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개혁개방 이후 중국 비임금노동자의 증가와 내부 다양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crease and Internal Diversity of Non-wage Workers in China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up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숙이

Advisor
이재열
Major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2019. 2. 이재열.
Abstract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up, how does the large increase in non-wage worker be achieved in China, where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is full of uncertainty? What does the internal diversity of non-wage worker mean for the so-called socialist market economy? This study analyzes the mechanism of transition to different types of non-wage worker by tracking the work transition trajectory in China's special institutional environment. In Eastern European countries and Russia, non-wage worker has expanded rapid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political elite's active efforts and a series of top-down reforms. However, in China's progressive development model, the informal norms embedded in social relations have played a critical role. Therefore, in addition to human capital and party membership, this study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 (guanxi) on transition to non-wage worker.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conomic and social impacts of the increase and internal diversity of China's non-wage worker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up.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China Labor-force Dynamics Survey. First of all, the diversity of non-wage work is identified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overall non-wage worker. Next, after separating non-wage worker without transition experience and non-wage worker who transferred from wage worker the effects of different factors, especially the guanxi, on various results of transition (employer, non-manual self-employed, and manual self-employed) was examined by conduct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transition trajectories of non-wage workers, nearly half of the non-wage workers were found to have shifted from wage workers, mainly those who were manual wage workers and service workers.
Secondly, the internal heterogeneity and diversity were confirmed through analysis of the types of non-wage worker. On the one hand, the development of China's urban development and commerce has resulted in a considerable number of employers accumulating wealth through wholesale, catering, and construction projects. On the other hand, a large number of manual self-employed who engaged in temporary manual labor were faced with a more unstable work environment and lack of social security guarantees than wage manual workers.
Finally,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and Communist Party member compared with non-Communist Party members,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entering the non-wage worker sector. However, as the relationship is actively built and maintained, the probability of entering the non-wage labor sector has increased. Additionally, it is relatively easy to enter the non-wage labor sector, but actively building and maintaining a relationship has a crucial impact on the individual's upward mobility. The more frequently they invite others or are invited to a meal, and the higher the level of trust in the business intermediary, the greater the probability of becoming an employer or non-manual self-employed than a manual self-employed. In addition, when non-waged workers who transferred from wage workers have a high educational level and a developed social network at the same time, the probability of becoming an employer or non-manual self-employe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nual self-employed.
By identifying the mechanisms of entering various non-wage jobs this study suggests that non-wage job has provided an alternative pathway for both elites and ordinary workers. This is particularly meaningful in understanding how non-wage jobs cushioned economic and social conflicts during China's rapid economic growth during the reform period. Furthermore, considering the market called "Jangmadang" in North Korea is increasing, the pattern of China's non-wage job development analyzed in this study suggests ways to overcome the conflictual and complementary relations between the private economy and the public economy.
비임금노동의 대규모적인 증가는 개혁개방 이후 제도적으로 불확실한 중국에서 어떻게 가능해질 수 있었을까? 비임금노동 내부의 다양성은 이른바 사회주의시장 경제 체제에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 본 연구는 중국의 특수한 제도적 환경에서 개인들의 직업전환 궤적과 결과를 추적함으로써 비임금노동으로의 상이한 전환과정에서 어떤 메커니즘이 작동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동구권 나라 혹은 러시아에서 비임금노동은 정치적 엘리트의 적극적인 역할과 일련의 하향적 개혁에 의해 확산되는 반면에 중국의 점진적 발전패턴에서는 사회적 관계들에 의존한 비공식 규범이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비임금노동으로의 전환에 있어 본 연구는 개인이 갖고 있는 인적 자본과 당원신분뿐만 아니라 개인이 맺고 있는 사회적인 관계, 즉 꽌시(關系)의 효과를 특히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비임금노동의 증가와 내부 다양성이 개혁개방 이후의 중국에서 갖는 경제적•사회적 의미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중국 노동력 동태 조사(China Labor-force Dynamics Survey)자료를 사용하였다. 먼저 전반적인 비임금노동의 구성과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비임금노동의 다양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직 경험이 없는 비임금노동과, 임금노동자로부터 전환한 비임금노동자를 구분한 뒤 비임금노동으로의 다양한 이동 결과(고용주, 비육체자영업자, 육체자영업자)에 각 요인, 특히 꽌시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비임금노동자의 직업전환 궤적을 분석함으로써 절반에 가까운 비임금노동자는 임금노동자, 그것도 주로 육체임금노동자와 서비스업종사자에서 전환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로, 비임금노동의 세부 유형에 대한 분석을 통해 내부의 이질성과 다양성은 확인되었다. 한편으로, 중국의 도시개발과 상업의 발전 덕에 상당한 수의 노동자가 도매업, 요식업, 그리고 건설 프로젝트를 통해서 성공적으로 고용주가 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상당한 육체자영업자들은 임시적인 육체노동을 하기 때문에 임금육체노동자에 비해 더 불안정적인 직장환경과 사회복지 보장의 부재를 직면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력이 높을수록, 당원일수록 비임금노동부문에 진입할 확률은 낮아지는 반면에 꽌시를 적극적으로 구축유지할수록 비임금노동부문에 진입할 확률은 높아진다. 또한 비임금노동부문에 진입하는 데 비교적 쉽지만 꽌시에 대한 적극적인 구축유지는 개인의 상향적 이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비임금노동을 최초 직장으로 삼은 사람은 자주 식사초대를 할수록, 사업 중개자가 있고, 그 사람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수록, 육체자영업자에 비해 비육체자영업자나 고용주가 될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또한 임금노동자로부터 전환한 비임금노동자가 높은 교육수준과 발달한 관계망를 동시에 갖고 있는 경우 육체자영업자에 비해 비육체자영업자나 고용주가 될 가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본 연구는 다양한 비임금노동에 진입하는 과정에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밝힘으로써 비임금노동은 엘리트와 일반 노동자 모두에게 대안적 통로를 안겨주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는 개혁 기간 동안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 속에서 경제적-사회적 갈등을 완충한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나아가 오늘날 북한에서 장마당이라고 불리는 시장이 날로 늘어나는데, 본 연구에서 분석한 밑으로부터의 중국 비임금노동 발전패턴은 사경제와 공경제 간의 갈등적이면서도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타개할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2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