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들뢰즈의 이념론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상환-
dc.contributor.author정원석-
dc.date.accessioned2019-05-07T04:28:25Z-
dc.date.available2019-05-07T04:28:25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other00000015480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155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철학과(서양철학전공), 2019. 2. 김상환.-
dc.description.abstract플라톤은 이데아를 불변의 진리 자체로 상정하였지만 들뢰즈의 이념은 단지 초월적 원리의 대상이자 인식능력이며, 들뢰즈의 이념론은 인식과 존재의 초월적 원리를 밝히려는 종합이론이다. 본 논문은 플라톤주의에 대한 비판논증과 그 반정립 자체의 논리를 새로운 정립적 입장으로 삼은 들뢰즈의 이념론에 관한 권리적 연역증명을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종래에 잘 드러나지 않았던 들뢰즈의 변증법적 사유와 계보학적 비판논증을 해명하고 재구성한다.
이러한 이념론에 대하여 들뢰즈는 이중의 기획을 갖고 있었다. 첫째, 플라톤주의란 경험적 원리를 초월론적이고 절대적 차원으로 대치한 허위적 이론임을 플라톤주의의 전복이라는 과제하에 폭로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는 동일성적 독단론의 배후에 깔린 하부구조들의 인식적 토대를 비판하여 내부로부터 뒤집는 비판의 수행이며, 둘째는 그 반정립적 비판수행의 논리로 들고 나온 차이(다름)와 강도, 미분의 철학으로 새로이 초월론적 이념론을 정립한다는 것이 그 기획의 주요 쟁점인데, 기존의 연구는 그러한 들뢰즈의 기획구도와 논증적 배치를 철저히 규명하지 못한 점이 있었으며 그 중심적 논리 또한 온전히 정립되지 못한 측면이 있어서 심도 있는 연구가 더욱 요청되는 상황이었다.
플라톤 주의에 대한 비판 수행의 논리는 시기적으로 고대의 플라톤주의와 근대의 플라톤주의로 나뉜다. 첫째 시기는, 대화편 속에서 플라톤 스스로의 자기 전복적 논리를 발견하여 비존재의 존재성을 확인하고, 비존재로부터 도출되는 온갖 비동일자적 원칙들을 끌어내 플라톤의 신화서사가 갖는 모호하면서도 강력한 독단론의 근거들을 와해시킨다. 그 신화서사들의 장치란 전생의 이데아가 소유하는 참된 자격의 분유가 나눔의 변증법에 통일되어도 동일자에 대한 종속을 요구하게 만들고. 동굴의 수인이 감각적인 존재로 깨어나 상기의 초월론적 기억을 통해 앎을 깨우칠지라도 그것은 순수한 앎이 아니라 재인을 가장한 것이라는 것이다. 들뢰즈는 플라톤이 암암리에 도덕적 의도를 갖고서 동일자의 철학을 신화서사에 장치한 뒤, 대화편에서 신화를 등장시켜 개연적 흐름을 방해하고 독단을 주입하고 있음을 폭로하고 있다. 둘째는 칸트의 초월론속에 재인을 모델로한 재현적 요소의 독단론과 2분법적인 플라톤주의의 잔재가 여전히 스며있음을 비판하며, 그 독단적 형태들이 양식과 공통감이라는 암묵적 인식과 표리적으로 협력하며 인식과 존재의 초월론적 위치를 탈취하고 진정한 앎을 방해하는 요인이라는 것을 논변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비판을 통해 확증하게 되는 반정립적 원칙들은 비존재의 원칙인 차이(다름)이며, 이 차이는 초월적 이념론 속에서 두 가지의 형식으로 새로이 정립된다. 그것은 비동등한 생성적 실존속에서 감성적 존재론의 원칙으로 표현되는 강도의 형태와 순수개념으로서의 이념이 보여주는 변증법적 운둥의 동력이 되는 미분의 형태로 드러난다. 강도의 원칙들은 비동등한 차이적인 실존세계들의 동역학적이고 비가역적인 흐름에 관련되며 이는 감성적 지각의 차원을 넘어서는 근원적 인식으로서 칸트주의에 남아있던 소여의 외생성을 극복하고 통합적인 초월론을 구성하는 인식적 바탕이 된다.
