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nalysis on the Effects of Trade and Aid on Food Security : 식량안보에 대한 무역과 원조의 영향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혁-
dc.contributor.authorJihae Kwon-
dc.date.accessioned2019-05-07T03:28:37Z-
dc.date.available2019-05-07T03:28:37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other00000015526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0922-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협력전공), 2019. 2. 정혁.-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studies the effects of the two main artificial means of boosting national food security: trade and aid. The author looks into the three pillars of food security (availability, access, utilization), three different dimensions of trade (general trade openness, tariffs on food, and non-tariff measures on foods), and three types of aid (agricultural aid, development food aid, and emergency food aid). It is found that trade and income level, rather than aid, have stronger implications for enhancing food security. While tariffs on food are gradually decreasing across countries, non-tariff measures have constantly increased in number in recent years as a form of trade restrictions on food imports. General trade openness has a short-term positive effect on food security but trade barriers on food display mixed results-
dc.description.abstracttariffs seem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ood security but non-tariff measures are found to have long-lasting negative effects on food access. And albeit possible evidence for a limitedly positive long-term effect of agricultural aid on boosting food security, there is overwhelming indication that development food aid undermines food security of recipient countries in both the short and long run. Furthermore, emergency food aid can negatively affect food access despite positively affecting food availability.-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국가의 식량안보를 향상시키는 두 가지 주요 수단인 무역과 원조의 효과를 분석한다. 저자는 식량안보의 세 가지 차원인 가용성, 접근성 및 활용성과 무역의 세 가지 측면인 일반 무역 개방성, 식량에 대한 관세 및 식량에 대한 비관세조치, 그리고 세 가지 유형의 원조인 농업 원조, 개발 식량 원조 및 긴급구호 식량 원조를 살펴본다. 연구 결과, 원조보다는 무역 및 소득 수준이 식량안보를 강화시키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량에 대한 관세가 점차 감소하고 있는 반면, 식량에 대한 비관세조치는 최근 몇 년간 급격히 증가해왔다. 일반 무역 개방 수준은 식량안보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식량에 대한 무역 장벽의 영향은 분명하지 않다. 관세는 식량안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비관세조치는 식량 접근성에 장기간 지속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농업 원조는 단기적으로는 식량 안보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식량 가용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개발 식량 원조의 단기적 및 장기적 영향 모두 부정적이며, 긴급구호 식량 원조 또한 장기적으로는 식량 안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가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Introduction 1
1.1. Definitions and Purpose of Research 1
1.2. Literature Review 5
1.2.1. Trade and Food Security 5
1.2.2. Aid and Food Security 6
2. Theoretical Framework 8
2.1. Research Questions 8
2.2. Hypotheses 9
3. Methodology 10
3.1. Data 10
3.2. Summary Statistics and Trends in Data 12
3.2.1. Summary Statistics 12
3.2.2. Food Security Trends 16
3.2.3. Trade Trends 21
3.2.4. Aid Trends 24
3.3. Model 29
4. Results 30
4.1. Regressions on Food Security (1Y Lag) 30
4.2. Regressions on Food Security (5Y Lag) 30
5. Conclusion 35
5.1. Policy Implications 37
5.2. Limitations 38
List of References 39
Appendix 42
국문 초록 (Abstract in Korean) 53
-
dc.language.isoeng-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27.17-
dc.titleAnalysis on the Effects of Trade and Aid on Food Security-
dc.title.alternative식량안보에 대한 무역과 원조의 영향 분석-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권지혜-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협력전공)-
dc.date.awarded2019-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5266-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26▲000000000039▲00000015526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