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어미 '-을'의 역사적 연구 : A Diachronic Study on Korean Ending –eul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선엽-
dc.contributor.author최준호-
dc.date.accessioned2019-05-07T04:26:21Z-
dc.date.available2019-05-07T04:26:21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other00000015564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1525-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19. 2. 황선엽.-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diachronic change of meaning and function of Korean ending -eul up to Contemporary Korean.
In Contemporary Korean, adnominal ending -eul can be used to express [Futurities]: [Destination], [Disposition], [Possibility] and [Intention], whereas its pre-contemporary usage included [Genericity] in addition to that of [Futurities]. In this paper, I focus on how and why the generic usage of -eul has changed over time as well as how its grammatical category should be defined.
In Chapter 2, I lay the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I examine the meaning, function, grammatical category, and combinational restrictions of adnominal ending -eul. Second, I use the term generic to explain usages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the term [Futurities].
In Chapter 3, I classify usages of adnominal ending -eul into three categories: naming construction, adnominal construction and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s. For each of these categories, I provide synchronic and diachronic descriptions.
First, I found that only adnominal ending -eul was used in forming naming construction in 15th-century Korean. This linguistic phenomenon originates from Early Middle Korean as shown in Jatoseokdokkugyol.
Second, the ending -eul was also used in adnominal construction to express genericity. In 15th-century Korean, the adnominal ending -eul and the prefinal ending -nʌ- were both used in a generic sense. The two terms competed, and the latter outnumbered the former even in the 15th century.
Third,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only the ending -eul was used in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ancient times. In Contemporary Korean, there are a few cases where ending -eun is used for an identical construction. These cases have in common the fact that their stems are all adjectives. Also, I argue that there was no combinational restriction between the ending -eul and adjectives in Ancient Korean unlike Contemporary Korean.
In Chapter 4, I investigate the reason why the adnominal ending -neun replaced the generic use of the ending -eul, and discuss the grammatical category of -eul from a typological point of view. I find that other languages such as Manchu, Turkish, Mongolian, Dyirbal and Yurakaré also have one grammatical element express both [Futurities] and [Genericity] like the Korean ending -eul.
In addition, I discuss how the function of the ending -eul was narrowed down to expressing [Futurities], a newly grammaticalized item – in the case of Korean, the present tense -nʌ- – taking on the function of [Genericity]. A similar change can be found in other languages such as Turkish. Based on these observations, this paper classifies the ending -eul as an Irrealis marker.
In Chapter 5, the summary of the paper and minor issues are presented.
-
dc.description.abstract본고의 목적은 동명사 어미ㆍ관형사형 어미 -을의 의미ㆍ기능이 통시적으로 어떠한 변화 과정을 거쳐 현대 한국어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현대 한국어의 관형사형 어미 -을은 구문에 따라 [예정], [성향], [가능성], [의지] 등의 용법으로 사용되나, 현대 한국어 이전의 어미 -을은 이러한 [미래성] 용법에 더해 [총칭성(genericity)] 용법을 함께 가졌다. 본고에서는 이전 시기 한국어에서 -을이 담당하던 [총칭성] 용법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변화하게 되었으며 그 이유는 무엇인지, 또 -을의 문법범주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후의 논의를 진행하기 위한 이론적 논의를 수행하였다. 현대 한국어 관형사형 어미 -을의 의미, 기능, 문법범주, 통합 제약 등을 살펴보고, [예정], [성향], [가능성], [의지] 등으로 설명할 수 없는 관형사형 어미 -을의 용법을 [총칭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포착할 것임을 논의하였다.
제3장에서는 어미 -을이 쓰인 환경을 명명(命名) 구문, 관형 구성, 한자의 釋 세 가지로 나누고, 각각에 대해 공시적ㆍ통시적 기술을 수행하였다. 우선 명명 구문의 경우, 15세기 한국어의 명명 관형 구성에서는 관형사형 어미 -을만이 선택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를 자토석독구결 시기의 언어 현상이 15세기 한국어의 명명 관형 구성에 보수적으로 남아 있기 때문이라고 파악하였다. 또한, 현대 한국어로 오면서 명명 관형 구성에서 -을을 -는이 대체하게 되는 시기가 언제인지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이러한 대체가 한순간에 일어난 것이 아니라, 덜 긴밀한 구성에서 더 긴밀한 구성으로 수 세기에 걸쳐 이루어졌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관형사형 어미 -을이 [총칭성] 용법으로 사용된 것은 관형 구성에서도 살펴볼 수 있었다. 관형 구성에서는 15세기부터 [총칭성]을 나타낼 때 -는과 -을이 경쟁하고 있었다는 점과 -는이 이미 우세하여 -을보다 높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한자의 釋에서는 字釋類 문헌을 대상으로 한자의 釋에 사용되는 관형사형 어미 -은과 -을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기원적으로 한자의 釋에는 -을만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字釋에서 관형사형 어미 -은을 취하고 있는 소수의 예들은 거의 모두 어간의 품사가 형용사라는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기원적으로 한국어에는 현대 한국어에 존재하는 관형사형 어미 -을과 형용사와의 통합 제약이 없었을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그 이유를 관형사형 어미 -을의 [총칭성]이 형용사가 지니고 있는 성질과 충돌하지 않기 때문으로 파악하였다.
제4장에서는 제3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론적인 논의를 수행하였다. -을의 [총칭성] 용법을 -는이 대체하게 된 이유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을의 [총칭성] 용법과 그 변화 양상을 언어유형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아 -을의 문법범주를 논의하였다. 한국어의 -을과 같이 [미래성]과 [총칭성]을 하나의 문법요소가 담당하는 언어로 만주어, 터키어, 몽골 문어, 지르발어, 유라카레어 등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래성]과 [총칭성] 용법을 함께 담당하던 문법요소가, 새롭게 문법화된 현재시제, 비완망상, 진행상 문법요소에 [총칭성] 용법을 인계하고, 그 자신은 [미래성] 용법만을 가지는 것으로 영역이 축소되는 현상이 터키어 등에서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것이 한국어 어미 -을의 변화 양상과 닮아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상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한국어 어미 -을의 문법범주를 서상법(敍想法, Irrealis)으로 파악하였다.
제5장에서는 논의의 내용을 요약하고 미진한 점과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의 목적 및 대상 1
1.2. 연구사 정리 4
1.3. 논의의 구성 6
1.4. 인용자료 및 약호 7

