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북관 세곡 <소군화번 이패>와 여창 가곡 <우조 두거>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aiwanese Pak-koán Iù-khek and Korean Traditional Female Part of Gagok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쉬윤페

Advisor
김우진
Major
음악대학 음악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19. 2. 김우진.
Abstract
Theres a certain amount of Chinese musical influence on Korean
traditional music, meanwhile by comparison it is similar situation in
Taiwanese traditional music. After long periods of accumulation and
adaption, it has become its own with Taiwanese musical features.
Pak-koán ( , Beiguan in Mandarin) music 北管 came from northern
China, where now it is non-existent but has been only inherited in
Taiwan. Iù-khek (細曲, hereinafter refined songs), among Pak-koán
musics four subcategories, is a singing style accompanied with
instruments. The subject of this comparative thesis focuses on two
pieces of music: a refined song thats considered an artistic song in
Taiwanese Pak-koán - Chiau-kun Hô-hoan (昭君和番) and Korean
artistic Gagok of female vocal Ujo duggeo, analyzed and studied from
the perspectives of musical features and categories such as
background, composition and performance.
The origin of Gagok could be traced back to the Go Ryeo Dynasty,
when there was a music form called Man jung seok dae yeop (慢中數
). It underwent some division and other development 大業 during the
Korean Dynasty, what was then seok dae yeop was divided into
Junggeo (中舉) - pyeonggeo (平舉) - dugeo(頭舉) – soyong(騷聳) -
nong(弄) - nang(樂) - pyeon(編) and such variations, forming what is
now in the contents of a Gagok in Korea. The place where Iù-khek
was being taught is named Khek-koán, which was formed about
300 years ago. The exact time when it was introduced is unknown.
The musical composition of Pak-koán refined songs can be
dissected into the following four forms: suite of large and small
labeled tunes, independent large labeled tunes, independent small
labeled tunes, and small tunes. The analysis subject Chiau-kun
Hô-hoan is a set of large labeled tunes, which usually composed of
two or more tunes, formed by five tunes. The Dae Yeoeum melody
of the Gagok is of fixed style, however the prelude of Pak-koán
refined songs can be any instrumental piece of the musicians
choice.
In regard to the instrument arrangement and performance style,
Pak-koán refined songss accompaniment instrumentation is an
ensemble of silk (string) and bamboo (wind) instruments consisting of
thê-hiân (提絃, also called khak-á-hiân, 殼子絃), hô-hiân (和絃),
sam-hiân (三絃, the three-stringed plucked-string instrument), phín
(品, bamboo flute), iâng-khîm (洋琴, hammered dulcimer), and pán
(板, clappers). The Gagok is composed with Gomungeo. There's no
distinction between male vocal or female vocal in Pak-koán refined
songs, it follows the order of the music. If the time is limited, then
only the core portion would be played, the performance will be
presented with the singer holding a pair of pán accompanied with
silk and bamboo instruments. In the case of Gagok, in the early days
only males sing, now there's male portion, female portion and
male-female ensemble. The ensemble can be further into the two
styles of Ujo and gyemyeonjo.
To understand the musical features of Pak-koán refined songs and
Gagok, this paper focuses on the Pak-koán refined song, Chiau-kun
Hô-hoan Jī-pâi, and Gagok Ujo Dugger, and present a compare and
contrast in respect to the lyrics, vocalization, rhythm, key and
accompaniment. In respect to the lyrics, both use upper class
vocabularies. For Pak-koán refined songs, when words are separated
for singing, it is called "pronunciation decomposition", and another
method when words without meaning are added is called "sound
filling". This is very similar to vocal articulation in Gagok - vowel
decomposition and word filling, like the two sides of the same coin.
In respect to vocalization, there are the coarse sound which is real
voice, and the soft sound which is falsetto. This is also similar to the
soft vocalization ( ) of a Gagok. The powerful 細聲音 vocalization of
Pak-koán refined songs in comparison to the soft vocalization of
Gagok which changes with the tone, are very different. In Pak-koán
refined songs, once coarse sound is chosen, the whole song has to
be sung in coarse, likewise, once soft sound is chosen, it has to stay
that way for the remainder of the song. This is very different from
Gagok that can change between real voice and falsetto within a song.
The main scale for both Pak-koán refined songs and Gagok is
sol-la-do-re-mi. Pak-koán refined songs uses seven-note scale, and
every song uses the same key, melody free flows and no rule to the
ending note. Ujo pyeongjo also uses the pentatonic scale, there's a
certain style of grace note, and ending note is fixed.
In respect to rhythm, Pak-koán refined songs uses duple and
quadruple meters. In contrast, Gagok uses a combination of triple
and duple meters, forming a bigger length of sixteen-meter. Looking
at the accompaniment, the singing melody of Chiau-kun Hô-hoan
Jī-pâiand the melody of the instrument thê-hiân are similar, and
thê-hiân is also the focal instrument. The accompaniment melody of
Ujo Dugger and singing melody are almost the same, Gomungeo
serves as the main instrument, and grace notes of daegeum are
many more and much more difficult compared to other instruments.
Although there's no direct exchange between Taiwan and Korea,
but such similarities of traditional music styles that are inherited and
preserved in its own country can be shown through comparisons.
