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前漢 時期 儒家의 人性論 硏究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병환-
dc.contributor.author배성진-
dc.date.accessioned2019-05-07T03:57:16Z-
dc.date.available2019-05-07T03:57:16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other00000015586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1218-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2019. 2. 김병환.-
dc.description.abstractThe subject of this paper is confucianism's human nature theory in Pre-Han Dynasty. To do this, this paper examines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theory and study human nature theory of Dong Zhong-Shu and Yang Xiong which is the representative idea of theory above. This paper first discusses the socio-political background and ideological background in Pre-Han Dynasty, and then, looks at the human nature theory of Dong Zhong-Shu and Yang Xiong sequentially.
Pre-Han Dynasty was founded, after Qin dynasty with only 15 years of history perished that had unified China continent for the first time. The early period of Pre-Han Dynasty, therefore, was very confusing in socio-political terms, and was the period of various ideas by a lot of schools, such as Pre-Qin confucian thought which had been lost since Fen Shu Keng Ru in Qin dynasty, Huang-Lao Taoism for comforting the weary people of a long war, Yin and Yang school, and hundred schools of thought. In the middle of Pre-Han Dynasty, Dong Zhong-Shu tried to strengthen the emperor power and stabilize the nation by unifying various ideas into confucianism. But, in the late period of Pre-Han Dynasty when Yang Xiong was active, the maternal relatives of the empress were influential, and a coup based on superstitious prophecy arose and finally, Pre-Han Dynasty perished.
Dong Zhong-Shu set the theories of Yingyang Wuxing and the relationship theory between heaven and human as the basis for his human nature theory. Then he respectively assigned the meanings of evil and goodness to Qi of YinYang,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heaven. He also thought that this principle applies to humans and connects the heaven and humans. Based on this, he introduced various theories: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has both good personality and evil taste, the theory that the human nature consists of the material of good, but it itself is not good, and the theory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human beings: a saint, an ordinary person, and a humble person. Dong Zhong-Shu's human nature theory lacks confidence in the possibility of human personality change, was created to justify the power of the ruling class, and weakened democratic ideas about morality. These can be pointed out to be problems. However, it is remarkable that the terms in human nature theory had been carefully used and the theory is meaningful in that harmonization had been attempted by fusing human nature theory of disconnected confucianism.
Yang Xiong thought that it was his mission to protect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from the sophistries in the late period of the in Pre-Han Dynasty and he set the cosmology centered on heaven, earth, and human as the basis of his human nature theory. Based on this, he introduced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a mixture of evil and good, and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human beings: a saint, a wise man, and an ordinary man, depending on their level of study. Yang Xiong's human nature theory was difficult to grasp the true meaning because it was conveyed in the form of 『Fayan』, was far from the purpose of preserving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and was known to descendants by his first argument that good and evil are mixed. These could had been better.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he published 『Taixuanjing』 and 『Fayan』 by using his own language and developed his own human nature theory, also argued that anyone could be a saint through endeavors, and emphasized study and self-determination for this.
According to the confucianism's human nature theory in Pre-Han Dynasty, the ethics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belief that personality can change. It should also be recognized that the purpose of ethics education is not to nurture human beings who contribute to the interests and development of a nation, but to nurture moral human beings and right citizens. Finally,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ethics education can be achieved successfully through authority secured when the ethics teachers constructed appropriate goals and contents by hierarchically understanding the learner's level of moral development and become an example of the learners by becoming an expert.
-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前漢 시기 유가의 人性論을 주제로 하며 이를 대표하는 동중서와 양웅의 人性論에 관해 논하고, 前漢 시기 유가 人性論이 지닌 도덕교육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먼저 前漢 시기의 사회정치적 배경과 사상적 배경을 논한 뒤, 동중서와 양웅의 人性論을 차례로 살펴볼 것이다.
前漢은 중국 대륙을 최초로 통일했던 秦이 단 15년 만에 멸망한 뒤 건국되었다. 따라서 前漢 초기는 사회 정치적으로 매우 혼란한 시기였으며, 사상적으로도 秦의 분서갱유 이후 명맥이 끊겼던 선진유가, 오랜 전란으로 인해 피폐해진 백성들을 달래기 위한 황로도가 및 음양가를 비롯해 제자백가의 다양한 사상들이 성행하던 시기였다. 前漢 중기 동중서는 다양한 사상들을 유학으로 통일하여 황제의 권력을 강화하고 국가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하였으나, 양웅이 활동했던 前漢 말기, 외척 세력의 득세와 참위설을 근거로 한 왕위찬탈로 인하여 前漢은 국운을 다하게 된다.
동중서는 陰陽五行論과 天人相關論을 자신의 人性論의 근거로 삼아 하늘의 운행 원리인 陰陽의 氣에 각각 惡과 善의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이러한 원리가 인간에게도 적용되어 하늘과 인간이 서로 감응하는 관계에 있다고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동중서는 인간 본성에는 善한 人性과 惡한 貪性이 모두 있다는 性善情惡說, 인간의 본성은 선을 향하는 바탕[善質]을 부여받았으나 그 자체를 선이라 할 수 없다는 性未善說, 인간에는 聖人-中民-斗筲의 타고난 세 가지 품이 있다는 三品說을 주장하였다. 동중서의 人性論에는 전반적으로 인간의 인성이 변화할 수 있다는 믿음이 결여되었으며, 당시 지배층의 권력을 정당화하기 위해 마련되었고, 도덕에 관한 민본적 발상을 퇴색시켰다는 점을 그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人性論의 핵심이 되는 용어 사용에 신중을 기하였으며, 단절되었던 유학의 人性論을 융합함으로써 조화를 시도하였다는 측면에서 소극적인 의의도 발견할 수 있다.
양웅은 혼란했던 前漢 말기의 궤변사설들로부터 유학의 전통을 지켜내고자 하였으며, 天·地·人의 道를 포괄하는 太玄을 중심으로 한 우주론을 자신의 人性論의 근거로 삼았다. 이를 바탕으로 양웅은 인간의 본성이란 善과 惡이 혼재된 재질과 같다는 性善惡混說, 인간에는 배움[學]의 수준에 따라 聖人-賢人-衆人의 세 가지 품이 생긴다는 三品說을 주장하였다. 양웅의 人性論은 傳의 형태를 지닌 『法言』을 통해 개진되어 그 진의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유학의 정통에 기반한 이론을 마련하겠다는 자신의 목적의식에 부합하지 못하였으며, 내용의 체계성이 부족하나 性善惡混을 처음으로 명시했다는 이유만으로 후대에 거론되었다는 아쉬움이 있다. 그러나 자신만의 언어를 활용하여 『太玄經』, 『法言』 등을 통해 人性論을 개진하였으며, 인간이라면 누구나 노력을 통해 聖人에 이를 수 있다고 보았고, 이를 위한 배움[學]과 주체적 결의를 강조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前漢 시기 유가 人性論에 비추어볼 때 도덕교육에는 인성변화에 대한 믿음이 근본적으로 전제되어야 하며, 도덕교육의 목적은 특정 국가의 이익과 발전에 기여하는 인간을 육성하는 것이 아닌 도덕적 인간과 정의로운 시민을 양성하는 데 있음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덕교육은 목표수준과 내용체계가 학습자의 도덕 발달 수준에 대한 계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하게 구성되고, 도덕교사가 스스로 전문성을 갖추며 학습자의 모범이 될 때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상기하게 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Ⅰ. 서론 1
1. 연구 동기와 연구 목적 1
2. 연구 범위와 연구 방법 5