헤겔의 변증법에 대항한 들뢰즈의 변증법은 헤겔이 모순과 대립을 발판으로 개념의 운동성과 발전을 끌어내듯이, 수학적 차이인 미분의 동력으로 이념은 변화와 운동을 일으키며, 헤겔의 변증법이 개체에서 상위의 절대정신으로 향하는 것과는 반대의 역전적인 운동이라는 것을 밝힌다. 들뢰즈의 이념론은 추상적인 이념의 미분화 과정에서 현실적인 실존자들의 분화과정으로 나아가는 변증법적 생성이론이다. 잠재성의 미분비들의 통일체인 이념적 다양체는 구조적 실체로서 실존자들의 생성적 실재성을 갖게 된다. 이념의 변화들이 전개되고 미분적 원칙들이 갖는 실재성은 분화의 과정을 거쳐 실존적으로 현실화된다. 이것이 들뢰즈의 미분적 변증법이다. 즉, 헤겔의 변증법이 자기 동일자의 절대정신으로 향해가는 것이라면 들뢰즈의 미분적 변증법이 내포하는 것은 이념적 차이가 일으키는 실존의 세계이다. 즉,초월적 인식의 객관적 측면에서의 근원성은 차이 생성의 강도장으로 나타나며, 주관적 측면에서는 미분의 변증법으로 나타난다. 이것들은 감각-개념 구도의 인식적 체계보다 근원적인 차원이다. 따라서 들뢰즈에게는 동일자의 공통감을 바탕으로 하는 인식이 아니라 차이가 바탕하는 비공통감인 역설감이 자리잡고 있으며, 필연성으로 세계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그에 대응점인 우발점의 배치로 세계를 구성한다. 이것이 들뢰즈가 기획했던 기획의 전체적인 구도이다.
-
dc.description.abstractAlthough Plato presupposed that the idea is the unchanging truth itself, the idea by Deleuze is just the object of the transcendental principle and a cognitive faculty. His theory of ideas is a synthetic theory that is intended to expose transcendental principle of Being. This essay has the goal which is the critical argument of Platonism and to demonstrate the deductive argument of quid jury concerning the theory of ideas by Deleuze. And this essay is intended to demonstrate and reconstruct the dialectical thought and the genealogical critic argument which did not appear clearly before.
Deleuze himself had two plans of such a theory of ideas. First, he has the goal to reveal under the task of Reversal of Platonism that Platonism is just a fallacious theory which tries to elevates empirical principles to the absolute transcendental level.
It is a critical exercise to reverse the epistemological ground of sub structure which is bound behind identical doxa. Second, it is the proper argument of the enterprise that the philosophy of the difference, the intensity and the differential, newly establish the transcendental theory of idea. For the existing study did not fully investigate Deleuzes theory, Its called for more in-depth study.
The logic of the critical exercise of platonism is divided by ancient platonism and modern platonism, according to ages. Speaking of the first, Plato himself is aware of his assertions overturning by itself and then ascertains Beingness of non-being. Then he takes non-identical principles out of non-being and dissolves the ground of strong ambiguous doxa which belongs to mythical epics. The devices of the epic is such that despite participation of true qualification which belongs to the idea of former life is united to the dialectic of the divide, It is compelled to subordinate to the same identity and although the prisoner being awaken as sensual being in the cave becomes aware of the knowledge through the reminiscent transcendental memory, it is not pure true knowledge but the pretense of re-cognition.
Deleuze reveals that Plato installed identical philosophy into the mythical epic with intention of his moral motivation, then interfere with the probable stream with the appearances of the myth and inject his doxa. As second, he criticize that representational doxa modelled to re-cognition and bipolar remnants of platonism are still immersed into transcendental theory. He also argued that forms of doxa seizes the transcendental position of cognition and being, corporating with good sense and common sense.