2. 기본적 논의 10
2.1. 현대 한국어의 관형사형 어미 -을 10
2.1.1. -을의 의미 및 문법범주 10
2.1.2. -을의 통합 제약 12
2.2. 용어의 설정 14
2.2.1. 절대시제, 부정시제 14
2.2.2. 아오리스트 15
2.2.3. 총칭성 18
2.3. 동명사 어미와 관형사형 어미 21

3. 한국어 어미 -을의 [총칭성] 용법 26
3.1. 명명 구문 26
3.1.1. 15세기 한국어 27
3.1.2. 고대 한국어 및 전기 중세 한국어 40
3.1.3. 15세기 이후의 변화 54
3.2. 관형 구성 61
3.2.1. 15세기 한국어 61
3.2.2. 고대 한국어 및 전기 중세 한국어 68
3.2.3. 15세기 이후의 변화 71
3.3. 한자의 釋 74
3.3.1. 字釋의 관형사형 어미 -은, -을의 양상 및 그 변화 77
3.3.2. 관형사형 어미 -을과 형용사의 통합 제약 81
3.3.3. [총칭성]과 형용사의 의미 속성 87

4. [총칭성] 문법요소의 쓰임과 변화에 대한 언어유형적 검토 95
4.1. -을에서 -는으로의 대체에 대한 해석 95
4.2. 서상법 요소가 [총칭성]을 담당하는 언어에 대한 검토 99
4.3. [총칭성] 문법요소의 변화에 따른 역할 분담 양상 110

5. 결론 113

참고문헌 116
125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10-
dc.title한국어 어미 '-을'의 역사적 연구-
dc.title.alternativeA Diachronic Study on Korean Ending –eul-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i, Joon Ho-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9-02-
dc.contributor.major한국어사-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5645-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26▲000000000039▲00000015564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