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동거 형태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residence Status on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인회-
dc.contributor.author이기원-
dc.date.accessioned2019-05-07T04:01:10Z-
dc.date.available2019-05-07T04:01:10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other00000015395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1266-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2019. 2. 구인회.-
dc.description.abstractWhile the ageing and shrinking of the productive population is raising costs for the society to support its elderly citizens, the family is failing at sustaining its traditional role as the provider of support for its older members. The family provides the elderly with resources, and immediate assistance when necessary-
dc.description.abstractWhen the family loses such functions that improve the mental conditions for the older adults, they can start experiencing levels of depression. As the form of living for the elderly is shifting from a multi-member combination to a single member entity, the society is facing severe problems regarding its senior members suffering from deteriorated psychological health. In order to design policies to address such issues,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hether a constituent of the older generation lives with his or her spouse or children and his or her level of depression is required. This study aims to search and reveal how such forms of coresidence influence the rate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by using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for the years of 2006 to 2016. Research questions for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Does living together with children affect depression levels among the elderly? Second, Does marital status affect depression levels among the elderly? Third, Does marital status have any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hether an older adult is living together with his or her children and his or her experience of depression? This study used panel regression analysis based upon the fixed effect model to investigate answers for the said questions.
This research starts by following how key variables have changed during the examined period. The percentage of elderly people living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showed a rapid decrease from 40.8% to 28.8%. As for marital status, older adults with partners dropped from 65.22% to 55.72%
-
dc.description.abstractelderly persons without a partner increased as they went through divorce, death of a spouse, etc.
The effect coresidence with children has on the degree of depression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whether the older adult lives with his or her children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gravity of his or her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whether he or she has a spouse had an significant impact
-
dc.description.abstractif one had a partner, he or she suffered less from depression. Second, marital status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habitation with children and the extent of depression. Though marital status was suggest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when data was processed with pooled OLS, it no longer proved to be significant under the fixed effect model.
This paper attempted to overcome the limits of preceding works that had depended on living arrangements as main variables when analyzing levels of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and to present a more accurate explanation on the effect spouses and children have on depress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focused to eliminate omitted variable bias by applying the fixed-effect model, under consideration that coresidence status of the elderly is not randomly decided, but rather closely related to personal traits such as health conditions, intimacy with family members, etc. It has been examined that family support, in particular support from a spouse i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The cost to support the ageing population should not be the burden of a single party
-
dc.description.abstractthe family, market and state together needs to adjust their roles. In addition, the society needs to provide support services for depression to not only older adults who live alone but also to those without a spouse to strengthen its ability in addressing depression in the older population.-
dc.description.abstract고령화와 생산인구의 감소로 인해 노인 부양에 대한 부담은 가중되고 있지만 전통적으로 사적 부양을 제공하던 가족의 부양 기능은 약화되고 있다. 가족은 노인이 누릴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해주고 위기 발생 시 즉각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의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에 가족의 부양 약화는 노인의 우울을 악화시킬 수 있다. 특히 근래에는 노인의 동거형태가 1인 가구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독거노인의 우울증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노인 우울 관련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동거 형태를 결정하는 두 주체인 배우자와 자녀와의 동거가 노인의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2006~2016년 동안 노인의 동거 형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와의 동거 여부가 노인의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결혼 상태가 노인의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녀와의 동거 여부와 노인의 우울 사이의 관계에 결혼 상태가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하여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변수들의 추이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노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자녀와 동거하는 노인의 비율은 40.8%에서 28.8%로 20.0%p 감소하여 동거가 빠르게 감소하는 추이가 확인되었다. 결혼 상태의 경우 유배우자인 노인의 비율은 65.22%에서 55.72%로 감소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이혼이나 사별 등으로 인해 배우자가 없는 노인이 증가하였다.
자녀와의 동거 여부와 결혼 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자녀와의 동거 여부는 노인의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에 결혼 상태는 노인의 우울에 상당한 영향을 미쳐 유배우자일수록 우울이 감소하였다.
둘째, 자녀와의 동거 여부와 노인의 우울 사이의 관계에 결혼 상태는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았다. 합동(Pooled) OLS에서는 결혼 상태가 조절효과를 가졌으나, 고정효과모형을 실시하니 더 이상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주로 세대구성에 따른 우울 수준 분석에 집중된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가족을 구성하는 두 가지 주요 주체인 배우자와 자녀가 미치는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노인의 동거 형태가 무작위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건강 상태나 가족 구성원과의 친밀도와 같은 개인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정효과분석을 통해 누락변수로 인한 편의를 교정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가족을 통한 사적 부양, 그 중에서도 배우자의 역할이 노인의 우울을 경감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증가하는 노인에 대한 부양 부담은 어느 한 주체에게만 전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가족과 시장, 국가가 역할 분담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존에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제공되던 우울 관련 서비스를 무배우자 노인으로까지 확대하여 노인의 우울을 예방하고 진단할 수 있는 체계를 강화해나가야 할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문제제기 1
제 2 절 연구문제 5
제 2 장 문헌 탐색 및 선행연구 7
제 1 절 노인 동거 형태의 실태와 추이 7
제 2 절 노인 동거 형태와 우울 10
1. 노인 동거 형태와 우울 간의 관계에 대한 개괄 10
2. 가족지지와 노인의 우울 11
3. 자기결정이론 15
제 3 절 선행연구 현황 및 한계 19
제 4 절 결혼 상태와 노인의 우울 및 결혼 상태의 조절효과 23
제 5 절 노인의 우울과 관련이 있는 기타 요인 26
제 6 절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28
1. 연구가설 28
2. 연구모형 29
제 3 장 연구 방법 31
제 1 절 연구 자료 31
제 2 절 연구 대상 32
제 3 절 변수의 정의 및 측정 35
1. 독립변수 35
2. 종속변수 35
3. 통제변수 36
제 4 절 분석 방법 39
1. 선행연구의 방법론적 한계 39
2. 분석 개괄 41
3. 고정효과 모형 분석의 필요성 43
4. 고정효과 모형을 활용한 분석 방법 45
제 4 장 연구 결과 47
제 1 절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47
제 2 절 가설 검증 55
1. 자녀와의 동거 여부 및 결혼 상태와 노인의 우울 간의 관계 55
2. 자녀와의 동거 여부와 노인의 우울 사이의 관계에 결혼 상태가 미치는 효과 58
3. 합동(Pooled) OLS와 고정효과모형의 분석 결과 비교 62
제 5 장 결론 67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67
제 2 절 연구의 함의 68
1. 이론적 함의 68
2. 정책적·실천적 함의 70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74
참고문헌 77
Abstact 94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60-
dc.title동거 형태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Coresidence Status on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Ki Wo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9-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3954-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26▲000000000039▲000000153954▲-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