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구성주의 관점에 기초한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의 식생활 교육내용 및 내용 전달 방식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영은

Advisor
윤지현
Major
사범대학 협동과정 가정교육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가정교육전공, 2019. 2. 윤지현.
Abstract
본 연구는 구성주의 관점에서 중학교 가정교과서 식생활 영역의 교육내용과 내용 전달 방식을 분석하여, 가정교과서의 식생활 영역이 구성주의 학습을 증진시킬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집필된 「기술․가정」교과서 6종을 대상으로 식생활 교육내용과 교육내용의 전달 방식을 분석하였다. 식생활 교육내용은 객관주의 관점의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과 구성주의 관점의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을 기초로 각각 추출한 학습요소를 준거로 분석하였다. 교육내용의 전달 방식은 본문과 활동과제를 중립적, 지시적, 설득적, 참여적 정보제공의 네 가지 유형을 준거로 분석하였다. 이 중 설득적, 참여적 정보제공 유형은 구성주의 관점의 내용 전달 방식에 해당한다. 분석 결과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분석 대상을 독립적으로 2회 분석한 후, 분석 결과의 일관성을 점검하였고, 이때 분석 결과가 상이한 표본은 유형별로 분류하여 재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자의 분석 결과를 가정과 교육 전문가 2인의 분석 결과와 비교하고, 그 결과가 다른 경우는 협의 과정을 거쳐 재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생활 영역의 교육내용을 분석한 결과,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반영률은 6종의 교과서 평균 92.9%로, 학습요소 14개 중 평균적으로 13개의 학습요소가 분석 대상의 교과서에서 충분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의 반영률은 6종의 교과서 평균 72.4%로, 학습요소 26개 중 평균적으로 약 18개가 분석 대상의 교과서에서 충분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이를 실천적 문제 해결과정별로 보면, 가치 목표 관련 개념에 해당하는 학습요소를 제외한 실천적 문제(영양과 건강) 관련 개념, 맥락 관련 개념, 행동(대안) 관련 개념, 결과(파급효과) 관련 개념에 해당하는 학습요소는 불충분하게 다루어지고 있었으며, 특히 맥락 관련 개념에 해당하는 학습요소는 충분하게 다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또한 6종의 모든 교과서에는 학습요소들이 단편적으로만 다루어지고 있어 다양한 측면에서 맥락을 고려하고 있지 않았으며 사회적 관점이 배제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식생활 영역의 내용 전달 방식을 분석한 결과, 본문에서는 구성주의 관점의 내용 전달 방식이 22.1%(설득적: 21.4%, 참여적: 0.7%)로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중립적 정보제공(59.9%) 유형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즉, 현행 가정교과서의 본문은 구성주의 관점에서 서술되고 있다고 보기에는 미흡했다. 활동과제에서는 구성주의 관점의 내용 전달 방식이 61.9%(설득적: 1.5%, 참여적: 60.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비교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서술되고 있었다. 그러나 참여적 정보제공 유형의 경우에도, 자신 및 가족의 삶을 고려한 활동과제는 많았으나, 사회적 관점까지 고려한 활동과제는 전무했다. 결론적으로, 현행 중학교 가정교과서의 식생활 영역은 구성주의 학습을 증진시키기에는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생활 영역의 교육내용에는 객관주의 및 구성주의 관점이 혼재되어 구성주의 학습을 증진시키기에는 충분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식생활 영역의 내용 전달 방식을 보면 본문은 구성주의 학습을 증진시키기에는 미흡했고, 활동과제는 구성주의 학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은 보였으나, 사회적 관점을 고려한 문제가 제시되어 있지 않아 구성주의 학습을 증진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중학교 가정교과서의 식생활 영역에는 구성주의 관점의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상황이 반영된 학습요소가 충분하게 포함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문은 맥락을 고려하면서 다양한 측면을 고려할 수 있도록 참여적 정보제공 유형으로 서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활동과제 역시 사회적 관점을 고려한 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contents and pedagogical styles of the food and nutri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could develop the constructivist learning. For this,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of 6 types, written in compliance with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ir pedagogical styles and contents on the food and nutrition. The contents on the food and nutrition were subject to the analysis, built upon the learning factors derived from the practical problem-focused curriculum, developed from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and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developed from the objectivist perspective. Texts and exercises were analyzed based on pedagogical styles which were classified into 4 styles: neutral informative, informative and injunctive, informative and persuasive, and informative and participative. The informative and persuasive style and the informative and participative style are based on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In order to maintai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alysis results, the researcher independently analyzed the samples twice, and checked the consistency of the analysis results, and other inconsistent samples were reclassified and reanalyzed.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searcher were compared with the analysis results of two home economics education expert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were reclassified after consult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ntents on the food and nutrition in home economics textbooks showed that 92.9% was based on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To be specific, of 14 learning factors, on average, 13 factors were applied to the home economics textbooks. The reflection rate of the practical problem-focused curriculum was 72.4%: of 26 learning factors, on average, 18 learning factors were applied to the home economics textbooks. When they were classified into each stage of the prac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only learning factors related with the concepts of the value ends were fully addressed. However, the other learning factors related with the concepts of the practical problem, the concepts of the context, the concepts of the action and the concepts of the consequence, especially the factors related with the concepts of the context, were not properly addressed. The learning factors in the textbooks were addressed only from one perspective, and the social perspective was excluded. For the next, the analysis of pedagogical style on the food and nutrition showed that the informative and persuasive style and the informative and participative style in the texts, which were based on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accounted for 22.1%(persuasive: 21.4%, participative: 0.7%). However, the neutral informative style(59.9%) was the most common. And the texts in the all analyzed textbooks were insufficient to be described from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In case of exercise, since the informative and persuasive style and the informative and participative style accounted for almost 61.9%(persuasive: 1.5%, participative: 60.4%), the informative and participative style(60.4%) was the most common. The exercises in the all analyzed textbooks were relatively described from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In case of the informative and participative style, there were a number of exercises considering the life of a student and his/her family, but there were almost none which even considered the social perspective.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food and nutrition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textbooks did not seem to be enough to improve constructivist learning. The contents on the food and nutrition were not enough to promote constructivist learning because the objectivist and constructivist perspective were combined together. In case of pedagogical styles of the food and nutrition, the texts were not enough to promote constructivist learning, too. The exercises showed the possibility that there was a potential to increase the constructivist learning, but it is unlikely to increase the constructivist learning since the exercises did not deal with problems from the social perspective. Therefore, the contents on the food and nutri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should include a lot of learning factors which reflect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situation from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And the texts in the home economics textbooks need to be written based on the informative and participative style considering various aspects and context. Exercises also need to be strengthened, reflecting social perspectiv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24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