With this study the author hopes to promote further exchange and
inter-research between the two genres of Asian music.
한국의 전통음악 중 중국에서 유래하여 향악화된 음악이 있듯 대만의 전통
음악 중에도 중국의 영향을 받았으나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대만의 고유한 특
성을 담게 된 음악이 있다. 대만의 북관음악은 중국 북쪽 지역에서 유래하였으
나 현재 중국에 남아있지 않고 대만에서만 전승되고 있다. 북관음악 중 세곡은
기악반주가 따르는 성악이다. 본 연구는 대만의 북관음악 중 예술음악인 세곡
(細曲) 와 한국의 예술음악인 여창가곡 두거>의 형성과정, 악곡구성, 공연형태 등 갈래적 특징을 살펴보고, 음악적 특
징을 비교한 연구이다.
고려시대 정과정에서 비롯된 만‧ 중‧ 삭대엽이 조선시대에 시기를 달리하여
분화 ‧ 발전하였으며, 그 중 삭대엽은 중거 ‧ 평거 ‧ 두거 ‧ 소용 · 농 ‧ 낙 ‧ 편
등 변주곡을 파생시키며 현재의 가곡에까지 이르렀다. 이에 비해 세곡은 세곡
을 배우는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였던 북관관각(館閣, 류파와 유사)의 형성시기
에 따라 약 300여년 전 대만으로 전래되어 왔음을 추정할 뿐 유래가 정확하지
않다. 세곡은 악곡 구성방식에 따라 대소패연투(大小牌聯套), 독립식소패(獨立
式小牌), 독립식대패(獨立式大牌), 소곡(小曲)으로 나뉜다. 연구대상인 《소군화
번(昭君和番)》은 두 개 이상의 곡패체가 모인 연투로 구성된 독립식대패이며,
다섯 개의 곡패로 이루어졌다. 여창 가곡은 우조 이수대엽 ‧ 중거 ‧ 평거 ‧ 두
거 ‧ 우락 ‧ 계면조 이수대엽 ‧ 중거 ‧ 평거 ‧ 두거 ‧ 평농 ‧ 계락 ‧ 편수대엽 ‧
태평가 ‧ 반우반계 반엽 ‧ 환계락의 한 바탕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곡마다 대여
음·1장·2장·3장 ‧ 중여음·4장·5장 순으로 반복된다. 가곡의 대여음은 가락이 정
해져 있지만 세곡은 전주곡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악기 편성과 공연형태의
경우 세곡은 제현, 화호, 삼현, 적자, 양금, 판의 편성으로, 가곡은 거문고, 가
야금, 양금, 대금, 해금, 장고의 세악 편성으로 이루어진다. 세곡을 공연할 때
남창과 여창의 구분 없이 악곡의 순서대로 부르며, 공연시간을 맞추기 위해 핵
심부분만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 노래 부르는 사람이 판을 들고 노래한다. 가
곡은 초창기에는 남창만 있었을 것이나 현재는 남창과 여창, 남녀창의 형태로
공연하며, 우조와 계면조 두 악조의 곡 조가 있다.
세곡과 가곡의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세곡 와 가곡

의 가사, 발성법, 박자와 악조, 반주음악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가
사를 보면 두 곡 모두 상류층이 쓰는 언어를 사용한다. 세곡에서는 노래할 때
가사의 음절을 분해하여 노래하는 분해자음창법(分解字音唱法)과 의미가 없
는 성사를 추가하여 부르는 가성사창법(加聲辭唱法)을 사용하는데, 이는 가
곡에서 모음을 분해하여 부르고, 의미가 없는 [으], [ㅎ]를 첨가하여 부르는 것
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발성법을 보면, 북관 세곡에서 조구(粗口)는 진성으
로 발성하고, 세구(細口)는 가성으로 발성하여 가곡의 속소리와 비슷하지만 찌
르는 듯한 강한 소리를 발성한다는 점에서 곱고 매우 꿋꿋한 느낌을 주며, 음
역에 따라 소리의 음색이 달라지지 않는 가곡과 다르다. 발성법 운용방식에 있
어서도 세곡에서는 한번 사용했던 방식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노래해야 하지만
가곡은 구절마다 발성법이 정해져있다. 가곡의 악조는 모두 솔-라-도-레-미의
5음 음계를 주로 쓰나 시김새가 정해져 있고 종지음에 규칙이 있다. 세곡은 7
음 음계를 사용하고 곡마다 같은 악조로 자유로운 가락 진행을 보이지만 종지
음에 규칙은 없다. 박자를 보면 세곡은 2박, 4박으로 되어있는 반면, 가곡은
3박과 2박이 결합되어 16박을 이룬다. 반주음악을 살펴보면,
의 노래 가락은 제현과 비슷하고, 제현이라는 악기를 중심으로 연주한다. 조 두거>는 반주가락과 노래가락이 거의 일치하며 악기끼리 같은 가락을 연주
하나, 거문고가 중심역할을 하며 대금과 해금은 시김새가 많아 다른 악기보다
가락이 복잡하다.
대만과 한국은 직접적인 교류 관계는 없었지만 이처럼 비슷한 형식으로 연
주하는 전통음악이 전승되고 있어 그 특성을 비교해 볼 수 있다. 앞으로도 본
연구를 시작으로 많은 교류와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4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