The antithetical principles established through a critique is difference which is the principle of non-being, this difference is newly established as two forms. these are the form of intensity which is expressed as sensual ontology in the existence of inequal becoming. The principles of intensity is foundational cognition beyond the dimension of sensual cognition. It becomes the foundation that overcomes externality remained in Kantian philosophy and can build united transcendental theory.
Deleuzes dialectic opposite to Hegels dialectic gives rise to changes and movements with the dynamics of differential which is a mathematical difference as Hegel draws the movements and the developments of the concept on the basis of the contradiction and the opposition. Deleuze also reveals that his dialectic is reverse to Hegels dialectic which moves from a entity to the higher spirit of abstract.
In sum, the objective respect of transcendental cognition appears as the intensity field of the becoming of the difference, and the subjective respect appears as the dialectic of the differential. These are more fundamental level of cognitive system than that of sense-conception structure
The diversity of ideas, the union of differential ratios of the virtuality, is a structural substance and has the reality of becoming of a existant. The reality in which the change of ideas develops and which differential principle becomes realized existentialy through the process of a differenciation. It is very Deleuzes differential dialectic.
That is to say, Hegels dialectic is toward to the abstract spirit of the self identity. As opposite, Deleuzes differential dialectic imply the existential world which is given rise to by the differences of ideas. So, Deleuzes theory is grounded on paradoxical sense which is non-conmmon sense and constitutes the world not with necessity but with dispositions of the aleatory point as opposite to it. These are entire enterprise designed by Deleuz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서론
1-1 왜, 들뢰즈의 이념론인가? 8
1-1-1. 들뢰즈 이념론의 다중적 기획 9
1-1-2. 플라톤과 칸트의 이념 10
1-2. 들뢰즈의 문제제기 15
1-3. 논문의 목표와 방법,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 20
-- 들뢰즈의 기초개념들 29

본론
2. 플라톤주의의 전복 34
2-1. 소피스트의 축출 35
2-2. 나눔의 변증술 37
2-3. 영원회귀와 다름(차이)이 일으키는 비존재의 정당화 40
3. 사유의 이미지와 인식적 공준들 44
3-1. 양식의 선철학적 전제성 45
3-2. 공준 i) 보편적 본성의 사유라는 원리, 공준 ii) 공통감의 이상 47
3-3. 공준 iii)재인의 모델, 공준 iv)재현의 요소, 공준 v) 부정적인 것으로서의 오류 49
3-4. 인식능력들의 비조화적인 사용, 상기의 신화 서사 53
3-5. 초월론적 경험론 56
4. 칸트 인식론이 제기하는 공통감과 발생에 관한 과제들 58
4-1. 인식능력들과 일치의 문제 61
4-2. 공통감의 과제 63
4-3. 공통감의 발생과 이념의 현시 65
5. 강도적 감성론 71
5-1. 존재론의 원칙으로서의 차이적 강도 71
5-2. 퀴리와 카르노의 법칙과 강도의 형이상학적 원리 73
6. 차이의 이념적 종합 80
6-1. 문제제기적 이념 82
6-2. 이념의 세 가지 계기 86
6-3. 이념적 차원에서의 차이로서의 미분 87
6-4. 미분적 변증법 운동의 규정과 발생에 따른 양화 가능성, 질화 가능성, 완결된 규정 90
6-5 이념의 실체로서의 다양체 103
6-6. 이념들의 실제적 유형으로서의 구조들, 잠재성과 현실화 108
6-7. 이념의 인식능력적 문제 117

결론
7-1. 이념이란 무엇인가 119
7-2. 논문의 의의와 미래의 철학 122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90-
dc.title들뢰즈의 이념론-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철학과(서양철학전공)-
dc.date.awarded2019-02-
dc.contributor.major서양철학 전공-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480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26▲000000000039▲0000001548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