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Effect of Family Ownership of Family Firms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formance in Korea
the Moderating Role of Foreign Ownership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경오

Advisor
이동기
Major
경영대학 경영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경영대학 경영학과, 2019. 2. 이동기.
Abstract
In Korea, family firms effort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performance is weaker than leading firms effort from foreign countries. Generally, there is inconsist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irms and CSR performance. On the one hand, family firms perform CSR because family firms consider socioemotional wealth the greatest motivation, building and maintaining their image and reputation.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agency theory, some studies insist that family firms affect CSR performance negatively and it is because family members often pursue private gains by taking advantages of their information and control, making a sacrifice of minority shareholder. Also, although many researches have considered corporate governance of family firm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firms performance, there are lack of researches that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of family firms and CSR performance. To fill these gaps, this paper looks into corporate governance of family firms in Korea and tests the effect of family ownership of family firms on CSR performance in Korea. Family ownership and foreign ownership are used as independent and moderating variables to test influences on CSR performance, dependent variable. The sample of 537 family firms is collected from KEJI Index from 2015-2017.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ownership of family firms and CSR performance. Also, foreign ownership mitigates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positive moderating effect.
한국의 가족기업은 외국의 선도기업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성과에 대한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대개 가족기업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성과간의 관계는 불일치한 양상을 보인다. 가족기업이 좋은 평판과 인상을 유지하기 위해 사회 정서적 부를 추구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 성과를 행한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 대리인 이론을 기반으로 한 다른 연구는 가족기업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가족구성원이 소주주를 희생하면서 그들의 정보적, 통제적 이점을 남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비록 많은 연구자들이 가족기업의 지배구조를 기업 성과의 주요한 결정요인이라고 주장해왔지만 가족기업의 지배구조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과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하다. 이러한 공백을 채우기 위해서 본 논문은 한국가족기업의 지배구조 속을 들여다보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 성과에 대한 가족소유의 영향을 검사해 보고자 한다. 가족소유와 외국인소유는 각각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로 사용되었으며 사회적 책임 성과는 종속변수로 사용되었다. 표본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KEJI Index로부터 수집한 총 537개의 가족기업이다. 본 논문은 가족기업의 가족소유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성과간의 부정적인 관계를 발견하였다. 또한 외국소유의 증가가 가족소유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성과간의 부정적인 관계를 약화시킴으로써 긍정적인 조절효과로 작용하였음을 증명하였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056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