시도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當代의 사회개

혁, 즉, 근대화 시도의 맥락에서 《詩經》을 활용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1.1. 연구 주제 및 범위 1

1.2. 기존 연구 검토 4

1.3. 연구 방법 및 목적 6

제 2 장 근대전환기의 시대적 배경 9

2.1 1890년대 이후의 시대적 화두: 정신문명의 재건 9

2.2 근대전환기 詩經學의 변화 요인 12

2.2.1 서구의 침입: 中華의 위기로 인한 經學의 지위 변화 12

2.2.2 서학의 수용: 經典을 해석하는 맥락의 변화 13

2.2.3. 잡지 및 신문 등의 근대적 매체 발달: 家學과 師學의 약화 및 새로운 연구 결과물의 등장 15

제 3 장 근대전환기 시경론의 양상 17

3.1 강유위의 시경론 17

3.2 장병린의 시경론 26

3.3 유사배의 시경론 34

3.4 양계초의 시경론 43

3.5 왕국유의 시경론 52

제 4 장 근대전환기 시경론의 전반적인 특징 62

4.1 근대전환기 詩經에 대한 인식: 詩經의 가치 설정을 위한 노력 63

4.2 근대전환기 詩經을 해석하는 방법: 전통의 계승 및 서학의 수용 70

4.2.1 詩經의 텍스트 외적 요소를 해석하는 방법 70

4.2.2 詩經의 텍스트 내적 요소를 해석하는 방법 77

4.3 근대전환기 詩經을 해석하는 목적: 사회개혁을 위해 활용된 詩經 80

제 5 장 결론 84

참고문헌 87

부록 90

中文提要 96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95.1-
dc.title중국 근대전환기의 시경론― 강유위, 장병린, 유사배, 양계초, 왕국유를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中国 近代转型期的诗经论-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dc.date.awarded2018-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