Ⅱ. 前漢 時期 儒家 人性論의 성립 배경 9
1. 사회정치적 배경 9
1.1. 전한(前漢) 초·중기와 동중서 9
1.2. 전한(前漢) 말기와 양웅 13
2. 사상적 배경 17
2.1. 선진유학(先秦儒學) 18
2.2. 황로도가(黃老道家) 20
2.3. 음양가(陰陽家)와 참위재이설(讖緯災異說) 22

Ⅲ. 동중서(董仲舒)의 人性論 25
1. 동중서 人性論의 근거 25
1.1.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 25
1.2. 천도론(天道論) 29
1.2.1. 천(天) 개념 29
1.2.2. 천인상관론(天人相關論) 32
2. 동중서 人性論의 함의 35
2.1. 본성(本性)에 대한 이해 35
2.2. 본성의 내용 37
2.2.1. 성미선설(性未善說) 37
2.2.2. 인성(人性)과 탐성(貪性) 42
2.3. 삼품설(三品說) 45
2.3.1. 중민의 성[中民之性] 45
2.3.2. 성인(聖人)-중민(中民)-두소(斗筲) 49
3. 동중서 人性論의 의의와 한계 54


Ⅳ. 양웅(揚雄)의 人性論 56
1. 양웅 人性論의 근거 56
1.1. 미신(迷信)의 부정 56
1.2. 우주론(宇宙論)의 전개 59
1.2.1. 현(玄)과 우주론 59
1.2.2. 태현(太玄)과 인성 61
2. 양웅 人性論의 함의 63
2.1. 본성(本性)에 대한 이해 64
2.2. 본성의 내용 65
2.2.1. 성선악혼설(性善惡混說) 65
2.2.2. 재질의 성[材質之性] 69
2.3. 삼품설(三品說) 73
2.3.1. 중품의 성[中品之性] 73
2.3.2. 성인(聖人)-현인(賢人)-중인(衆人) 77
3. 양웅 人性論의 의의와 한계 80

Ⅴ. 前漢 時期 儒家 人性論의 도덕교육적 함의 83
1. 도덕교육의 근본 전제 83
1.1. 인성변화에 대한 믿음 83
1.2. 국가주의에 대한 경계 86
2. 도덕교육의 성공 요건 88
2.1. 도덕 발달 수준의 계층적 이해 88
2.2. 도덕교사의 권위 확보 92

Ⅵ. 결론 96

참고문헌 100

ABSTRACT 108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70-
dc.title前漢 時期 儒家의 人性論 硏究-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Bae Seong Ji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윤리교육과-
dc.date.awarded2019-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5865-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26▲000000000039▲00000015586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