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반 고등학교 진로교육정책에 나타난 진로교육의 성격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Study of Career Education Policies in General High School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소경희-
dc.contributor.author안여진-
dc.date.accessioned2019-05-07T03:48:30Z-
dc.date.available2019-05-07T03:48:30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other00000015553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1142-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 2019. 2. 소경희.-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일반 고등학교 진로교육 정책을 분석함으로써 국가 수준에
서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으로서 제시하는 진로교육의 성격은 어떠한지
를 밝히고, 이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
해 아래와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문제에 답
하기 위해 2010년에서 2018년에 이르기까지 국가 수준에서 개발된 교육
부의 진로교육정책 문서를 귀납적인 방식으로 내용 분석하였다. 이에 따
라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진로교육 정책에서 나타난 성격을 비
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일반 고등학교 진로교육 정책에서 진로교육의
목표와 내용은 무엇인가.이다. 첫 번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일반 고등
학교 진로교육 정책에서 진로교육의 목표와 내용은 자기에 관한 이
해, 진로에 관한 이해, 그리고 진로에 관한 설계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일반 고등학교 진로교육 정책에서 진로교육의
접근방식은 어떠한가.이다. 두 번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일반 고등학
교 진로교육 정책에서 진로교육의 접근방식은 진로에 관한 교과,
진로에 관한 심리 및 상담, 그리고 진로에 관한 체험으로 나타
났다.

세 번째 연구문제는 일반 고등학교 진로교육 정책에 나타난 진로교
육의 성격의 문제는 무엇인가.이다. 세 번째 연구 결과는 앞서 분석한
두 가지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교육 정책에 나타난 진로
교육의 성격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8년에 걸쳐 발표된 일반 고등학교 진로교육
정책 문서에 제시된 진로교육의 성격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진로교육
정책의 성격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다
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를 지닌다. 첫째, 이 연구는 분석의 편의상 교육
부에서 발표한 진로교육정책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둠으로써 교육부 이외
의 다른 연구기관 등이 제시하고 있는 문서에는 주목하지 못했다. 둘째,
이 연구는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정책방향에 관하여 분석한 것으로 현장
에서 이루어지는 더욱 다양한 진로교육의 가능성에 관해 다루고 있지 못
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셋째, 실제 학교 현장에서 진로교육이 어떻
게 실행되는지를 다루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정책방향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실행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나타내지 못한
다. 따라서 단위 학교에서 진로교육의 실천을 살펴봄으로써 진로교육정
책의 방향성으로 나타난 특징을 토대로 진로교육의 실천과 어떤 관련성
이 있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필
요가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 of career
education presented as education for all students at a national level,
and to critically examine it by analyzing general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policies. For this objective, I analyzed documents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rom 2010 to 2018, in consideration of
three research problems: goals and content of career education in
existing policies, proposed approaches in career educa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reer education expressed in the polic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 critically examined outstanding
characteristics of career education policies in Korea.

The first research problem is what are the goals and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in general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polic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ocument study, the three-fold answer
is that of Understanding about the Self, Understanding of
Career, and Career Design.

The second research problem is what is the approach of career
education in general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polic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ocument study, the answer is Subject Related
to Careers, Psychology and Counseling about Careers and
Career Experience.

The third research problem is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career
education in general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policies?. According
to study results, career education in general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policies has been found to be limited in three areas.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First,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career education policies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the convenience of general analysis of issues
-
dc.description.abstracttherefore
attention was not given to documents presented by other influential
research institutes. Secondly, while this study analyzed policy directions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t is somewhat limited in that it
does not deal with the possibility of a greater variety of career
education in the field. Thirdly, since it does not address how career
education is implemented in actual school settings, correlation of policy
direction with student performance in schools is not given. Therefore, a
more in depth discussion is required of the study on the relation of
career education with its applicable practic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1. 진로교육의 의미와 전개과정 6
가. 진로교육의 의미 6
나. 진로교육의 도입 및 전개과정 11
2. 진로교육에 대한 관점 17
가. 기능주의적 관점 18
나. 경험주의적 관점 23
다. 비판주의적 관점 28
Ⅲ. 연구 방법 35
1. 분석 대상 35
2. 분석 방법 및 절차 38
Ⅳ. 진로교육 정책에 나타나는 진로교육의 목표와 내용 41
1. 자기에 관한 이해 41
2. 진로에 관한 탐색 49
3. 진로에 관한 설계 58
Ⅴ. 진로교육 정책에 나타나는 진로교육의 접근방식 65
1. 진로에 관한 교과 65
2. 진로에 관한 심리 및 상담 73
3. 진로에 관한 체험 83
Ⅵ. 진로교육정책에 나타난 진로교육의 성격에 관한 비판적 논의 95
1. 개인 차원의 진로설계에 집중된 진로교육 95
2. 선택과 탐색에 제한된 학습자의 주체성 98
3. 진로교육의 접근방식의 문제 102
Ⅶ. 요약 및 결론 108
참고문헌 115
Abstract 121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70-
dc.title일반 고등학교 진로교육정책에 나타난 진로교육의 성격에 대한 비판적 고찰-
dc.title.alternativeA Critical Study of Career Education Policies in General High School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Ahn, Yeo Ji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9-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5536-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26▲000000000039▲00000015553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