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및 부모 진로지지와 취업포부의 관계에서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Adapt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Proactive Personality, Major Satisfaction, Career Related Parent Support and Employment Aspirations of the Student in Vocational Education Track in General High School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진철-
dc.contributor.author채희준-
dc.date.accessioned2019-05-07T03:31:02Z-
dc.date.available2019-05-07T03:31:02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other00000015485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0955-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2019. 2. 정진철.-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이 인식한 학습된 무기력과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부모 진로지지 및 진로적응력과 취업포부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표로 첫째,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부모 진로지지, 진로적응력 및 취업포부의 인식수준 구명, 둘째,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부모 진로지지 적응력 및 취업포부의 영향관계 구명, 셋째,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및 부모 진로지지와 취업포부의 관계에서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 구명을 설정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학습된 무기력,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부모 진로지지, 진로적응력, 취업포부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총 10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학습된 무기력, 자기주도성의 측정도구는 이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기존의 도구를 사용해 신뢰도 확보 후 활용하였다. 그 외 도구인 전공만족도, 부모 진로지지, 진로적응력, 취업포부는 기존에 개발된 도구를 연구대상에 맞게 활용하기 위해 수정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후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10월 8일부터 11월 9일까지 방문조사 및 우편조사를 활용하였다. 설문은 총 400부를 배포하여 386부를 회수하였고(96.5%), 이 중에서 무응답, 중복응답, 불성실응답 자료 및 이상치 자료를 제외하여 최종 35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88.0%). 자료 분석은 Windows SPSS 25.0를 활용해 영향관계를 확인하였으며 AMOS 21.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부모 진로지지, 진로적응력 및 취업포부의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4점에 가까운 결과가 도출되었다. 반면에 학습된 무기력은 보통인 3점보다 낮은 2점 중반대로 나타나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위탁과정 선택주체에 따라 취업포부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부모 진로지지 및 진로적응력은 취업포부에 대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진로적응력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습된 무기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취업포부의 관계에서 진로적응력이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및 부모 진로지지와 취업포부의 관계에서는 진로적응력이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 및 연구결과의 활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진로적응모형을 보다 명확하게 검증할 수 있는 경로분석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과 동일 전공 특성화고등학교 또는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의 각 변인별 수준차이를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들이 실제로 겪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해줄 수 있는 질적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동일한 주제 또는 유사한 주제로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위탁과정 입교와 동시에 설문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일반고 특화과정과 같이 학생의 수요가 반영되고 유망 직종으로 부각된 과정을 신규로 선정하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 운영 중인 기관 및 과정을 대상으로 면밀한 모니터링 및 평가를 통해 위탁과정의 지속적인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 여섯째, 학생이 선택한 위탁기관 및 과정의 변경이 용이하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일곱째, 개인차원의 인터벤션으로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이 입교할 때 학생들의 적성과 심리 상태를 재확인해 위탁과정 및 선택한 전공과의 적합성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과 부모사이에서 보다 건강하고 올바른 지지와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서로 공감을 할 수 있는 요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금보다 개방적인 위탁과정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아홉째, 취업포부를 증진시킬 수 있는 진로적응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기관차원의 인터벤션이 필요하다. 위탁과정의 경우 진로가 완전히 전환된 상황이기 때문에 학생별로 자신의 꿈에 대해 확인하고 자신이 선택한 진로에 대한 준비가 상이하다. 따라서 이에 필요한 진로적응력을 함양 또는 제고시켜줄 수 있는 정책차원 및 학교차원의 개입을 통해 학생들의 진로적응력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킨다면, 이는 다시 취업포부의 증진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로 인해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의 본래 취지인 건실한 산업인력을 양성함에 있어 더욱 효과적인 운영이 가능할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s of learned helplessness, proactive personality, major satisfaction, career related parent support, career adaptability and employment aspirations of the consigned student in vocational education track in general high school and analyze their effects to employment aspirations with mediating effects of career adaptability. Specific objectives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s were as follows. First, we identified the levels of learned helplessness, proactive personality, major satisfaction, career related parent support, career adaptability and employment aspirations of the vocational education track in general high school. Seco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nd the effects between relevant variables. Third,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employment aspirations.
This research used the survey instrument to collect data. Questionnaire consisted of learned helplessness, proactive personality, major satisfaction, career related parent support, career adaptability, employment aspirations scale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for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them, the present researcher newly revised the questionnaires to fit the subject and the target of the study. The present researcher secured reliability and validity with pilot test and final survey.
The data were collected by visiting and mail from 8th October to 9th November 2018. A total of 352 out of 400 questionnaires were used of final analysis after the data cleaning procedure.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to use SPSS for Windows 25.0 program, Amos 21.0 version and SPSS PROCESS macro by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level of learned helplessness was slightly lower than normal. But proactive personality, major satisfaction, career related parent support, career adaptability and employment aspirations were near by level 4 which are higher than the normal.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career adaptability and employment aspirations according to the own decision to enroll the vocational education track in general high school.
Second, proactive personality, major satisfaction, career related parent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had explanation to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employment aspirations. Among these variables, career adaptability had the biggest explanation. However, learned helplessness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employment aspirations. Lastly, career adaptability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major satisfaction, career related parent support and employment aspirations. On the other hand, career adaptability had the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employment aspiration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onducting a path analysi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areer adapt model by Savicaks for the students in vocational education track in general high school is needed. Second, comparing the students level of those variables under the same major from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is needed due to the period of vocational education difference. Third, conducting the qualitative research to understand their empirical difficulties in the vocational education track or the major is needed as well. Fourth, for the student who just enroll the vocational education track in general high school,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ame or similar survey analysis to estimate their level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nce.
To apply the researched work: first, the vocational education track in general high school is expanding its area to the newly advanced industry. To arouse this continuous development, the scrutinize monitoring and evaluation for not only the new institutions but majors are needed. Second, the political support is needed that the student can change not only the major but also the institution in accordance with their aptitude and trait. Third, for the personal intervention, the students aptitude, trait, and psychological test should be taken for checking how much they appropriate to the vocational education track. Fourth, the vocational education track should be operated more open and transparently to build the faith and the bond of sympathy between the student and parents. Fifth, to improve career adaptability which helps improve the students employment aspirations, the organizational intervention is needed, so that the student can build their own career goal and new purpose by himself.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연구 가설 6
4. 용어 정의 8
5. 연구의 제한 10

Ⅱ. 이론적 배경 11
1.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11
2. 취업포부 24
3. 진로적응력 35
4. 학습된 무기력,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및 부모 진로지지 42
5. 변인 간 관계 53

Ⅲ. 연구 방법 63
1. 연구모형 63
2. 연구대상 64
3. 조사도구 67
4. 자료수집 76
5. 자료 분석 76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81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81
2.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부모 진로지지, 진로적응력 및 취업포부의 수준 82
3.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부모 진로지지 및 진로적응력과 취업포부의 영향관계 85
4. 논의 93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101
1. 요약 101
2. 결론 105
3. 제언 108

참고문헌 113
[부 록 1] 조사도구 수정검토지 137
[부 록 2] 본 조사 설문지 142
Abstract 155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38.1-
dc.title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및 부모 진로지지와 취업포부의 관계에서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
dc.title.alternative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Adapt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Proactive Personality, Major Satisfaction, Career Related Parent Support and Employment Aspirations of the Student in Vocational Education Track in General High School-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ae, Heeju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dc.date.awarded2019-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4850-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26▲000000000039▲000000154850▲-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